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가 인식한 생태유아교사 이미지 연구 = A Study of the Image of Eco-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by Childr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164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children's recognition of the elements that are a necessary part of establishing a desirable image and role of Eco-Early childhood teachers. The participants were 180 children 4~5 years old who attended Eco-child care centers in Busan, and 10 teachers involved in image drawing. This research is based on analysis of the pictures painted by children and individual interviews with children and teach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ypical image of an Eco-Early childhood teacher is someone with a natural and unaffected face and who wears comfortable clothing. Second, the emotional image of Eco-Early childhood teacher is of someone who is happy at the moment, anxious about their children, and emotionally honest. Third, the images that are frequently associated with an Eco-Early childhood teacher is a lovely mom, a friend who plays lightheartedly with children, and a farmer who cares for lives. The image of Eco-Early childhood teacher is the of someone who has a relationship with children, and it suggests a standard qualification and role of Eco-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rovides desirable guidance for Eco-Early childhood teacher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children's recognition of the elements that are a necessary part of establishing a desirable image and role of Eco-Early childhood teachers. The participants were 180 children 4~5 years old who attended Ec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children's recognition of the elements that are a necessary part of establishing a desirable image and role of Eco-Early childhood teachers. The participants were 180 children 4~5 years old who attended Eco-child care centers in Busan, and 10 teachers involved in image drawing. This research is based on analysis of the pictures painted by children and individual interviews with children and teach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ypical image of an Eco-Early childhood teacher is someone with a natural and unaffected face and who wears comfortable clothing. Second, the emotional image of Eco-Early childhood teacher is of someone who is happy at the moment, anxious about their children, and emotionally honest. Third, the images that are frequently associated with an Eco-Early childhood teacher is a lovely mom, a friend who plays lightheartedly with children, and a farmer who cares for lives. The image of Eco-Early childhood teacher is the of someone who has a relationship with children, and it suggests a standard qualification and role of Eco-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rovides desirable guidance for Eco-Early childhood teach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바람직한 생태유아교사의 이미지 형성 및 생태유아교사 역할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생태유아교사의 이미지에 대한 유아들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이미지 그림그리기 대상은 부산지역의 생태유아교육프로그램을 실천하는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4, 5세 유아 180명이며 교사면담 대상은 이미지 그림그리기에 참여한 유아들의 교사 10명이다. 유아들이 그린 그림, 유아들의 개별면담, 교사들의 개별면담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연구결과를 분석을 하였으며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가 인식한 생태유아교사의 외모 이미지는 꾸밈없는 편안한 옷차림, 화장기 없는 얼굴, 우리전통 지킴이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가 인식한 생태유아교사의 정서 이미지는 행복한 교사, 염려하고 걱정하는 교사, 감정이 솔직한 교사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가 인식한 생태유아교사의 역할 이미지는 포근한 우리 엄마, 신명나는 놀이 친구, 생명을 돌보는 농부로 나타났다. 유아들이 인식한 생태유아교사의 이미지는 유아들과의 관계를 통해 드러난 이미지로 생태유아교사의 자질과 역할에 대해 되돌아보는 기준을 제공함과 동시에 교사들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바람직한 생태유아교사의 이미지 형성 및 생태유아교사 역할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생태유아교사의 이미지에 대한 유아들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이미지 그림...

      본 연구는 바람직한 생태유아교사의 이미지 형성 및 생태유아교사 역할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생태유아교사의 이미지에 대한 유아들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이미지 그림그리기 대상은 부산지역의 생태유아교육프로그램을 실천하는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4, 5세 유아 180명이며 교사면담 대상은 이미지 그림그리기에 참여한 유아들의 교사 10명이다. 유아들이 그린 그림, 유아들의 개별면담, 교사들의 개별면담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연구결과를 분석을 하였으며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가 인식한 생태유아교사의 외모 이미지는 꾸밈없는 편안한 옷차림, 화장기 없는 얼굴, 우리전통 지킴이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가 인식한 생태유아교사의 정서 이미지는 행복한 교사, 염려하고 걱정하는 교사, 감정이 솔직한 교사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가 인식한 생태유아교사의 역할 이미지는 포근한 우리 엄마, 신명나는 놀이 친구, 생명을 돌보는 농부로 나타났다. 유아들이 인식한 생태유아교사의 이미지는 유아들과의 관계를 통해 드러난 이미지로 생태유아교사의 자질과 역할에 대해 되돌아보는 기준을 제공함과 동시에 교사들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小澤王春, "화장품, 얼굴에 독을 발라라: 바보가 쓰는 화장품: バカがつける化粧品" 미토스 2006

