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회복지실천과 영성에 관한 고찰 = 마음챙김명상과 강점관점 모델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637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영성은 인간 누구나 지니고 있는 내면의 보편적인 본성이며, 영성의 핵심 기능은 회복과 삶의 의미 추구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 기초하여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도 영성적 개입에 대한 중요성이 점점 더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성과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종교성과 영성의 차이를 규명하고 영성과 사회복지실천과의 관계성을 살펴보며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영성적 접근전략의 가치와 의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영성적 개입을 실천현장에 도입하여 효과를 거둔 사례로 평가되고 있는 마음챙김명상과 강점관점 실천 모델에 관해 고찰해봄으로써 영성 지향적 개입을 통한 임상 사회복지실천의 패러다임 구축에 유용한 도움을 줄 수 있는 결과들을 제언하였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영성에 대한 이해와 실천에의 접목이 인간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복지서비스의 효과성 증진에 중요한 영향력을 미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는 것이 본 연구의 의의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실천에 있어서 영성적 개입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가능한 것인가에 대해서는 국내에서 충분한 연구가 그동안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따라서 영성과 사회복지 연구의 접점에서 효율적인 실천방안 모색을 위한 연구들이 다각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영성에 대한 심층적 연구 및 영성 기반 실천 프로그램의 개발과 활용은 사회복지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고 이와 더불어 학문으로서의 사회복지학의 가치와 위상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번역하기

      영성은 인간 누구나 지니고 있는 내면의 보편적인 본성이며, 영성의 핵심 기능은 회복과 삶의 의미 추구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 기초하여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도 영성적 개...

      영성은 인간 누구나 지니고 있는 내면의 보편적인 본성이며, 영성의 핵심 기능은 회복과 삶의 의미 추구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 기초하여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도 영성적 개입에 대한 중요성이 점점 더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성과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종교성과 영성의 차이를 규명하고 영성과 사회복지실천과의 관계성을 살펴보며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영성적 접근전략의 가치와 의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영성적 개입을 실천현장에 도입하여 효과를 거둔 사례로 평가되고 있는 마음챙김명상과 강점관점 실천 모델에 관해 고찰해봄으로써 영성 지향적 개입을 통한 임상 사회복지실천의 패러다임 구축에 유용한 도움을 줄 수 있는 결과들을 제언하였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영성에 대한 이해와 실천에의 접목이 인간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복지서비스의 효과성 증진에 중요한 영향력을 미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는 것이 본 연구의 의의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실천에 있어서 영성적 개입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가능한 것인가에 대해서는 국내에서 충분한 연구가 그동안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따라서 영성과 사회복지 연구의 접점에서 효율적인 실천방안 모색을 위한 연구들이 다각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영성에 대한 심층적 연구 및 영성 기반 실천 프로그램의 개발과 활용은 사회복지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고 이와 더불어 학문으로서의 사회복지학의 가치와 위상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pirituality is the universal human nature. The core feature of spirituality is the recovery and seeking the meaning of life. On the basis of this perspective, the spiritual interventions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issue in the social work practice field.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religiousness and spirituality,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spirituality and social welfare practice and to consider the spiritual approach for social welfare practice.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topic, this study seeks to consider mindfulness meditation and strength perspectives model that is standing high in evaluation as effective case in social work practice field. Through these reflections, the understanding and practice for the spirituality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human beings and social welfare service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important influence that it is the study of the tenets.
      But in practice, spiritual intervention is how specifically are possible did not have enough research in Korea come true as yet. Therefore, in the contact on social welfare and spirituality, the study on efficient plans to research the need to be in various aspects.
      It will be improving the quality of social welfare services that concentrate efforts in-depth studies in spirituality and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spirituality-based social work practicing program. In addition, it should result in the enhancing the value and status of the social welfare.
      번역하기

      The spirituality is the universal human nature. The core feature of spirituality is the recovery and seeking the meaning of life. On the basis of this perspective, the spiritual interventions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issue in the social wor...

