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소년 자녀의 부모와 대안관계 간 자원교환 연결형태가 부모에 대한 권력사용에 미치는 영향 = Adolescent children’s network connection type between parents and alternatives and its effect on power use over par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890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resource connection between parents and alternative relations and also analyzes the effect of connection types on children’s power use on their parents, from the exchange theory perspective. We collected data from 254 middle to high school students. As results of comparing the level of received resources, children depended more on parents’ material resources than on alternatives’ and also depended more on mother’s than on father’s. However, children received high level of symbolic resources from the alternatives. We found that complementary type was dominant comparing to substitutable type between parents and alternatives. However, parents dependent type was the largest group. We also found that there are highly correlated resource areas and also resource givers. This high positive correlations could be resulted in high level gap in the available resources among children. As power-dependence theory expected, there was significant effects of alternative resources on power use where the resource network connection type was negative. In case of negative connection, mothers’ resources which was the alternative to fathers’, increased the child’s power use on fathers. However, children who depended more on mothers’ material resource, used more power on their mothers. This contradictory finding would be reflecting the dependent child identity, which is taken for granted in the child-centered Korean families
      번역하기

      This study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resource connection between parents and alternative relations and also analyzes the effect of connection types on children’s power use on their parents, from the exchange theory perspective. We collected da...

      This study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resource connection between parents and alternative relations and also analyzes the effect of connection types on children’s power use on their parents, from the exchange theory perspective. We collected data from 254 middle to high school students. As results of comparing the level of received resources, children depended more on parents’ material resources than on alternatives’ and also depended more on mother’s than on father’s. However, children received high level of symbolic resources from the alternatives. We found that complementary type was dominant comparing to substitutable type between parents and alternatives. However, parents dependent type was the largest group. We also found that there are highly correlated resource areas and also resource givers. This high positive correlations could be resulted in high level gap in the available resources among children. As power-dependence theory expected, there was significant effects of alternative resources on power use where the resource network connection type was negative. In case of negative connection, mothers’ resources which was the alternative to fathers’, increased the child’s power use on fathers. However, children who depended more on mothers’ material resource, used more power on their mothers. This contradictory finding would be reflecting the dependent child identity, which is taken for granted in the child-centered Korean famil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 자녀가 형성하는 관계를 교환이론적 관점에서 조망하여, 자녀들이 부모와 대안관계에서 제공받는 자원의 특성과 부모와 대안 간의 자원연결의 특성을 밝히고, 자원의 연결형태에 따라 부모에 대한 권력사용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중・고등학생 25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각 대상으로부터 제공받는 자원수혜수준을 비교한 결과, 물질적 자원은 대안보다는 부모자원에 대한 의존도가 높고, 아버지보다 어머니 의존도가 더 높았다. 그러나 상징적 자원은 대안이 제공하는 수준도 상당히 높음을 발견하였다. 부모와 대안 간 관계는 대체적 관계보다는 상보적 관계가 우세하였으나 부모의존집단이 가장 많았다. 자원의 속성들 간, 관계들 간의 정적상관이 높아서 청소년들의 이용 가능한 자원 수준에서 격차가 크게 발생할 수 있음도 발견하였다. 자원의 연결형태에 따른 권력사용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권력-의존이론이 예측하듯이 권력사용은 부적 연결형태에서만 의미가 있었다. 부적 연결형태에서 어머니의 자원이 아버지 자원에 대한 대안으로 작용하여 자녀의 아버지에 대한 권력사용을 증가시켰다. 반면 어머니의 물질적 자원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자녀들이 예상과 달리 어머니에게 더 많은 권력을 사용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자녀의 학업성취에 치중되어 있는 한국가족의 자녀중심성으로 인해 자녀의 부모에 대한 의존도를 당연하게 생각하고 어머니에게는 자원제공자로서의 정체성을 기대하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청소년 자녀가 형성하는 관계를 교환이론적 관점에서 조망하여, 자녀들이 부모와 대안관계에서 제공받는 자원의 특성과 부모와 대안 간의 자원연결의 특성을 밝히고, 자원의 연...

