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년층 여성장애인 고용특성과 취업 영향요인 = Characteristics of Employment and Factors Affecting the Employment of the Young Aged Disabled Wome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to analyze current situation of employment and determinant factors of the employment of young aged disabled women. Method: I used the data on 8th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PSED). Statistical analysis was used chi-square test,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employment were full-time job, office worker, a private corporation, business with fewer than 50 employees, full-time work, 126.8 million won in wage. Second, The employment group showed mild disorder, higher health status, higher level of education, licenses, public employment service, job arrangement of acquaintance, find a job herself, non-basis living security recipient, higher supports of family than unemployment group. Third, The level of education, basic living security recipient, supports of family, job arrangement of acquaintance, find a job herself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mployment. Conclusion: Base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for obtaining job in the young aged disabled women.
      번역하기

      Purpose: This study was to analyze current situation of employment and determinant factors of the employment of young aged disabled women. Method: I used the data on 8th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PSED). Statistical analysis was used ...

      Purpose: This study was to analyze current situation of employment and determinant factors of the employment of young aged disabled women. Method: I used the data on 8th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PSED). Statistical analysis was used chi-square test,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employment were full-time job, office worker, a private corporation, business with fewer than 50 employees, full-time work, 126.8 million won in wage. Second, The employment group showed mild disorder, higher health status, higher level of education, licenses, public employment service, job arrangement of acquaintance, find a job herself, non-basis living security recipient, higher supports of family than unemployment group. Third, The level of education, basic living security recipient, supports of family, job arrangement of acquaintance, find a job herself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mployment. Conclusion: Base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for obtaining job in the young aged disabled wome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는 청년층 여성장애인의 고용특성과 취업 영향요인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분석자료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8차 장애인 고용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통계분석은 기술통계, 카이스퀘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청년층 여성장애인 취업자 특성은 상용근로자, 사무종사자, 민간회사, 50인 미만 사업장, 전일제 근무, 월평균 임금 126.3만원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년층 여성장애인 취업집단은 미취업집단에 비해 경증장애, 건강상태가 좋은 경우, 고학력인 경우, 자격증이 있는 경우, 공공취업서비스 경험이 있는 경우, 주변인에게 취업알선을 받은 경우, 직접 구직 문의를 한 경험이 있는 경우, 비수급자인 경우, 가족의 취업지지가 높은 경우가 많았다. 셋째, 15~29세 청년층 여성장애인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력(p<.001), 기초생활수급(p<.01), 가족의 취업지지(p<.05)로 나타났고, 15~34세 청년층 여성장애인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력(p<.001), 주변인 취업알선 경험(p<.05), 직접 구직문의 경험(p<.01), 기초생활수급(p<.01), 가족의 취업지지(p<.01)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년층 여성장애인의 취업 활성화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연구목적: 본 연구는 청년층 여성장애인의 고용특성과 취업 영향요인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분석자료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8차 장애인 고용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목적: 본 연구는 청년층 여성장애인의 고용특성과 취업 영향요인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분석자료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8차 장애인 고용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통계분석은 기술통계, 카이스퀘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청년층 여성장애인 취업자 특성은 상용근로자, 사무종사자, 민간회사, 50인 미만 사업장, 전일제 근무, 월평균 임금 126.3만원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년층 여성장애인 취업집단은 미취업집단에 비해 경증장애, 건강상태가 좋은 경우, 고학력인 경우, 자격증이 있는 경우, 공공취업서비스 경험이 있는 경우, 주변인에게 취업알선을 받은 경우, 직접 구직 문의를 한 경험이 있는 경우, 비수급자인 경우, 가족의 취업지지가 높은 경우가 많았다. 셋째, 15~29세 청년층 여성장애인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력(p<.001), 기초생활수급(p<.01), 가족의 취업지지(p<.05)로 나타났고, 15~34세 청년층 여성장애인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력(p<.001), 주변인 취업알선 경험(p<.05), 직접 구직문의 경험(p<.01), 기초생활수급(p<.01), 가족의 취업지지(p<.01)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년층 여성장애인의 취업 활성화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용욱, "한국청년의 실업확률 결정요인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2 어수봉, "한국의 장애인 노동시장분석" 19 (19): 69-100, 1996