      2 김종철, "현대사회와 교원" 서울특별시 교육위원회 1982

      3 정명숙, "학부모가 인식하고 있는 유치원 교사의 이미지" 한국아동학회 31 (31): 67-82, 2010

      4 Freire, P, "프레리의 교사론" 아침이슬 2003

      5 신재영, "참여관찰법" 시그마프레스 2006

      6 류칠선, "유치원교사의 교사 이미지 연구 : Q-방법론적 접근" 16 (16): 125-145, 1996

      7 이금란, "유치원 교사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 :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8 이연선, "유치원 교사의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이미지분석: Q-방법론적 접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337-361, 2007

      9 염지숙, "유아교육현장에서 돌봄의 실천과 한계" 한국유아교육학회 25 (25): 147-171, 2005

      10 양옥승, "유아교사의 정체성과 전문성,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 13 (13): 26-33, 2002

      1 小澤王春, "화장품, 얼굴에 독을 발라라: 바보가 쓰는 화장품: バカがつける化粧品" 미토스 2006

      2 김종철, "현대사회와 교원" 서울특별시 교육위원회 1982

      3 정명숙, "학부모가 인식하고 있는 유치원 교사의 이미지" 한국아동학회 31 (31): 67-82, 2010

      4 Freire, P, "프레리의 교사론" 아침이슬 2003

      5 신재영, "참여관찰법" 시그마프레스 2006

      6 류칠선, "유치원교사의 교사 이미지 연구 : Q-방법론적 접근" 16 (16): 125-145, 1996

      7 이금란, "유치원 교사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 :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8 이연선, "유치원 교사의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이미지분석: Q-방법론적 접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337-361, 2007

      9 염지숙, "유아교육현장에서 돌봄의 실천과 한계" 한국유아교육학회 25 (25): 147-171, 2005

      10 양옥승, "유아교사의 정체성과 전문성,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 13 (13): 26-33, 2002

      11 김윤희, "유아교사의 생태유아교사 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0 (10): 83-102, 2011

      12 조운주, "유아교사와 유아가 인식한 유아교사의 이미지 이해" 한국유아교육학회 27 (27): 315-335, 2007

      13 신건호, "유아교사와 예비 유아교사의 유아교사 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교육학회 16 (16): 35-46, 2007

      14 박은혜, "유아교사론" 창지사 2003

      15 이춘자, "예비유아교사의 유치원교사에 대한 이미지 변화" 교육연구원 26 (26): 1-19, 2010

      16 박혜훈, "예비유아교사의 영아교사에 대한 이미지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17 최애경, "예비유아교사의 보육실습 전후에 따른 교사이미지 변화" 한국아동교육학회 16 (16): 291-302, 2007

      18 박은혜,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유아교사 이미지의 변화 탐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1 (11): 225-246, 2007

      19 Day, C, "열정적으로 가르치기" 파란마음 2007

      20 강범석, "시각의 로고스를 넘어서, 시대와 철학" 10 (10): 89-118, 1999

      21 김은주, "생태유아교육의 사상체계 및 실천원리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3

      22 임재택, "생태유아교육과 유아교사의 자질 및 역할" 2005

      23 임재택, "생태유아교육개론" 양서원 2008

      24 하정연,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 부산대학교 부설 어린이집을 사례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4

      25 박지인,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 유아교사의 교직생활에 관한 이야기"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5

      26 권미량, "생태유아교사교육의 프로그램 모형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0 (10): 137-156, 2005

      27 Noddings, N, "배려교육론" 다른우리 2002

      28 하은옥, "교육실습 전후에 따른예비유아교사의 교사 이미지 변화"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19-42, 2007

      29 이현숙, "TV 드라마에 나타난 유아교사의 이미지"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7 (7): 57-85, 2008

      30 Mitchell, C, "Reinventing ourselves as teachers" Falmer Press, Taylor & Francis Inc 1999

      31 Stronge, J. H, "Qualities of Effective Teachers"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avelopment 2002

      32 Lin, Y, "Early Childhood teachers' images and their classmate practice" 1994

      33 Weber, S, "Drawing ourselves into teaching; Studying the images that shape and distort teacher education" 199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KCI등재
      2017-11-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 The Journal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4-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 The Journal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5-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2 2.02 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23 2.22 2.524 0.4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