      본 연구는 청소년 자녀가 형성하는 관계를 교환이론적 관점에서 조망하여, 자녀들이 부모와 대안관계에서 제공받는 자원의 특성과 부모와 대안 간의 자원연결의 특성을 밝히고, 자원의 연결형태에 따라 부모에 대한 권력사용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중・고등학생 25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각 대상으로부터 제공받는 자원수혜수준을 비교한 결과, 물질적 자원은 대안보다는 부모자원에 대한 의존도가 높고, 아버지보다 어머니 의존도가 더 높았다. 그러나 상징적 자원은 대안이 제공하는 수준도 상당히 높음을 발견하였다. 부모와 대안 간 관계는 대체적 관계보다는 상보적 관계가 우세하였으나 부모의존집단이 가장 많았다. 자원의 속성들 간, 관계들 간의 정적상관이 높아서 청소년들의 이용 가능한 자원 수준에서 격차가 크게 발생할 수 있음도 발견하였다. 자원의 연결형태에 따른 권력사용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권력-의존이론이 예측하듯이 권력사용은 부적 연결형태에서만 의미가 있었다. 부적 연결형태에서 어머니의 자원이 아버지 자원에 대한 대안으로 작용하여 자녀의 아버지에 대한 권력사용을 증가시켰다. 반면 어머니의 물질적 자원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자녀들이 예상과 달리 어머니에게 더 많은 권력을 사용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자녀의 학업성취에 치중되어 있는 한국가족의 자녀중심성으로 인해 자녀의 부모에 대한 의존도를 당연하게 생각하고 어머니에게는 자원제공자로서의 정체성을 기대하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휘숙, "형제자매의 구성과 친구관계, 애착 및 생활만족의 관계" 한국인간발달학회 14 (14): 53-70, 2007

      2 임정하, "한국적 부모 양육행동과 청소년의 발달특성과의 관계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책임감을 중심으로-" 한국인간발달학회 13 (13): 135-151, 2006

      3 한남제, "한국의 산업화와 가족기능의 변화" 16 : 23-33, 1994

      4 손승영, "한국 가족의 청소년 자녀 사회화 연구 : 부모의 기대와 개입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57-84, 2009

      5 황창순, "초기 청소년기의 부모 및 또래애착과 애착의 변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7 (17): 201-225, 2006

      6 소수연, "초기 청소년기의 변화에 대한 부모-자녀의 인식에 관한 연구 - 청소년·부모 FGI를 중심으로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2 (22): 247-279, 2014

      7 정미선,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또래관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0

      8 문주희,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관계, 또래관계, 교사관계가 학업효능감과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초기 청소년과 중기 청소년 비교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0 (10): 39-50, 2012

      9 박의숙,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 유형과 또래관계 질과의 관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0 임연진, "청소년의 부모-자녀 관계 및 자아존중감과 외로움간의 관계" 5 (5): 61-69, 2003

      1 장휘숙, "형제자매의 구성과 친구관계, 애착 및 생활만족의 관계" 한국인간발달학회 14 (14): 53-70, 2007

      2 임정하, "한국적 부모 양육행동과 청소년의 발달특성과의 관계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책임감을 중심으로-" 한국인간발달학회 13 (13): 135-151, 2006

      3 한남제, "한국의 산업화와 가족기능의 변화" 16 : 23-33, 1994

      4 손승영, "한국 가족의 청소년 자녀 사회화 연구 : 부모의 기대와 개입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57-84, 2009

      5 황창순, "초기 청소년기의 부모 및 또래애착과 애착의 변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7 (17): 201-225, 2006

      6 소수연, "초기 청소년기의 변화에 대한 부모-자녀의 인식에 관한 연구 - 청소년·부모 FGI를 중심으로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2 (22): 247-279, 2014

      7 정미선,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또래관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0

      8 문주희,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관계, 또래관계, 교사관계가 학업효능감과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초기 청소년과 중기 청소년 비교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0 (10): 39-50, 2012

      9 박의숙,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 유형과 또래관계 질과의 관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0 임연진, "청소년의 부모-자녀 관계 및 자아존중감과 외로움간의 관계" 5 (5): 61-69, 2003

      11 김정민, "청소년의 또래관계의 질과 학업성취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12 : 115-128, 2008

      12 강유진, "청소년 학교적응에 대한 가족요인의 영향 : 가족배경요인과 가족관계요인의 상대적 영향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6 (16): 283-316, 2005

      13 이선이, "청소년 자녀와 어머니의 교환관계 분석" 한국인구학회 29 (29): 97-131, 2006

      14 김정민, "청소년 자녀와 어머니가 교환자원에 부여하는가치 일치도에 따른 관계만족도" 한국가족학회 28 (28): 207-232, 2016

      15 김정민, "청소년 스트레스와 신체화 증상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대한스트레스학회 23 (23): 187-196, 2015