      3 강순희, "특성화고 졸업자의 취업결정요인 및 노동시장 정착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13 (13): 91-123, 2013

      4 변용찬, "취업장애인의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55 (55): 153-171, 2005

      5 안주엽, "청년층의 첫 일자리 진입:경제위기 전후의 비교" 한국노동경제학회 25 (25): 47-74, 2002

      6 박자경, "청년층 장애인 일자리 특성 및 취업 결정요인" 한국직업재활학회 27 (27): 1-22, 2017

      7 김안국, "청년층 미취업의 실태와 원인 분석" 한국산업인력공단 중앙고용정보원 175-200, 2003

      8 조우현, "청년층 노동자의 고용문제와 실업확률의 결정요인 분석" 18 (18): 107-128, 1995

      9 남재량, "청년층 노동시장 진입 및 정착방안 연구" 노동연구원 2011

      10 김재희, "청년 장애인의 경제활동참여 변화유형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9 (69): 127-152, 2017

      1 정용욱, "한국청년의 실업확률 결정요인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2 어수봉, "한국의 장애인 노동시장분석" 19 (19): 69-100, 1996

      3 강순희, "특성화고 졸업자의 취업결정요인 및 노동시장 정착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13 (13): 91-123, 2013

      4 변용찬, "취업장애인의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55 (55): 153-171, 2005

      5 안주엽, "청년층의 첫 일자리 진입:경제위기 전후의 비교" 한국노동경제학회 25 (25): 47-74, 2002

      6 박자경, "청년층 장애인 일자리 특성 및 취업 결정요인" 한국직업재활학회 27 (27): 1-22, 2017

      7 김안국, "청년층 미취업의 실태와 원인 분석" 한국산업인력공단 중앙고용정보원 175-200, 2003

      8 조우현, "청년층 노동자의 고용문제와 실업확률의 결정요인 분석" 18 (18): 107-128, 1995

      9 남재량, "청년층 노동시장 진입 및 정착방안 연구" 노동연구원 2011

      10 김재희, "청년 장애인의 경제활동참여 변화유형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9 (69): 127-152, 2017

      11 백은령, "지체장애인 근로자의 특성과 직업유지 결정요인" 한국직업재활학회 17 (17): 219-237, 2007

      12 이준상, "지체 및 뇌병변장애인의 취업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18 (18): 57-82, 2008

      13 최운정, "중고령 여성장애인의 취업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4 (24): 123-146, 2014

      14 오세란, "장애인의 취업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7 (27): 255-278, 2017

      15 조민수, "장애인의 취업 및 취업형태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09

      16 이석원, "장애인의 취업 및 취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6 (26): 41-66, 2016

      17 김성희, "장애인의 취업 및 임금결정요인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0

      18 나운환, "장애인의 실업특성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회 38 (38): 267-285, 2004

      19 이선우, "장애인의 경제활동유형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 Multinominal Logit(다항로짓)을 이용한 분석" 18 : 113-135, 2001

      20 박주영, "장애인근로자의 직업유지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3

      21 전이상, "장애인 취업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2

      22 류정진, "장애인 취업예측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회 40 (40): 167-193, 2006

      23 이선우, "장애인 취업 및 취업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분석: 프로빗을 이용한 분석" 33 : 287-313, 1997

      24 유동철, "장애인 실업의 원인: 생산성 또는 차별?" 한국사회복지학회 48 : 333-358, 2002

      25 이형열, "장애유형별 취업 근로자의 개인적특성, 직업훈련, 직업만족이 직업유지기간에 미치는 영향-뇌병변, 시각, 신장, 청각장애 근로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2) : 109-134, 2008

      26 곽지영, "장애여성의 노동시장 진입 및 유지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 (20): 79-104, 2010

