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ESG도시계획이 도시브랜드 형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나주 빛가람혁신도시를 대상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70779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ESG도시계획이 도시브랜드 형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나주 빛가람혁신도시를 대상으로 국 인 성 동신대학교 대학원 도시계획학과 (지도교수 이세규)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국내외적으로 관심이 높아진 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에 대한 이론과 선행연구 고찰을 근거로, ESG가 도시브랜드 형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고 ESG와 도시브랜드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언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ESG에 대한 개념과 국내 기업, 기초 지방자치단체의 ESG 평가 지표의 현황 등을 살펴보고 도시브랜드의 개념과 도시브랜드 형성의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여 설문 문항과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조사의 대상지는 도시기반시설의 구성과 정비가 상대적으로 잘 이루어진 전라남도 나주시 빛가람혁신도시 일대를 선정하였다. 빛 가람혁신도시의 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주민의 ESG 인식과 만족도, 그리 고 도시브랜드 형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수치로 자료화 하였다. 분석 결과, 나주시 빛가람혁신도시의 주민이 인식하는 ESG 도시계획은 ESG 만족도에 긍정의 영향 관계를 나타냈다. 이때, 거버넌스(G) 요소가 ESG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사회(S) 요소는 긍정적인 영향 관계를 나타냈으나 유의확률 을 확보하지 못하였다. ESG 만족도는 도시브랜드 태도에 정의 영향 관계를 보였으며 주 거환경 이미지가 가장 큰 영향력을 나타냈다. 이어서 도시브랜드 태도는 도시브랜드 충 성도에 정의 영향 관계를 나타냈으며 요인 중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검증 결과, ESG가 도시브랜드 형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며 이를 통하 여 파생적인 연구와 추가적 지표 활용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는 주민과 전문가, 도시정 부가 함께 ESG 도시계획 추진체계 정비와 전략 수립 및 개선하여 도시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발전에 기여할 것임을 의미한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의 긍정과 만족에 머물지 않고 지속 가능한 도시발전을 위한 향후 발전 방향과 추가 연구의 필요성을 추가 제시하였다. 주제어 : ESG, ESG 만족도, 도시브랜드, 도시브랜드 효과단계
      번역하기

      ESG도시계획이 도시브랜드 형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나주 빛가람혁신도시를 대상으로 국 인 성 동신대학교 대학원 도시계획학과 (지도교수 이세규)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국내외적으로 ...

      ESG도시계획이 도시브랜드 형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나주 빛가람혁신도시를 대상으로 국 인 성 동신대학교 대학원 도시계획학과 (지도교수 이세규)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국내외적으로 관심이 높아진 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에 대한 이론과 선행연구 고찰을 근거로, ESG가 도시브랜드 형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고 ESG와 도시브랜드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언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ESG에 대한 개념과 국내 기업, 기초 지방자치단체의 ESG 평가 지표의 현황 등을 살펴보고 도시브랜드의 개념과 도시브랜드 형성의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여 설문 문항과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조사의 대상지는 도시기반시설의 구성과 정비가 상대적으로 잘 이루어진 전라남도 나주시 빛가람혁신도시 일대를 선정하였다. 빛 가람혁신도시의 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주민의 ESG 인식과 만족도, 그리 고 도시브랜드 형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수치로 자료화 하였다. 분석 결과, 나주시 빛가람혁신도시의 주민이 인식하는 ESG 도시계획은 ESG 만족도에 긍정의 영향 관계를 나타냈다. 이때, 거버넌스(G) 요소가 ESG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사회(S) 요소는 긍정적인 영향 관계를 나타냈으나 유의확률 을 확보하지 못하였다. ESG 만족도는 도시브랜드 태도에 정의 영향 관계를 보였으며 주 거환경 이미지가 가장 큰 영향력을 나타냈다. 이어서 도시브랜드 태도는 도시브랜드 충 성도에 정의 영향 관계를 나타냈으며 요인 중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검증 결과, ESG가 도시브랜드 형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며 이를 통하 여 파생적인 연구와 추가적 지표 활용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는 주민과 전문가, 도시정 부가 함께 ESG 도시계획 추진체계 정비와 전략 수립 및 개선하여 도시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발전에 기여할 것임을 의미한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의 긍정과 만족에 머물지 않고 지속 가능한 도시발전을 위한 향후 발전 방향과 추가 연구의 필요성을 추가 제시하였다. 주제어 : ESG, ESG 만족도, 도시브랜드, 도시브랜드 효과단계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mpact of ESG UrbanPlanning on City Brand Formation
      : A Case Study of Naju Bitgaram Innovation City