      16 손주영, "중학생과 학부모의 청소년을 위한 건강가정 교육에 관한 요구도와 생활 만족도"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8 (18): 95-111, 2006

      17 김현주, "중학생 및 대학생 자녀와 어머니의 교환관계 유형과 예측요인: 상호적 유형과 협상적 유형" 한국사회학회 47 (47): 35-65, 2013

      18 우해봉, "중고령층의 생애과정 분석: 분화와 탈정형화 지표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0 (40): 35-61, 2013

      19 문은식, "중·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안녕 및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19 (19): 1087-1108, 2005

      20 김현주, "자원교환과 대안적 관계가 부모자녀 간의 권력사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구학회 42 (42): 59-88, 2019

      21 이여봉, "자원 교환이 청소년 자녀와 어머니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학회 19 (19): 223-260, 2007

      22 심광현, "자본주의 압축성장과 세대의 정치경제/문화정치 비판의 개요" 63 (63): 15-46, 2010

      23 박미연, "자녀학령기 가계의 노후준비자금과 사교육비 지출에 관한 연구" 1 (1): 131-156, 2008

      24 김현주, "자녀의 성적이 어머니와 자녀의 교환관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1 (21): 115-142, 2010

      25 전효정, "유아기 부모와의 애착경험이 청소년기 또래애착과 스트레스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9 (9): 191-210, 2002

      26 김남옥, "왜 한국사회에서 정치적 사회참여는 감소하는가?" 한국이론사회학회 (28) : 33-67, 2016

      27 김현주, "어머니와 청소년 자녀간 자원교환 측정도구의 개발과타당화" 한국가족학회 18 (18): 2006

      28 김현주, "어머니와 자녀간 자원교환과 관계만족도: 노후동거의사를 조건으로" 한국여성심리학회 10 (10): 525-553, 2005

      29 이여봉, "어머니와 자녀 간 자원교환의 호혜성에 관한 연구: 형평성, 이타성, 그리고 관계만족도" 한국가족학회 25 (25): 39-76, 2013

      30 정옥분, "애착과 발달" 학지사 2009

      31 최진희, "아동의 행동문제와 또래 괴롭힘이 학교적응과 우정관계에 미치는 영향의 경로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32 장휘숙, "아동기 이후의 애착에 관한 최근 연구의 개관" 1997 (1997): 439-454, 1997

      33 박경숙, "세대 갈등의 소용돌이: 가족.경제.문화.정치적 메커니즘" 다산출판사 2013

      34 박기남, "생애과정 관점에서 본 여성의 돌봄 역할과 개인화 - 국민연금제도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연구소 13 (13): 47-91, 2013

      35 조병은, "사회교환이론적 관점에서 본 맞벌이 가족의 성인 딸/며느리와노모의 관계" 12 (12): 83-98, 1992

      36 신화용, "사회교환론적 관점에서 본 노모를 부양하는 성인자녀가 지각한 대가, 보상 및 관계의 질-한국과 재미교포자녀의 비교" 한국가족관계학회 9 (9): 153-174, 2004

      37 김은아, "부정적 양육방식이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위축과 또래관계의 중다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3 (23): 155-176, 2016

      38 조용주,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녀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력 검증 : 교사애착과 또래애착의 간접효과"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30 : 47-70, 2015

      39 심희옥, "부모와의 의사소통, 교사와의 관계 및 교내외 활동이 청소년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21 (21): 159-175, 2000

      40 한지나, "부모와의 갈등관계가 청소년의 외현화된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친구와의 갈등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8 (18): 21-40, 2016

      41 하영희, "부모-자녀관계와 청소년의 우울 및 문제행동과의 관계"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2 (12): 42-52, 2004

      42 이희자,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 9 (9): 283-295, 2000

      43 이사라, "부모, 또래, 교사가 아동과 청소년의 자아개념발달에 미치는 영향: 중국 조선족과 한국 아동 및 청소년 비교" 대한가정학회 43 (43): 163-181, 2005

      44 김현주, "보상적 자원과 강압적 자원의 교환 증감에 따른 모-자녀간 관계만족도의 변화" 한국사회학회 49 (49): 233-262, 2015

      45 김정규, "미국 청소년들의 또래 관계와 그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인문사회과학회 33 (33): 225-253, 2009