      27 연합뉴스 인터넷, "일자리엔진 멈춰섰다...실업자, 청년실업률 외환위기후 최악"

      28 유동철, "여성지체장애인에 대한 이중차별분석: 고용과 임금을 중심으로" 15 : 73-108, 2000

      29 정병오, "여성장애인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0 : 143-174, 2010

      30 양정빈, "여성장애인의 취업 및 임금수준 결정요인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5 (35): 226-253, 2015

      31 김정아, "여성장애인의 취업 및 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2 (52): 321-338, 2013

      32 오소윤, "여성장애인의 노동시장 진입 영향요인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5 (55): 517-536, 2016

      33 김세연, "여성장애인의 고용현황 및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 12 (12): 318-329, 2012

      34 조영길, "여성장애인의 고용유지와 직업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20 (20): 129-145, 2010

      35 박자경, "여성장애인의 경제활성화 방안"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07

      36 류정진,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참가율 및 취업률이 남성장애인에 비해 낮은 원인과 대응방안" 한국장애인 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0

      37 백은령, "여성장애노인의 특성과 복지서비스 욕구에 관한 연구" 27 : 114-146, 2007

      38 김우영, "아르바이트, 자격증의 경제적 효과" 한국산업인력공단 중안고용정보원 85-109, 2003

      39 채구묵, "신규대졸자의 취업 및 임금수준 결정요인 분석" 한국사회복지학회 59 (59): 35-61, 2007

      40 최진혁, "발달장애인 취업의 성공 및 저해 요인 연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 (20): 67-90, 2018

      41 오세규, "대졸자의 취업확률 결정요인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42 임종호, "뇌성마비인의 고용 결정 요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9 (9): 311-336, 2006

      43 강동욱, "노동시장의 여성장애인 이중차별구조"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15) : 3-28, 2002

      44 이동영, "노동시장에서의 장애인 고용차별 분석 : 1·2차적 고용차별 실증분석"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2004

      45 곽지영, "국민기초수급대상 여성장애인의 노동시장 진입 실태 및 영향요인 분석"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16 (16): 5-26, 2006

      46 양심영, "고졸 청년층의 취업형태와 전화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동 연구원 2000

      47 Bratberg, E., "Transition from School to Work: Search time and Job Duration" University of Bergen 1998

      48 Lynch, L. M., "The Youth Labor Market in the Eighties : Determinants of Re-Employment Probabilities for Young Men and Women" 71 (71): 37-45, 1989

      49 Pfeiffer, D., "The Influence of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Disabled People on Their Employment Status and Income" 6 (6): 103-114, 1991

      50 Lewis, G. B., "The Impact of Disabilities on Federal Career Success" 52 (52): 389-397, 1992

      51 Vandergoot, D., "Review of placement research literature : Implication for research and practice" 30 : 243-272, 1987

      52 Butterfield, T. M., "Research and case study findings in the area of workplace accommodations including provisions for assistive technology: A literature review" 32 (32): 201-210, 2004

      53 Melin, R., "On prediction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outcome at a Swedish employ ability institute" 35 (35): 284-289, 2003

      54 Baldwin, M., "Labor Market Discrimination against men with Disabilities" 29 (29): 1-19, 1994

      55 Achterberg T., "Factors that promote or hinder young disabled people in work participation: A systematic review" 19 (19): 129-141, 2009

      56 Wang, Y., "Employment outcome predictor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aiwan : A Preminary study using ICF conceptual frameworks" 79 (79): 3-14, 2013

      57 Honey, Anne., "Employment Status transition among young adults, with and without ability" 49 (49): 214-235, 2014

      58 기획재정부, "2018년 고용지표"

      59 박혜원, "2017년 장애인 경제활동실태조사" 한국장애인고용 공단 고용개발원 2017

      60 통계청, "2017년 8월 경제활동인구조사"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5-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영문명 : Korea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led /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8-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Disability & employment -> Disability & Employment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1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장애인고용 -> 장애와 고용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7 1.77 1.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3 1.85 2.252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