      The spirituality is the universal human nature. The core feature of spirituality is the recovery and seeking the meaning of life. On the basis of this perspective, the spiritual interventions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issue in the social work practice field.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religiousness and spirituality,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spirituality and social welfare practice and to consider the spiritual approach for social welfare practice.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topic, this study seeks to consider mindfulness meditation and strength perspectives model that is standing high in evaluation as effective case in social work practice field. Through these reflections, the understanding and practice for the spirituality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human beings and social welfare service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important influence that it is the study of the tenets.
      But in practice, spiritual intervention is how specifically are possible did not have enough research in Korea come true as yet. Therefore, in the contact on social welfare and spirituality, the study on efficient plans to research the need to be in various aspects.
      It will be improving the quality of social welfare services that concentrate efforts in-depth studies in spirituality and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spirituality-based social work practicing program. In addition, it should result in the enhancing the value and status of the social welfa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영성에 대한 이해
      • Ⅲ. 사회복지실천과 영성
      • Ⅳ. 마음챙김명상과 영성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영성에 대한 이해
      • Ⅲ. 사회복지실천과 영성
      • Ⅳ. 마음챙김명상과 영성
      • Ⅴ. 강점관점 모델과 영성
      • Ⅵ.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현갑, "한국형 마음챙김 명상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의 개발과 SCL-90-R로 본 효과성 검증" 한국건강심리학회 12 (12): 833-850, 2007

      2 유장춘, "특집: 사회복지에 대한 기독교적 조망; 특집 논문: 논문 1;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영성적 접근 가능성에 대한 탐색" 16 (16): 9-44, 2003

      3 보건복지부, "취약여성 가구주 사례관리사업 평가와 운영방안 관한 연구" 2006

      4 노혜련, "취약여성 가구주 사례관리 사업평가와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보건복지부․숭실대학교 2006

      5 허남결, "초기불교에 있어서 삶과 죽음의 문제** 이 논문은 2012년 4월 23일~27일에 열렸던 제20차 <한․중 윤리학국제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발제문을 수정, 보완한 것임을 밝혀둔다. 논평을 맡아 의미 있는 비판과 함께 날카로운 지적을 해주신 중국 政法大의 王今一 교수와 부산대의 조남욱 교수, 그리고 진주보건대의 이상철 교수에게 머리 숙여 감사드린다. -윤리적 극복가능성을 중심으로-"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18 (18): 143-166, 2012

      6 강은실, "청소년의 자살의도, 우울, 영적 안녕과의 관계" 13 (13): 190-199, 2004

      7 Canda, E. R, "종교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에서 얼알의 다양성"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3

      8 아브라함 H. 매슬로, "존재의 심리학 Toward a psychology of being" 문예출판사 2005

      9 이경아,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의 강점기반실천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40 (40): 63-90, 2012

      10 한혜경, "재가노인 대상 강점관점 사례관리의 효과성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1 (61): 243-263, 2009

      1 장현갑, "한국형 마음챙김 명상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의 개발과 SCL-90-R로 본 효과성 검증" 한국건강심리학회 12 (12): 833-850, 2007

      2 유장춘, "특집: 사회복지에 대한 기독교적 조망; 특집 논문: 논문 1;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영성적 접근 가능성에 대한 탐색" 16 (16): 9-44, 2003

      3 보건복지부, "취약여성 가구주 사례관리사업 평가와 운영방안 관한 연구" 2006

      4 노혜련, "취약여성 가구주 사례관리 사업평가와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보건복지부․숭실대학교 2006

      5 허남결, "초기불교에 있어서 삶과 죽음의 문제** 이 논문은 2012년 4월 23일~27일에 열렸던 제20차 <한․중 윤리학국제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발제문을 수정, 보완한 것임을 밝혀둔다. 논평을 맡아 의미 있는 비판과 함께 날카로운 지적을 해주신 중국 政法大의 王今一 교수와 부산대의 조남욱 교수, 그리고 진주보건대의 이상철 교수에게 머리 숙여 감사드린다. -윤리적 극복가능성을 중심으로-"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18 (18): 143-166, 2012

      6 강은실, "청소년의 자살의도, 우울, 영적 안녕과의 관계" 13 (13): 190-199, 2004

      7 Canda, E. R, "종교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에서 얼알의 다양성"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3

      8 아브라함 H. 매슬로, "존재의 심리학 Toward a psychology of being" 문예출판사 2005

      9 이경아,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의 강점기반실천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40 (40): 63-90, 2012

      10 한혜경, "재가노인 대상 강점관점 사례관리의 효과성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1 (61): 243-263, 2009

