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의 기술을 위한 동사 속성 연구-동사 ‘따르다1’의 고빈도 사용 양상 의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ttributes of a Verb for the Polysemic Descrip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993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개별 동사의 말뭉치 예문을 분석하여 의미를 분류하고 의미별 사용 양상을 살핀 후에, 고빈도 사용 양상을 보이는 의미를 대상으로 개별 동사의 속성 체계화에 대하여 논의를 하였다. 이를 위해서 동사 ‘따르다1’을 대상으로 말뭉치의 예문을 분석하고 어떠한 의미 영역에서 쓰이는지 분류하여 개별 동사의 속성을 체계화하는 기반이 될 수 있도록 개념명을 설정하였다. 이 개념명을 기반으로 실제 ‘따르다1’의 사용 양상을 각 개념명별로 나누어 정리하고 말뭉치 예문을 분석한 결과에서 고빈도 사용 양상을 보이는 ‘수반(隨伴)’과 ‘의거(依據)’, ‘준수(遵守)’ 등의 의미를 추출하였다. 이 개념들을 대상으로 그 속에 내재해 있는 상적 특성, 상황 유형, 논항 구조, 격틀, 공기하는 명사 논항, 활용 형태 등의 속성을 분석하여 개별 동사의 속성 체계화에 대하여 논의를 하였다. 이 연구와 같이 다양한 관점에서 동사의 의미 속성을 연구하는 논의들이 계속된다면 동사 전체의 의미 연구, 나아가 어휘의미망의 구축, 어휘 교육 등에서도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개별 동사의 말뭉치 예문을 분석하여 의미를 분류하고 의미별 사용 양상을 살핀 후에, 고빈도 사용 양상을 보이는 의미를 대상으로 개별 동사의 속성 체계화에 대하여 논의를 하...

      이 연구는 개별 동사의 말뭉치 예문을 분석하여 의미를 분류하고 의미별 사용 양상을 살핀 후에, 고빈도 사용 양상을 보이는 의미를 대상으로 개별 동사의 속성 체계화에 대하여 논의를 하였다. 이를 위해서 동사 ‘따르다1’을 대상으로 말뭉치의 예문을 분석하고 어떠한 의미 영역에서 쓰이는지 분류하여 개별 동사의 속성을 체계화하는 기반이 될 수 있도록 개념명을 설정하였다. 이 개념명을 기반으로 실제 ‘따르다1’의 사용 양상을 각 개념명별로 나누어 정리하고 말뭉치 예문을 분석한 결과에서 고빈도 사용 양상을 보이는 ‘수반(隨伴)’과 ‘의거(依據)’, ‘준수(遵守)’ 등의 의미를 추출하였다. 이 개념들을 대상으로 그 속에 내재해 있는 상적 특성, 상황 유형, 논항 구조, 격틀, 공기하는 명사 논항, 활용 형태 등의 속성을 분석하여 개별 동사의 속성 체계화에 대하여 논의를 하였다. 이 연구와 같이 다양한 관점에서 동사의 의미 속성을 연구하는 논의들이 계속된다면 동사 전체의 의미 연구, 나아가 어휘의미망의 구축, 어휘 교육 등에서도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example sentences of works in which the verb “ttareuda 1” is used and thereby looked into the pattern of its usage. Based on this, the study aimed to analyze and systemize the attributes of the meaning of “ttareuda 1”, which shows a pattern of frequent use from among various meanings. For this, the study classified the verb “ttareuda 1” in order to see in which semantic domain. Also,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xample sentences of works regarding the actual pattern of usage of ”ttareuda 1”, the study extracted the meaning of “ttareuda 1”, which demonstrates a pattern of frequent usages including “concurrence” and “basis”, “standard”. Aimed at these three concepts, the study analyzed the relevant attributes involving the aspect characteristics, argument structure, case frame, noun argument that is used together, and the pattern of inherent internal utilization. In case of the discussions in research into the semantic attributes of a verb from diverse perspectives as used in this study, these will also be a foundation to be utilized variously in research into the entire meaning of a verb or further for the construction of a vocabulary semantic network.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d example sentences of works in which the verb “ttareuda 1” is used and thereby looked into the pattern of its usage. Based on this, the study aimed to analyze and systemize the attributes of the meaning of “ttareuda 1”, whic...