      In Seong Guk
      Department of Urbanplaning
      Graduate School, Dongshin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Se-kyu Le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ESG (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on the formation of city brands based on recent theoretical and preliminary research considerations, and to propose policy implications for sustainable growth of ESG and city brands. To this end, the study examines the concept of ESG, the current status of ESG evaluation indicators for domestic companies and local governments, and review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concept and formation of city brands to establish survey items and research models.
      To verify this,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nd the survey area was selected as the Bitgaram Innovation City in Naju, Jeollanam-do, which has relatively well-organized urban infrastructure.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residents of Bitgaram Innovation City to quantify data on residents' awareness and satisfaction with ESG and the impact on city brand formation.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residents' perception of ESG urban planning in Bitgaram Innovation City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ESG satisfaction. Governance (G) factor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ESG satisfaction, while the social (S) factors, although showing a positive relationship, did not secure statistical significance. ESG satisfaction positively influenced city brand attitude, with residential environment image having the greatest impact. City brand attitude, in tur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ity brand loyalty, showing the highest impact among the factors.
      These verification results indicate that ESG has a positive effect on city brand formation, suggesting the potential for derivative research and the utilization of additional indicators. This means that residents, experts, and urban governments working together to refine the ESG urban planning implementation system, establish strategies, and improve them will contribute to the sustainable growth and development of cities. Based on this, further directions and the need for additional research for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were also suggested.
      Keywords : ESG, ESG Satisfaction, City Brand, City Brand Formation, Policy Implications
      번역하기

      The Impact of ESG UrbanPlanning on City Brand Formation : A Case Study of Naju Bitgaram Innovation City In Seong Guk Department of Urbanplaning Graduate School, Dongshin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Se-kyu Le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e Impact of ESG UrbanPlanning on City Brand Formation
      : A Case Study of Naju Bitgaram Innovation City

      In Seong Guk
      Department of Urbanplaning
      Graduate School, Dongshin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Se-kyu Le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ESG (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on the formation of city brands based on recent theoretical and preliminary research considerations, and to propose policy implications for sustainable growth of ESG and city brands. To this end, the study examines the concept of ESG, the current status of ESG evaluation indicators for domestic companies and local governments, and review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concept and formation of city brands to establish survey items and research models.
      To verify this,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nd the survey area was selected as the Bitgaram Innovation City in Naju, Jeollanam-do, which has relatively well-organized urban infrastructure.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residents of Bitgaram Innovation City to quantify data on residents' awareness and satisfaction with ESG and the impact on city brand formation.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residents' perception of ESG urban planning in Bitgaram Innovation City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ESG satisfaction. Governance (G) factor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ESG satisfaction, while the social (S) factors, although showing a positive relationship, did not secure statistical significance. ESG satisfaction positively influenced city brand attitude, with residential environment image having the greatest impact. City brand attitude, in tur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ity brand loyalty, showing the highest impact among the factors.
      These verification results indicate that ESG has a positive effect on city brand formation, suggesting the potential for derivative research and the utilization of additional indicators. This means that residents, experts, and urban governments working together to refine the ESG urban planning implementation system, establish strategies, and improve them will contribute to the sustainable growth and development of cities. Based on this, further directions and the need for additional research for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were also suggested.
      Keywords : ESG, ESG Satisfaction, City Brand, City Brand Formation, Policy Implica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표 목차ⅲ
      • 그림 목차ⅳ
      • 초록ⅴ
      • Ⅰ. 서론 1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1
      • 표 목차ⅲ
      • 그림 목차ⅳ
      • 초록ⅴ
      • Ⅰ. 서론 1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1
      • 2. 연구의 범위2
      • Ⅱ.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5
      • 1. 이론 고찰 5
      • 1) ESG 개념5
      • 2) ESG 도시계획 6
      • 3) ESG 도시계획 평가지표 선행연구14
      • 4) 소결17
      • 2. 선행연구 고찰 18
      • 1) 도시브랜드 정의 18
      • 2) 도시브랜드 효과단계 모형19
      • 3) 도시브랜드 선행연구 고찰21
      • 4) 소결23
      • Ⅲ. 설문 문항 구성 및 분석 틀 설정24
      • 1. 설문응답자 인구학적 특성 및 설문 문항 구성24
      • 1) 설문조사 개요 24
      • 2) 설문응답자의 인구학적 특성 26
      • 2. 분석방법 28
      • 1) 확인적 요인분석 28
      • 2) 모형 적합 지수 29
      • 3) 구조 방적식 모형29
      • 3. 가설설정 30
      • 4. 연구 모형 설정31
      • Ⅳ. 실증분석32
      • 1. 기술통계 및 상관 관계 분석32
      • 1) 기술통계 분석32
      • 2) 관찰 변수 간 상관관계 분석35
      • 2. ESG 요인분석35
      • 1) ESG 요인별 세부항목 분석35
      • 3. 연구 모형 분석38
      • 1) 측정 모형 분석(확인적 요인분석 : CFA)38
      • 2) 측정 모형 적합도41
      • 3) 연구 모형 신뢰도 및 타당성 분석41
      • 4) 연구 모형 적합도 분석44
      • 5) 연구 모형 경로계수 분석44
      • Ⅴ. 결론47
      • 1. 연구결과 요약 47
      • 2. 연구의 시사점 49
      • 3. 연구의 한계점 50
      • 참고문헌 52
      • ABSTRACT56
      • 부록5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