      11 천정웅, "자기 초월의 삶" 두란노 2007

      12 노혜련, "우리아이 희망네트워크 지원사업 평가와 운영모델 개발 연구" 한국자원봉사협의회․숭실대학교 2008

      13 노혜련, "우리아이 희망네트워크 지원사업 성과 평가 연구" (사)함께 만드는 세상․숭실대학교 2011

      14 이홍근, "영성신학" 분도출판사 1997

      15 전명수, "영성과 힐링의 사회적 의미: 종교사회학적 접근" 원불교사상연구원 (64) : 1-34, 2015

      16 이현아, "영성과 종교성을 포괄하는 사회복지실천" (1) : 2003

      17 조옥진, "영성과 심리상담" 카톨릭 출판사 2005

      18 Canda, E. R, "영성과 사회복지실천" 양서원 2007

      19 김용환, "영성과 사회복지실천" 양서원 2007

      20 이용선, "알아차림 명상이 우울, 상위인지적 자각, 역기능적 신념에 미치는 영향" (1) : 662-663, 2006

      21 노혜련, "실무자가 경험한 강점관점 사례관리 사업의 특성: 사업의 목적과 실천원리, 실천결과를 중심으로" 2008

      22 탁장한, "쉼터노숙인 빈곤대처방식의 사회문화적 특성에 관한 질적 연구 : 빈곤문화적 특질과 강점관점적 속성들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5 (45): 357-380, 2014

      23 박붕수, "성인애착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에서 통합적 영성의 조절효과" 카톨릭대학교 2014

      24 권경임, "선·명상의 웰빙과 힐링에 관한 불교적 담론" 한국불교선리연구원 (17) : 351-391, 2014

      25 조휘일, "사회사업실천을 위한 영성 연구" 5 (5): 5-20, 2005

      26 정현태, "사회복지에 있어서의 영성에 대한 탐구적 고찰-그리스도교 영성을 중심으로-" 한국종교교육학회 32 : 45-64, 2010

      27 엄명용, "사회복지실천의 이해" 학지사 2006

      28 양옥경, "사회복지실천에서의 권한부여 모델에 관한 고찰" 43 : 155-172, 1999

      29 이혜숙,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종교와 영성의 문제" 불교학연구회 18 : 319-343, 2007

      30 김선정, "사회복지사가 경험한 강점관점 해결중심 사례관리 실천 과정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3

      31 민소영, "사회복지사가 경험한 강점관점 사례관리 실천: 영유아 빈곤가정을 대상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3 (43): 275-304, 2012

      32 김유심, "빈곤층 여성한부모의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우울에 관한 대처자원 연구 : 영적안녕감, 가족자원의 조절효과 검증"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8

      33 박석란, "빈곤여성가구주에 대한 강점관점 사례관리 적용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8

      34 인경, "불교영성과 명상치료" 1 (1): 135-163, 2007

      35 이혜숙, "불교사회복지실천의 영성관점 확립을 위한 시론" 불교학연구회 22 : 297-328, 2009

      36 김재성, "불교명상의 심리치료에의 응용에 대한 연구 : 최근 심리치료와 전통적 불교명상에서 마음챙김의 위상을 중심으로" 한국불교연구원 (37) : 171-230, 2012

      37 양희연, "바디스캔과 요가 니드라의 관련성에 관한 소고" 2 (2): 1-19, 2011

      38 김경은, "마음챙김에 기반한 집단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경북대학교 2015

      39 김정호, "마음챙김명상의 유형과 인지행동치료적 함의" 4 (4): 27-44, 2004

      40 장현갑, "마음챙김명상에 바탕둔 스트레스완화(Mindfulness Based Stress Reduction; MBSR)란 무엇이며, 어떻게 수행해야 하는가?" 2 (2): 71-81, 2011

      41 박성현, "마음챙김 척도 개발" 카톨릭대학교 2006

      42 이현철, "마음의 숲을 거닐다" 한언 2006

      43 Frankl, V, "로고테리피의 이론과 실제" 분도출판사 1986

      44 이현영, "노인의 영성(spirituality)과 자아통합감의 관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45 김지숙, "노인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영성을 중심으로" 5 (5): 5-20, 2008

      46 각묵스님, "네 가지 마음챙기는 공부 : 대념처경과 그 주석서" 초기불전연구원 2003

      47 김경미, "강점관점과 지역사회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통합적 사례관리 실천방법의 구조화-개념도 연구법(concept mapping)을 활용하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8) : 93-118, 2010

      48 류승용, "강점관점 해결중심 모델을 이용한 통합사례관리" 2 (2): 87-104, 2011

      49 노혜련, "강점관점 사례관리의 특성에 관한 연구: 빈곤여성가구주의 참여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 15 (15): 75-104, 2007

      50 김경희, "강점관점 사례관리의 적용과 성과에 대한 탐색적 연구:우리아이 희망네트워크 사업 수행 기관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7 (7): 175-203, 2013

      51 윤민화, "강점관점 사례관리에서 지역복지 네트워크 실천과정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50) : 203-239, 2014

      52 김지영, "강점개입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강점집단, 통합집단, 약점집단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20 (20): 495-513, 2015

      53 이현아, "강점 중심 사회복지실천 속의 영성 : 빈곤 여성을 위한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14 : 457-481, 2003

