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도시텃밭 주요 특성요인 및 만족도 분석 - 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 Analysis of the main factors and satisfaction of Urban vegetable Garden -Focused on Ulsan city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874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implemented to identify the role of the urban vegetable garden within the urban vegetable garden programs. Prior studies related to the urban vegetable gardens were reviewed to find out the most general factors that influenced participants and citizens. Five factors; safety, accessibility, openness, conformability, and regionality were select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Four hundr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two hundred ninety-four were properly answered. Twenty eight questions out of thirty were passed factorial analysis and all of them had positive response rate on the participants’ concerns. Satisfaction and regionality had the strongest correlation, 0.618.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analysis also showed that citizens considered all six factors as important factors. In conclusion, all six factors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as important factors for decision-makers to create and operate the urban vegetable garden programs.
      번역하기

      This study was implemented to identify the role of the urban vegetable garden within the urban vegetable garden programs. Prior studies related to the urban vegetable gardens were reviewed to find out the most general factors that influenced participa...

      This study was implemented to identify the role of the urban vegetable garden within the urban vegetable garden programs. Prior studies related to the urban vegetable gardens were reviewed to find out the most general factors that influenced participants and citizens. Five factors; safety, accessibility, openness, conformability, and regionality were select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Four hundr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two hundred ninety-four were properly answered. Twenty eight questions out of thirty were passed factorial analysis and all of them had positive response rate on the participants’ concerns. Satisfaction and regionality had the strongest correlation, 0.618.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analysis also showed that citizens considered all six factors as important factors. In conclusion, all six factors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as important factors for decision-makers to create and operate the urban vegetable garden program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문환, "텃밭정원 도시미학"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2

      2 강기남, "텃밭을 이용한 도시농업의 활성화 방안" 26 (26): 167-176, 2007

      3 김지원, "청주시 도시텃밭 시설의 이용 만족도"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5

      4 최기원, "지역문화시설의 ‘건축적 공공성’을 구현하는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24 (24): 311-314, 2004

      5 손병웅, "지속가능 유기농업과 생태적 삶을 위한 생태마을 조성 : 포항시 죽장면 상옥리를 사례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9

      6 손기철, "전문적 원예치료를 위한 평가도구 및 프로그램" 쿠북 2006

      7 손병웅, "유기농업에 기초한 포항시 도시농업 모델 개발 및 활성화 방안"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2

      8 이진호, "운동선수가 지각한 사회적 환경 요인과 심리적 웰빙의 관계에서 기본적 심리욕구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3 (23): 59-75, 2012

      9 이훈길, "서울 도심 공공영역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연구" 527-539, 2003

      10 김민수, "도시텃밭의 역할과 발전방향에 대한 고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6

      1 김문환, "텃밭정원 도시미학"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2

      2 강기남, "텃밭을 이용한 도시농업의 활성화 방안" 26 (26): 167-176, 2007

      3 김지원, "청주시 도시텃밭 시설의 이용 만족도"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5

      4 최기원, "지역문화시설의 ‘건축적 공공성’을 구현하는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24 (24): 311-314, 2004

      5 손병웅, "지속가능 유기농업과 생태적 삶을 위한 생태마을 조성 : 포항시 죽장면 상옥리를 사례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9

      6 손기철, "전문적 원예치료를 위한 평가도구 및 프로그램" 쿠북 2006

      7 손병웅, "유기농업에 기초한 포항시 도시농업 모델 개발 및 활성화 방안"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2

      8 이진호, "운동선수가 지각한 사회적 환경 요인과 심리적 웰빙의 관계에서 기본적 심리욕구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3 (23): 59-75, 2012

      9 이훈길, "서울 도심 공공영역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연구" 527-539, 2003

      10 김민수, "도시텃밭의 역할과 발전방향에 대한 고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6

      11 노희영, "도시텃밭의 공동체 활성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12

      12 남태호, "도시텃밭 분포 특성 및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33-38, 2013

      13 김태곤, "도시농업의 치유기능 확산과 도농상생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4

      14 이차희, "도시농업 운영주체별 조성과 운영방식 비교연구 : 공동텃밭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12

      15 김미향, "도시내 공지를 활용한 커뮤니티가든 모델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16 남궁희, "도시공원 내 텃밭 도입에 따른 공원의 공공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4

      17 유시범, "도시공공성의 관점에서 본 도시텃밭의 현황과 특성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14

      18 김옥진, "도시 경작지의 특성과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순천대학교 대학원 2009

      19 이정원, "농촌경관계획 및 관리를 위한 주민참여 활성화방안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13

      20 조미정, "공영텃밭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6

      21 송지준, "SPSS/AMOS 통계분석방법" 21세기사 2010

      22 Hou, J., "Greening Cities Growing Communities: Learning from Seattle’s" Urban Community Gardens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