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민간탐정사의 프로티언 경력지향성이 주관적 경력성공 및 주도적 경력행동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Protean Career Orientation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Proactive Career Behavior of Private Investigato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439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for the effect of private investigator’s protean career orientation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proactive career behavi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ose who obtained a private investigator license from an educational institution specializing in private investigation as the population. As the private investigation system is a pledge of the current Moon Jae-in govern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empirically estimating the level of career development of private investigators who wish to start a business if it is officially enacted in the future.
      For this purpose in this study, the sample was extracted using the stratified sampling method. SPSS WIN 22.0 and AMOS 22.0 statistical programs were used after conducting a survey of 300 people from June 1 to June 30, 2021. Therefore, the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tean career orientation of private investigators has a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Second, protean career orient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proactive career behavior. Third, subjective career success has a positive effect on proactive career behavior. Fourth, it was found that subjective career success did not mediat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tean career orientation and proactive career behavior. Based on this study, if the detective system is formalized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more meaningful directions can be obtained in terms of career development.
      번역하기

      This study is for the effect of private investigator’s protean career orientation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proactive career behavi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ose who obtained a private investigator license from an educational insti...

      This study is for the effect of private investigator’s protean career orientation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proactive career behavi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ose who obtained a private investigator license from an educational institution specializing in private investigation as the population. As the private investigation system is a pledge of the current Moon Jae-in govern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empirically estimating the level of career development of private investigators who wish to start a business if it is officially enacted in the future.
      For this purpose in this study, the sample was extracted using the stratified sampling method. SPSS WIN 22.0 and AMOS 22.0 statistical programs were used after conducting a survey of 300 people from June 1 to June 30, 2021. Therefore, the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tean career orientation of private investigators has a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Second, protean career orient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proactive career behavior. Third, subjective career success has a positive effect on proactive career behavior. Fourth, it was found that subjective career success did not mediat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tean career orientation and proactive career behavior. Based on this study, if the detective system is formalized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more meaningful directions can be obtained in terms of career developm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용호, "프로티언경력태도와 무경계경력태도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10 (10): 33-62, 2015

      2 김태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프로티언 경력관리행동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외국계 합작투자법인 A사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6

      3 장경진,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프로티언 경력관리행동을 매개로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 국내 중소기업 교육 서비스업 종사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4 신소영,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무형식학습 활동을 매개로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서울지역 호텔 및 외식업 종사자를 중심으로" 한국인력개발학회 19 (19): 95-121, 2017

      5 심미영, "프로티언 경력지향성과 경력성공 : 경력개발의 역할"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6 김민정, "평생교육강사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경력몰입의 관계에서 네트워킹 행동의 매개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6

      7 학술연구정보서비스, "탐정업, 민간조사업"

      8 이재봉, "직업군인의 자기주도적 경력관리가 주관적 경력성공과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프로틴 경력태도 관점의 한・미군 비교" 한국국방연구원 28 (28): 145-173, 2012

      9 배을규, "중소기업 구성원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매개효과 -중소기업 핵심직무능력향상 지원사업 참여업체를 중심으로-" 한국인력개발학회 16 (16): 1-25, 2014

      10 최석봉, "주관적 경력성공이 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일반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산업경제학회 25 (25): 2721-2749, 2012

      1 박용호, "프로티언경력태도와 무경계경력태도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10 (10): 33-62, 2015

      2 김태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프로티언 경력관리행동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외국계 합작투자법인 A사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6

      3 장경진,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프로티언 경력관리행동을 매개로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 국내 중소기업 교육 서비스업 종사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4 신소영,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무형식학습 활동을 매개로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서울지역 호텔 및 외식업 종사자를 중심으로" 한국인력개발학회 19 (19): 95-121, 2017

      5 심미영, "프로티언 경력지향성과 경력성공 : 경력개발의 역할"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6 김민정, "평생교육강사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경력몰입의 관계에서 네트워킹 행동의 매개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6