      54 Brill, N., "Working with people : the helping process" J.B. Lippincott Ct 1978

      55 Gray, M, "Viewing spirituality in social work through the lens of contemporary social theory" 38 (38): 175-196, 2008

      56 Maslow, A. H., "Toward a psychology of being" Ban Nostand 1968

      57 Grof, S, "Theoretical and empirical foundations of transpersonal psychology" 43-64, 1996

      58 Saleebey, D, "The strengths perspective in social work practice: Extensions and cautions" 41 (41): 296-305, 1996

      59 Rapp, C, "The strengths perspective in social work practice" Longman 45-58, 1992

      60 Saleeby, D, "The strengths perspective in social work practice" Allyn 1-22, 2002

      61 Sheridan, M. J., "The role of religion and spirituality in social work education and practice: A survey of student views and experiences" 35 (35): 125-141, 1999

      62 Saleebey, D, "The diagnostic strengths manual?" 183-187, 2001

      63 Rapp, C, "The Strengths Perspective in Social Work Practice" Allyn & Bacon 128-147, 2006

      64 Paul Heelas, "The Spiritual Revolution: Why Religion is Giving Way to Spirituality" Blackwell Publishing 2005

      65 Germer, C. K, "Teaching mindfulness in therapy" 113-129, 2005

      66 Canda, E. R, "Spirituality, Religious Diversity, and Social Practice" 69 (69): 238-247, 1988

      67 Cabrera, J. E., "Spirituality in social work practice: perspectives and utilization of spirituality in social work" California State University Sacramento 2015

      68 Jeffrey Seinfeld, "Spirituality in Social Work Practice" Springer Nature 40 (40): 240-244, 2012

      69 Derezotes, D. S, "Spirituality and religiosity: Neglected factors in social work practice" 20 (20): 1-15, 1995

      70 Derezotes, D. S., "Spirituality and religiosity in practice: In depth interviews of social work practitioners" 18 (18): 39-56, 1995

      71 Westgate, C. E, "Spiritual wellness and depression" 75 (75): 26-, 1996

      72 Wynne, L, "Spiritual care at the end of life" 28 (28): 41-45, 2013

      73 Canda, E. R, "Spiritual Diversity in Social Work Practice: The Heart of Helping" The Free Press 1999

      74 Carroll, M. M, "Social work's conceptualization of spirituality" 18 (18): 1-13, 1998

      75 Crowther, M. R., "Rowe and Kahn's model of successful aging revisited positive spirituality—the forgotten factor" 42 (42): 613-620, 2002

      76 Canda, E. R, "Religious Content in Social Work Education: A Comparative approach" 25 (25): 36-45, 1999

      77 Sermabeikian, P, "Our clients, ourselves: The spiritual perspective and social work practice" 39 (39): 178-183, 1994

      78 Frankl, V, "Man's Search for meaning : An Introduction to logotheraphy" Washington Square Press 1984

      79 김미영, "MBSR 의 사상적 기반과 치유원리를 통해 본 상담에의 적용 방향" 23 (23): 142-182, 2012

      80 Blundo, R, "Learning strengths-based practice: Challenging our personal and professional frames" 82 (82): 296-304, 2001

      81 Ricoeur, P., "Interpretation theory : Discourse and the surplus of meaning" TCU press 1976

      82 Saleem, R., "Impact of Spirituality on Well-Being among Old Age People" 2 (2): 172-182, 2015

      83 De Jong, P, "How to interview for client Strengths" 40 (40): 729-736, 1995

      84 Kabat-Zinn, J., "Full catastrophe living: Using the wisdom of your body and mind to face stress, pain, and illness" Delta 1990

      85 존 카밧진, "Full Catastrophe Living 마음챙김명상과 자기치유上․下" 학지사 2012

      86 White, V. K, "Ethnic differences in the wellness of elderly persons" 11 (11): 1-15, 1998

      87 Canda, E. R, "Conceptualizing spirituality for social work: Insights from diverse perspectives" 14 (14): 30-46, 1988

      88 Kabat-Zinn, J, "Coming to our senses: Healing ourselves and the world through mindfulness" Hyperion 2005

      89 Kisthardt, W. E., "Bridging the gap between principles and practice: Implementing a strengths perspective in case management" 112-125, 1992

      90 Heidegger, M, "Being and time" Happer & Row 1962

      91 Weick, A., "A strengths perspective for social work practice" 350-354, 1989

      92 Kornfield, J., "A Path with Heart: A Guide Through the Perils and Promises of Spiritual Life" Bantam Book 1993

      93 보건복지부, "2004년도 취약여성 가구주 사례관리 사업 평가보고서"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2 1.32 1.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2 1.52 2.001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