      This study analyzed example sentences of works in which the verb “ttareuda 1” is used and thereby looked into the pattern of its usage. Based on this, the study aimed to analyze and systemize the attributes of the meaning of “ttareuda 1”, which shows a pattern of frequent use from among various meanings. For this, the study classified the verb “ttareuda 1” in order to see in which semantic domain. Also,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xample sentences of works regarding the actual pattern of usage of ”ttareuda 1”, the study extracted the meaning of “ttareuda 1”, which demonstrates a pattern of frequent usages including “concurrence” and “basis”, “standard”. Aimed at these three concepts, the study analyzed the relevant attributes involving the aspect characteristics, argument structure, case frame, noun argument that is used together, and the pattern of inherent internal utilization. In case of the discussions in research into the semantic attributes of a verb from diverse perspectives as used in this study, these will also be a foundation to be utilized variously in research into the entire meaning of a verb or further for the construction of a vocabulary semantic network.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호승, "현대국어의 상황유형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7

      2 황병순, "현대 국어 동사의 상 연구" 배달말학회 11 (11): 91-126, 1986

      3 崔鎬哲, "현대 국어 敍述語의 의미 연구 : 義素 設定을 중심으로"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3

      4 남승호, "한국어 술어의 사건 구조와 논항 구조"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07

      5 박종호, "한국어 동사의미망구축 방법론" 청운 2012

      6 최경봉, "한국어 동사 의미망 구축을 위한 상위 온톨로지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어학회 28 : 217-244, 2005

      7 Ullmann, S., "의미론:의미과학입문" 탑 출판사 1962

      8 Vossen,P., "유로워드넷" 한국문화사 1998

      9 이유경, "외국인 학습자의 다의어 사용 현황 분석 -동사 ‘보다’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회 (35) : 281-302, 2007

      10 국립국어원, "언어정보나눔터"

      1 이호승, "현대국어의 상황유형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7

      2 황병순, "현대 국어 동사의 상 연구" 배달말학회 11 (11): 91-126, 1986

      3 崔鎬哲, "현대 국어 敍述語의 의미 연구 : 義素 設定을 중심으로"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3

      4 남승호, "한국어 술어의 사건 구조와 논항 구조"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07

      5 박종호, "한국어 동사의미망구축 방법론" 청운 2012

      6 최경봉, "한국어 동사 의미망 구축을 위한 상위 온톨로지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어학회 28 : 217-244, 2005

      7 Ullmann, S., "의미론:의미과학입문" 탑 출판사 1962

      8 Vossen,P., "유로워드넷" 한국문화사 1998

      9 이유경, "외국인 학습자의 다의어 사용 현황 분석 -동사 ‘보다’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회 (35) : 281-302, 2007

      10 국립국어원, "언어정보나눔터"

      11 최기선, "어휘의미망 구축론" 한국과학기술원 전문용어언어공학연구센터 KAISTPRESS 2005

      12 정문수, "상적 특성에 따른 한국어 풀이씨의 연구" 문법연구회 5 : 51-85, 1984

      13 이동혁, "사전과 어휘의미망에서의 의미 기술" 한국어의미학회 3-19, 2010

      14 전정미, "분리동사 {자르다/베다}구문의 인지언어학적 분석" 한말연구학회 10 : 193-219, 2002

      15 이기동, "동사 되다의 의미분석" 동방학회 71․72 : 205-231, 1991

      16 李仁順, "동사 「쓰다」의 의미 연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1986

      17 Grimshaw, J., "논항구조론" 한국문화사 1998

      18 서상규, "국어정보학 입문" 태학사 2002

      19 변정민, "국어의 인지 동사 연구 : 통사적·의미적 특성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2

      20 우창현, "국어의 상 해석 과정에 대하여" 대한언어학회 11 (11): 123-141, 2003

      21 이호승, "국어의 상 체계와 보조용언의 상적 의미" 국어학회 38 : 209-239, 2001

      22 박덕유, "국어의 相종류와 특성에 대하여-문법적 동사상을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55) : 131-164, 1998

      23 남경완, "국어 용언의 의미 분석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5

      24 김성화, "국어 상 연구" 한신문화사 1990

      25 이관규, "국어 사용에서 언어 환경의 현황과 과제" 한국국어교육학회 (81) : 231-254, 2009

      26 천기석, "국어 동작 동사와 상태 동사의 체계 연구" 형설출판사 1984

      27 정규석, "국어 동사의 상에 대한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5

      28 이민우, "국어 동사 ‘지다’의 다의적 의미관계 분석" 한국어의미학회 27 : 127-150, 2008

      29 김은영, "국어 감정동사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4

      30 崔昌烈, "國語意味構造에 관한 연구 : 동사의 의미기능을 중심으로" 全北大學校 大學院 1980

      31 이숙의, "‘맞다, 보다, 삼다, 얻다’의 공통의미" 어문연구학회 45 : 97-120, 2004

      32 임태성, "‘달리다’에 나타난 이동 사건의 의미 속성" 한국어의미학회 38 : 81-107, 2012

      33 국립국어원, "[단행본] 표준국어 대사전" 두산동아 1999

      34 Vendler, Z., "Verds& Times,LinguisticsinPhilosophy" Cornell University 1967

      35 Comrie,B., "AnIntroductiontothestudyofVerbalAspectandRelated Problems" CambridgeUniversityPress 197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12-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Association of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13-12-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Modern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8 0.95 1.479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