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직무만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들 관계에서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은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 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442498
201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39-257(19쪽)
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직무만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들 관계에서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은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 지...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직무만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들 관계에서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은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직하고 있는 227명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합된 자료는 연구변인 간의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단순회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상호작용 항을 만들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조절변인을 중심으로 집단을 분류하여 주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직무만족은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직무만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교수효능감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이 높은 경우 교사가 인식하는 직무만족은 그들의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수효능감의 하위변인인 일반적효능감과 개인적효능감에서 부분적으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hildren teacher’s job satisfaction on their subjective well-being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belief.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227 children teachers working in preschool. ...
The purpose of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hildren teacher’s job satisfaction on their subjective well-being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belief.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227 children teachers working in preschool. They responded to the children teachers’s job satisfaction, teacher efficacy belief, and subjective well-being inventory. Data were analyzed with statistical method of Pe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andard regress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children teacher’s job satisfac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subjective well-being. Second, children teacher’s teacher efficacy belief have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between their job satisfac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Third, children teachers with low levels of teacher efficacy belief has a non-significant effects between their job satisfac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children teachers with high levels of teacher efficacy belief has a significant effects between their job satisfac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results imply that the children teachers with high levels of teacher efficacy belief will recognize high level of subjective well-being. Fourth, the general teacher efficacy(sub-factors of children teacher’s teacher efficacy belief) ha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between their job satisfac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귀자, "중등교사의 승진욕구와 직무만족도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4
2 한정원, "정서 표현성이 건강 및 주관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7
3 오협봉, "유치원교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대학원 1994
4 서은희, "유치원교사의 직무만족, 조직헌신과 이직의도의 관계" 카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5 탁수연, "유치원교사의 교직 인식과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 한국보육학회 10 (10): 147-166, 2010
6 송유진, "유아교육기관의 조직풍토와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3
7 이경애, "유아교사의 행복과 직무관련변인의 관계분석 : 직무만족, 교사효능감, 역할수행능력, 이직의도를 중심으로"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0
8 이경민, "유아교사의 행복과 역할수행능력과의 관계"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489-503, 2012
9 곽희경, "유아교사의 행복감 및 자아정체감과 교사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전북대학교대학원 2011
10 신현정, "유아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주는 관련변인 탐색연구: 직무스트레스와 조직효과성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4 (14): 147-170, 2010
1 박귀자, "중등교사의 승진욕구와 직무만족도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4
2 한정원, "정서 표현성이 건강 및 주관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7
3 오협봉, "유치원교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대학원 1994
4 서은희, "유치원교사의 직무만족, 조직헌신과 이직의도의 관계" 카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5 탁수연, "유치원교사의 교직 인식과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 한국보육학회 10 (10): 147-166, 2010
6 송유진, "유아교육기관의 조직풍토와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3
7 이경애, "유아교사의 행복과 직무관련변인의 관계분석 : 직무만족, 교사효능감, 역할수행능력, 이직의도를 중심으로"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0
8 이경민, "유아교사의 행복과 역할수행능력과의 관계"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489-503, 2012
9 곽희경, "유아교사의 행복감 및 자아정체감과 교사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전북대학교대학원 2011
10 신현정, "유아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주는 관련변인 탐색연구: 직무스트레스와 조직효과성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4 (14): 147-170, 2010
11 이분려,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교사 내외적 요인에 관한 연구" 16 (16): 161-181, 1999
12 이은주, "유아 행복에 대한 예비 유아교사의 인식" 한국보육학회 10 (10): 129-146, 2010
13 주연희, "유아 교육기관 신임교사의 역할수행 관련변인의 영향분석"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4
14 배성희, "영유아 교사의 행복이 교사의 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22 : 25-44, 2009
15 김하니, "영유아 교사의 정서지능, 교수효능감 및 직무만족도가 영유아 교사의 행복감에 미치는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2
16 이재진, "영유아 교사의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한국보육학회 13 (13): 183-203, 2013
17 김영실, "영·유아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 14 (14): 73-90, 2014
18 서현주, "어린이집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교사 효능감과의 관련성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6
19 류연지, "성격 및 욕구수준이 주관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6
20 정민정,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 18 (18): 65-74, 2009
21 이채호,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행복과의 관계" 17 (17): 173-185, 2008
22 이지혜, "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한국교원교육학회 27 (27): 143-164, 2010
23 문영경, "교사의 교수효능감이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 15 (15): 1-20, 2015
24 신남철, "교사들의 행복, 직무만족, 직무몰입과 학교조직효과성과의 관계연구" 창원대학교 2002
25 Enochs, S. G., "Toward the development of an efficacy belief instrument for elementary teachers" 79 : 63-75, 1990
26 Campbell, A., "The psychology of happiness" Routledge 1981
27 Diener, Ed., "The independence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47 (47): 1105-1117, 1984
28 Diener, E., "The evolving concept of subuective well-being : The multifaceted nature of gappiness" 13 : 187-219, 2003
29 Laborn, E., "Teacher efficacy : maturing the construct through research in alternative paradigms" 20 : 341-359, 2004
30 Gibson, S., "Teacher efficacy : A constructive validation" 76 : 758-759, 1984
31 Diener, E., "Subjective well-being : The science of happiness, and a proposal for a national index" 55 : 34-43, 2000
32 Campbell, A., "Subjective measures of well-being" 2 : 117-124, 1976
33 Betoret, F. D., "Stressors, self-efficacy, coping resources, and burnout among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Spain" 26 : 519-539, 2006
34 Wheatly, K. F., "Positive teacher efficacy : Its meaning and measure" 68 (68): 202-248, 2010
35 Jorde-Bloom. P., "Measuring work attitydes in the early childhood setting, Otechnical manual for the early childhood job satisfaction survey and early childhood work environment survey" Illinois Early Childhood Professional Development Project 1989
36 Ashton, P. T., "Making a difference teachers sence of efficacy and student achievement" Longman 1986
37 Veenhoven, R., "Is a happiness relative?" 24 : 1-34, 1991
38 Skaalvik, E. M., "Dimension of teacher self-efficacy andrelations with strain factors, perceived collective teacher efficacy and teacher burnout" 99 : 611-625, 2007
39 Seligman, M. E. P., "Authentic happiness" Free Press 2004
40 최인수, "24시간 어린이집 야간 보육교사의 근무환경 및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5 : 157-175, 2002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단기종단연구
예비유아교사의 교수법 선호 경향이 도덕지능과 창의적 신념체계에 미치는 영향
누리과정에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사회·정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예비유아교사가 지각한 교수자의 수업몰입 정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흥미 및 교직교과 학업성취 간의 관계모형 검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92 | 1.92 | 2.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97 | 1.93 | 2.336 | 0.8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