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여성 결혼이민자에 대한 방언 한국어 교육에 대하여 = On the dialect education of Korean on the marriage immigrants in order to adapt the Korean lif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131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at the need of dialect education of Korean on the marriage immigrants in order to adapt the Korean life. The marriage immigrants keenly realize the need of dialect education through survey to them. They tell to need the dialect Korean, especiall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mother-in-law and them. And they mainly want to be teached speaking, listening, among the dialect Korean skills. Through survey on the approach and time to dialect education, They want to be teached two hours and tow times a day by Korean Education who graduated in the course of Korean Education in dialect in order to understand the dialect and two times. This study, also, clarifies women immigrants by marriage are very interested in the their children education focused on the daily life of Korean. And they also, want to be received to Korean education on culture, included in the religious service, etiquette, and funeral ceremony culture.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at the need of dialect education of Korean on the marriage immigrants in order to adapt the Korean life. The marriage immigrants keenly realize the need of dialect education through survey to them. They tell to need the dialect Korean,...

      This study aims at the need of dialect education of Korean on the marriage immigrants in order to adapt the Korean life. The marriage immigrants keenly realize the need of dialect education through survey to them. They tell to need the dialect Korean, especiall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mother-in-law and them. And they mainly want to be teached speaking, listening, among the dialect Korean skills. Through survey on the approach and time to dialect education, They want to be teached two hours and tow times a day by Korean Education who graduated in the course of Korean Education in dialect in order to understand the dialect and two times. This study, also, clarifies women immigrants by marriage are very interested in the their children education focused on the daily life of Korean. And they also, want to be received to Korean education on culture, included in the religious service, etiquette, and funeral ceremony cul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여성 결혼이민자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국내 생활에 적응하는데 방언 한국어 교육이 필요한지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논의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방언을 포함한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과 관련해서 대다수의 여성 결혼이민자들이 방언을 포함한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가정 내 시어머니와의 관계에서 방언 교육의 필요성이 절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방언 교육은 주로 ‘말하기’, ‘듣기’ 중심으로 교육이 이루어지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 교육 방법 및 교육 시간과 관련된 조사 결과를 정리하면 먼저 교육 방법에 대해서는 방언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위해 기관이나 단체를 중심으로 한국어 교사 양성 과정 등을 이수한 한국어 교사들이 이들에 대해 체계적인 방언 교육을 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었다. 다음으로 교육 시간에 대해서는 여러 상황을 고려한 결과 일주일에 두 번, 두 시간씩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방언을 포함한 한국어 교재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과 관련해서는 여성 결혼이민자들의 경우 주로 자녀에 대한 관심이 가장 많고 일상생활 및 일상생활에 필요한 한국어에 관심을 갖는 경우도 많아 이와 관련한 내용을 중심으로 교재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었다.
      마지막으로 한국 문화에 대해서는 ‘제사 문화’, ‘예절 문화’, ‘장례 문화’에 대한 내용이 반영될 필요가 있다고 확인되었다.
      번역하기

      이 글은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여성 결혼이민자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국내 생활에 적응하는데 방언 한국어 교육이 필요한지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논의된 내용을 정리하...

      이 글은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여성 결혼이민자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국내 생활에 적응하는데 방언 한국어 교육이 필요한지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논의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방언을 포함한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과 관련해서 대다수의 여성 결혼이민자들이 방언을 포함한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가정 내 시어머니와의 관계에서 방언 교육의 필요성이 절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방언 교육은 주로 ‘말하기’, ‘듣기’ 중심으로 교육이 이루어지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 교육 방법 및 교육 시간과 관련된 조사 결과를 정리하면 먼저 교육 방법에 대해서는 방언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위해 기관이나 단체를 중심으로 한국어 교사 양성 과정 등을 이수한 한국어 교사들이 이들에 대해 체계적인 방언 교육을 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었다. 다음으로 교육 시간에 대해서는 여러 상황을 고려한 결과 일주일에 두 번, 두 시간씩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방언을 포함한 한국어 교재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과 관련해서는 여성 결혼이민자들의 경우 주로 자녀에 대한 관심이 가장 많고 일상생활 및 일상생활에 필요한 한국어에 관심을 갖는 경우도 많아 이와 관련한 내용을 중심으로 교재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었다.
      마지막으로 한국 문화에 대해서는 ‘제사 문화’, ‘예절 문화’, ‘장례 문화’에 대한 내용이 반영될 필요가 있다고 확인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민경, "이주여성을 위한 한국어 일일학습 교재 개발 방안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2007

      2 소강춘, "이주민의 한국어․문화교육 실태와 개선 방안" 22-44, 2008

      3 이영옥, "이주 여성을 위한 생활한국어 교재 개발 연구" 배재대학교 2007

      4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 국립국어원․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9

      5 장미영,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체감형 한국어교육콘텐츠 개발 및 구성"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7 (17): 231-254, 2006

      6 이상규, "여성결혼이민자 한국어 교육의 과제" 한국문학언어학회 (46) : 101-130, 2007

      7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사 교육용 교재" 국립국어원․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9

      8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사 교육용 교육과정" 국립국어원․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9

      9 김일란, "여성 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육을 위한 교수요목 개발 연구" 경희대학교 2007

      10 이선영, "여성 결혼이민자 대상 독학용 청각 교재 개발 연구: 초급 단계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2008

      1 이민경, "이주여성을 위한 한국어 일일학습 교재 개발 방안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2007

      2 소강춘, "이주민의 한국어․문화교육 실태와 개선 방안" 22-44, 2008

      3 이영옥, "이주 여성을 위한 생활한국어 교재 개발 연구" 배재대학교 2007

      4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 국립국어원․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9

      5 장미영,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체감형 한국어교육콘텐츠 개발 및 구성"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7 (17): 231-254, 2006

      6 이상규, "여성결혼이민자 한국어 교육의 과제" 한국문학언어학회 (46) : 101-130, 2007

      7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사 교육용 교재" 국립국어원․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9

      8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사 교육용 교육과정" 국립국어원․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9

      9 김일란, "여성 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육을 위한 교수요목 개발 연구" 경희대학교 2007

      10 이선영, "여성 결혼이민자 대상 독학용 청각 교재 개발 연구: 초급 단계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2008

      11 이경연, "문화 교육 겸용 초급 한국어 교재 개발 연구: 여성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고려대학교 2007

      12 세명대 한국학센터, "다문화가정 대상 방언 한국어 교재 개발 타당성 조사 연구용역 보고서" 국립국어원․세명대 한국학센터 2008

      13 방성원, "다문화 가정 대상의 한국어 교육" 583-601, 2008

      14 장수정, "국제이주여성을 위한 어휘교재 개발 연구" 상명대학교 2006

      15 왕한석,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언어 및 문화 적응 실태 연구: 전라북도 임실군(및 순창군․남원시) 일원 사례 보고서" 국립국어원 2005

      16 구지은, "국제결혼 이주여성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부산․경남지역중심으로" 부산외국어대학교 2006

      17 이은주, "결혼 이주여성을 위한 초급 한국어교재 단원 내용 구성 방안: 의사소통 상황을 중심으로" 선문대학교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 0.3 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8 0.823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