      46 하석철, "모(母)와 성인자녀 간 장기적 호혜관계연구: 세대 간 돌봄 행위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47 양윤란, "또래관계기술이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기제: 자기통찰에 의해 중재된 자기제시기대의 매개 효과" 한국임상심리학회 26 (26): 57-71, 2007

      48 최수진, "또래관계 및 부모-자녀관계 특성이 청소년의 자살 충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54 (54): 307-319, 2016

      49 곽인숙, "노인의 자녀와의 상호간 지원 교환이 성공적인 노후생활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5 (15): 107-127, 2011

      50 윤현숙, "노부모와 자녀간의 지원교환이 노인의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23 (23): 15-28, 2003

      51 유계숙, "가족학이론: 관점과 쟁점" 도서출판 하우 2003

      52 황정미, "가족과 친밀성의 사회학" 다산출판사 29-52, 2014

      53 이여봉, "가족 내 분배정의 원칙의 적용과 모-자녀 관계의 질: 중학생 및 대학생과 그들의 어머니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8 (48): 1-34, 2014

      54 김경주, "가정유형과 학업성적 및 부모 양육방식에 따른 청소년 진로포부 비교분석"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6 (6): 113-135, 2009

      55 Larusen, B, "The perceived impact of conflict on adolescent relationships" 39 : 535-550, 1993

      56 Thibaut, J. W., "The Social Psychology of Groups" Wiley 1959

      57 Cook, Karen S., "The Distribution of Power in Exchange Networks : Theory and Experimental Results" 87 : 275-305, 1983

      58 French, J. R. P., "Studies in Social Powe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59

      59 Emerson, R. M., "Sociological Theories in Progress. vol. 2" Houghton-Mifflin 38-57, 1972

      60 Emerson, R. M., "Sociological Theories in Progress" Houghton-Mifflin 58-87, 1972

      61 Woolcock. M, "Social Capital and Economic Development : Toward a Theoretical Synthesis and Policy Framework" 27 : 151-208, 1998

      62 Hazan, C., "Romantic love conceptualized as an attachment process" 52 (52): 511-, 1987

      63 Foa, U. G., "Resource Theory: Explorations and Applications" Academic Press 1993

      64 Giordano, P. C, "Relationships in Adolescence" 29 : 257-281, 2003

      65 Laursen, B, Coy K., "Reconsidering changes in parent-child conflict across adolescence : a meta-analysis" 69 : 817-832, 1998

      66 Freeman, Harry., "Primary attachment to parents during adolescence : Differences by attachment style" 30 (30): 653-674, 2001

      67 Cook, K. S., "Power, Equity and Commitment in Exchange Networks" 43 : 721-739, 1978

      68 Yamaguchi, Kazuo, "Power in Networks of Substitutable and Complementary Exchange Relations : A Rational Choice Model and an Analysis of Power Centralization" 61 (61): 308-332, 1996

      69 Collins, W. A., "Personal relationships during adolescence" Sage 7-36, 1994

      70 Ainsworth, M. D. S., "Patterns of attachment" Erlbaum 1978

      71 Yamagishi, Toshio, "Network Connections and the Distribution of Power in Exchange Networks" 93 : 833-851, 1988

      72 Mann, M., "Macmillan Student Encyclopedia of Sociology" The Macmillan Press Ltd 1983

      73 Collins, W. A., "Handbook of Adolescent Psychology" Wiley 331-361, 2004

      74 Turner, J. C., "Explaining the nature of power : A three-process theory" 35 : 1-22, 2005

      75 Skvoretz, John, "Exclusion and Power : a Test of Four Theories of Power in Exchange Networks" 58 : 801-818, 1993

      76 Floyd, H. H., "Dilemma of youth : The choice of parents or peers as a frame of reference for behavior" 52 : 52-, 1972

      77 Berndt, T, "Developmental changes in conformity to peers and parents" 15 : 606-616, 1979

      78 Youniss, J., "Adolescent Relations with Mothers, Fathers, and Friend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5

      79 Smetana, Judith G., "Adolescent Development in Interpersonal and Societal Contexts" 57 : 255-284, 2006

      80 Bowlby, J., "A Secure Base" Basic Books 1988

      81 우석훈, "88만원 세대 : 절망의 세대에게 쓰는 희망의 경제학" ㈜레디앙미디어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 1.41 1.785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