      7 학술연구정보서비스, "탐정업, 민간조사업"

      8 이재봉, "직업군인의 자기주도적 경력관리가 주관적 경력성공과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프로틴 경력태도 관점의 한・미군 비교" 한국국방연구원 28 (28): 145-173, 2012

      9 배을규, "중소기업 구성원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매개효과 -중소기업 핵심직무능력향상 지원사업 참여업체를 중심으로-" 한국인력개발학회 16 (16): 1-25, 2014

      10 최석봉, "주관적 경력성공이 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일반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산업경제학회 25 (25): 2721-2749, 2012

      11 장은주, "주관적 경력성공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금융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3

      12 오승민, "일-가정 갈등이 주도적 경력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인사평가 공정성 및 성별의 조절효과" 한국여성심리학회 22 (22): 569-591, 2017

      13 신수림, "산업체 종사자의 주관적 경력성공과 고용안정성, 조직경력관리지원, 프로틴 경력태도, 프로틴 경력관리행동의 인과적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14 김은빈, "사무직 근로자의 직무자율성, 프로티언 경력태도, 직업적 자기효능감, 숙달목표지향성과 주도적 경력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0

      15 김은석,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프로테우스적 경력 태도와 개인 및 조직 특성의 위계적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16 김은석,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프로테우스적 경력 태도와 개인 및 조직 특성의 위계적 관계"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3 (43): 171-189, 2011

      17 신수진,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주관적 경력성공과 지속학습활동, 경력정체성 및 경력적응성, 프로티언 경력지향성간의 구조적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6

      18 송지준,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21세기사 2011

      19 우종필,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한나래아카데미 2012

      20 Seibert, S. E.,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and career success" 58 (58): 1-21, 2001

      21 Grant, A. M., "The dynamics of proactivity at work" 28 : 3-34, 2008

      22 DeFillippi, R. J., "The boundaryless career : A competency-based perspective" 15 : 307-324, 1994

      23 Briscoe, J. P., "Special section on boundaryless and protean careers : Next steps in conceptualizing and measuring boundaryless and protean careers" 69 (69): 1-3, 2006

      24 Heslin, P. A., "Self-and other-referent criteria of career success" 11 (11): 262-286, 2003

      25 Hall, D. T., "Protean career of the 21st century" 10 (10): 8-16, 1996

      26 De Vos, A., "Protean attitude and career success : The mediating role of self-management" 73 (73): 449-456, 2008

      27 Briscoe, J. P., "Protean and boundaryless careers : An empirical exploration" 69 (69): 30-47, 2006

      28 Seibert, S. E., "Proactive personality and career success" 84 (84): 416-427, 1999

      29 Sturges J., "Organizational Support, Individual Attributes, and the Practice of Career Self-Management Behavior" 35 (35): 108-141, 2010

      30 Claes, R., "Influences of early career experiences, occupational group, and national culture on proactive career behavior" 52 (52): 357-378, 1998

      31 Strauss, L., "Future Work Selves : How salient hoped-for Identities motivate proactive behaviors" 97 (97): 580-598, 2012

      32 Greenhaus, J. H., "Effects of race on organizational experiences, job performance evaluations and career outcomes" 33 (33): 64-86, 1990

      33 Heslin, P. A., "Conceptualizing and evaluating career success" 26 (26): 113-136, 2005

      34 Heslin, P. A., "Conceptualizing and evaluating career success" 26 : 121-, 2005

      35 King, Z., "Career self-management : Its nature, causes and consequences" 65 : 112-133, 2004

      36 Hall, D. T, "Career in organization" Good year Publishing Company Inc 1976

      37 Bollen, K. A., "Bootstrapping goodness of fit measure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21 (21): 205-229, 1992

      38 Judge, T. A.,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predictors of executive career success" 48 (48): 485-519, 1995

      39 김대업, "Amos A to Z : 논문작성절차에 따른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학현사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4 1.24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0.97 1.211 0.5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