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뉴스리터러시 교육과 연계한 건강교육활동을 구성하여 이를 유치원 현장에 적용한 후 유아의 건강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083361
202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81-107(27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뉴스리터러시 교육과 연계한 건강교육활동을 구성하여 이를 유치원 현장에 적용한 후 유아의 건강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유...
본 연구는 뉴스리터러시 교육과 연계한 건강교육활동을 구성하여 이를 유치원 현장에 적용한 후 유아의 건강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유치원의 만 4세 유아들을 대상으로 건강 관련 뉴스를 선정하고, 건강교육활동을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은 2017년 6월 21일부터 10월 20일까지 총 21회차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연구대상은 경기도 성남시에 소재하고 있는 S유치원의 만 4세 A 학급과 B 학급의 유아들로 각각 20명의 유아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의 건강인식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들은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t-검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의 건강 인식 전체 점수에서 뉴스리터러시를 기반으로 한 건강교육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 유아들이 신체건강, 영양, 정신건강, 안전 모든 요소에서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의 건강인식 함양을 위한 뉴스 활용 교육활동의 모델을 제시하고, 뉴스리터러시 교육의 현장 적용을 위한 실제적인 방안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s health education knowledge related to news literacy.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40 four-year-old children in S kindergarten located in Jung-won Gu, Seong-nam. They were div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s health education knowledge related to news literacy.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40 four-year-old children in S kindergarten located in Jung-won Gu, Seong-nam.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 group(n=20) or a control group(n=20).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is order: pretest, experimental treatment, posttest. Young children’s ideas of health perception was measured in both the pretest and posttest. The experiment had been conducted for 21 times from June 21 to October 20, 2017. A t-test was performed on the data collected through pretest and posttest using SPSS 23.0.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health education activities related to news literacy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overall health perception. This study presents an educational model for utilizing news in early childhood health education, and provides an educational practice for applying news literacy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일옥, "학령전 아동을 위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간호학회 9 (9): 46-56, 2003
2 손민지, "정보그림책을 활용한 건강교육활동이 유아의 건강인식 및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7 (17): 137-165, 2016
3 이혜인, "장애유아교육기관의 장애유아 건강관리 및 건강교육 실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8
4 박승주, "일반유아교육기관과 생태유아교육기관의 건강교육 운영실제에 관한 비교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3
5 엄옥주, "유아교육기관의 건강관리 및 건강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6 李惠卿,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건강관리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 경기도를 중심으로" 暻園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7 하새봄, "유아건강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개념도 분석" 과학교육연구소 54 (54): 188-198, 2015
8 정경남, "유아건강관리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수행 및 요구에 관한 연구" 광주대학교 대학원 2013
9 주봉관, "유아 대상 뉴스 리터러시 교육이 유아의 수용ㆍ표현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1 (21): 365-384, 2017
10 정미라, "영유아를 위한 건강 및 영양교육" 양서원 2007
1 김일옥, "학령전 아동을 위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간호학회 9 (9): 46-56, 2003
2 손민지, "정보그림책을 활용한 건강교육활동이 유아의 건강인식 및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7 (17): 137-165, 2016
3 이혜인, "장애유아교육기관의 장애유아 건강관리 및 건강교육 실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8
4 박승주, "일반유아교육기관과 생태유아교육기관의 건강교육 운영실제에 관한 비교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3
5 엄옥주, "유아교육기관의 건강관리 및 건강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6 李惠卿,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건강관리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 경기도를 중심으로" 暻園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7 하새봄, "유아건강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개념도 분석" 과학교육연구소 54 (54): 188-198, 2015
8 정경남, "유아건강관리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수행 및 요구에 관한 연구" 광주대학교 대학원 2013
9 주봉관, "유아 대상 뉴스 리터러시 교육이 유아의 수용ㆍ표현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1 (21): 365-384, 2017
10 정미라, "영유아를 위한 건강 및 영양교육" 양서원 2007
11 박은미, "영상매체를 활용한 재난안전교육이 유아의 안전문제해결사고 및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2 김낙흥, "언론진흥재단 개발, 유아 교사 대상 뉴스 리터러시 온라인 연수 프로그램" 5 (5): 62-67, 2018
13 박현정, "아동간호학" 공동체 2013
14 이상임,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건강교육활동이 유아의 건강소양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2 (22): 109-134, 2017
15 이규남, "숲 유치원 활동이 유아들의 건강증진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2015
16 한유선, "미디어를 활용한 안전교육이 유아의 안전문제해결사고와 안전지식에 미치는 영향" 중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7 유은영,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유아건강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18 김미숙,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보건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건강행위 인지도와 수행정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6
19 서정금, "뉴스동영상을 활용한 사회적 갈등 해결 토의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20 이정훈, "뉴스 리터러시: 새로운 뉴스 교육의 이론적 탐색" 한국소통학회 (19) : 66-95, 2012
21 주봉관, "뉴스 리터러시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1 (21): 373-396, 2017
22 최숙, "뉴스 리터러시 교육 : 커리큘럼 및 지원 체계. 1" 한국언론진흥재단 2015
23 신은경, "뉴스 동영상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성결대학교 2017
24 김은숙, "그림책에 나타난 영유아건강교육 내용 분석 및 그림책을 활용한 건강교육실태" 한양대학교 2015
25 이현숙, "국가 고시 유치원 교육과정의 건강생활영역의 변천" 미래유아교육학회 17 (17): 117-146, 2010
26 박춘성, "건강하고 바른 세상 뉴스로 배워요" 한국언론진흥재단 2015
27 한국갤럽,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소비자 U&A 조사결과보고서" 한국갤럽조사연구소 2012
28 남용현, "WIC(Women, Infants, Children)프로그램이 유아기 건강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2014
29 커뮤니케이션정책위원회, "OECD 정보화, 컴퓨터, 인터넷 혁명과 뉴스의 진화" 한국언론진흥재단 2010
30 National Research Council,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ational Academy Press 1996
31 Bergen, S., "Healthy children, healthy lives" Redleaf Press 2012
32 Marotz, L. R., "Health, safety, and nutrition for the young child" Cengage Learning 2009
33 교육부,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34 보건복지부,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영아보육프로그램" 보건복지부 저출산고령사회정책실 보육정책관 보육기반과 2013
학교평가의 목적, 평가주체, 평가위원 구성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차이: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다층모형에 의한 학교 진로교육 환경이 중학생의 진로개발역량, 참여 다양성,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용 에이전트가 적용된 멀티미디어 자료에서 화면크기와 텍스트 제시방식이 주의집중 및 중복효과에 미치는 영향
인성교육의 기존연구 검토와 방향성에 관한 고찰 - 외재적 덕목의 강조에서 내재적 주체성 확립에로의 전환을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4-1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Education -> Korean Education Inquiry | ![]() |
2013-04-1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Education Inquiry -> The Research Institue of Korean Education | ![]() |
2013-04-1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Education Inquiry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6 | 1.26 | 1.1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7 | 1.22 | 1.339 | 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