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진희, "호주사회의 국제난민을 둘러싼 다문화담론과 난민 이주민을 위한 교육" 한국성인교육학회 15 (15): 209-237, 2012
2 Giddens, A., "현대 사회학" 을유문화사 2011
3 정기선, "한국인의 국민정체성 국제비교연구: 자격요건 평가를 중심으로" 국제비교한국학회 19 (19): 45-72, 2011
4 박환보, "한국의 세계시민교육 연구동향 분석" 한국교육학회 54 (54): 197-227, 2016
5 이민경, "한국사회의 다문화 교육 방향성 고찰: 서구 사례를 통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18 (18): 83-104, 2008
6 전희옥, "학교 문화교육에서 세계시민 교육 내용요소 분석"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3 (13): 123-146, 2006
7 "통일부홈페이지"
8 박형빈, "통일교육에서 민족주의와 다문화주의" 한국윤리교육학회 (31) : 213-235, 2013
9 이용을, "탈북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공공사회학회 5 (5): 107-131, 2015
10 김신희, "탈북청소년의 시민성 연구"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2013
11 김신희, "탈북청소년의 국가정체성" 2014
12 조정아, "탈북청소년의 경계 경험과 정체성 재구성" 통일연구원 2014
13 권효숙, "탈북청소년을 위한 대안학교의 적응교육 :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한국교육개발원 33 (33): 89-120, 2006
14 조영하, "탈북청소년들의 지구시민의식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6 (26): 5-27, 2015
15 박명숙, "탈북청소년 학교적응교육을 위한 과학과 교수·학습모형 개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16 윤혜순, "탈북청소년 연구동향과 과제" 한국청소년학회 21 (21): 125-149, 2014
17 신두철, "탈북청소년 대상 민주시민교육 프로그램" 한국민주주의연구소 2016
18 윤인진, "탈북자의 남한사회 적응 문제" 39 (39): 79-87, 2004
19 윤인진, "탈북자문제의 실태와 분석 : 탈북과 사회적응의 통합모색" 39 (39): 3-31, 2000
20 조정아, "탈북이주민의 학습경험과 정체성 재구성" 통일연구원 19 (19): 175-212, 2010
21 최윤정, "탈북이주민을 위한 문화교육의 한 방향 - <단군신화>·<주몽신화>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연구학회 (29) : 67-107, 2014
22 최정은, "탈북여성의 민주시민의식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정치대학원 2014
23 최대석, "탈북대학생들의 국가정체성 형성과 변화" 북한연구학회 14 (14): 215-240, 2010
24 오원환, "탈북 청년의 정체성 연구 : 탈북에서 탈남까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25 허혜경, "청년발달" 학지사 2010
26 나영선, "지식강국건설을 위한 국가인적자원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3
27 박정서, "정치사회화 이론에 근거한 탈북자 시민성 연구와 시민교육에의 함의"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1 (51): 89-105, 2012
28 정진웅, "적응'을 넘어서: 탈북 청소년 교육의 새로운 방향 모색" 한국열린교육학회 12 (12): 179-194, 2004
29 손병노, "일반사회교육의 정체성 모색" 한국교원대학교 사회과학교육연구소 2010
30 신난희, "이주민을 위한 시민교육이 남한사회 적응에 미치는 영향: 탈북이주여성을 위한 참정권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원 54 (54): 47-69, 2015
31 통일부, "우리생활 길라잡이"
32 통일부, "언어생활"
33 김윤나, "시민청소년관점에서의 북한이탈청소년 지원정책 및 서비스 방향" 한국청소년학회 17 (17): 27-46, 2010
34 남지민, "시민권의 관점에서 본 결혼이주여성 정책 방안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7
35 Heater, D., "시민 교육의 역사" 한울아카데미 2007
36 권효숙, "세계화시대의 정체성과 사회과 인류학교육"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2 (42): 107-128, 2003
37 이병천, "세계화시대 시민국가와 다중적 시민 정치를 위하여" 5 (5): 34-41, 2004
38 서태열, "세계화, 국가정체성 그리고 지역정체성과 사회과교육"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3 (43): 5-29, 2004
39 배영주, "세계시민의 역할 과제를 중심으로 한 세계시민교육의 재구상" 교육과학연구소 44 (44): 145-167, 2013
40 정우탁, "세계시민교육이란 무엇인가?" 1 (1): 9-30, 2015
41 성열관, "세계시민교육 교육과정의 보편적 핵심 요소와 한국적 특수성에 대한 고찰" 한국교육개발원 37 (37): 109-130, 2010
42 손경원, "세계 시민성의 진단과 시민윤리 교육적 함의"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44) : 121-144, 2014
43 노혜정, "세계 시민 교육의 관점에서 세계 지리 교과서 다시 읽기: 미국 세계 지리 교과서 속의‘한국’" 대한지리학회 43 (43): 154-169, 2008
44 신미식, "새터민의 민주시민교육과 평생교육의 역할" 4 (4): 79-107, 2011
45 장문강, "새터민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 다문화교육 관점을 중심으로 -"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19) : 195-234, 2008
46 이희영, "새로운 시민의 참여와 인정투쟁 - 북한이탈주민의 정체성 구성에 대한 구술 사례연구" 한국사회학회 44 (44): 207-241, 2010
47 조정아, "북한주민의 의식과 정체성: 자아의 독립, 국가의 그늘, 욕망의 부상" 통일연구원 2010
48 송영민, "북한이탈주민의 한국 사회 적응과 여가와의 관계" 한국관광연구학회 27 (27): 97-113, 2013
49 노희숙, "북한이탈주민의 학습경험을 통한 의미관점 전환연구"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2
50 정정애, "북한이탈주민의 탈북동기와 남한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22 (22): 215-248, 2013
51 유시은, "북한이탈주민의 의식 변화에 대한 질적 연구- 남한 입국 3년 된 북한이탈주민들을 대상으로" 국가관리연구원 16 (16): 67-120, 2012
52 신두철, "북한이탈주민의 시민교육과 사회통합에 관한 연구" 한국시민윤리학회 24 (24): 97-113, 2011
53 전영선, "북한이탈주민의 생활문" 선인 2012
54 조인묵, "북한이탈주민의 민주시민교육 경험을 통한 삶의 관점 변화 연구" 한국비교정부학회 19 (19): 271-293, 2015
55 이재민,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3) : 61-84, 2008
56 안혜영,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사회 적응과 사회복지적 대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57 통일부,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실무편람" 2014
58 통일부, "북한이탈주민 정착 실태와 과제" 1-11, 2015
59 유병선, "북한이탈주민 민주시민교육의 내용과 문제점" 13 (13): 87-100, 2012
60 김경준, "북한이탈 청소년 종합대책 연구 II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8
61 김도태, "북한 이탈주민의 시민교육 내용과 문제점" 29 (29): 1-18, 2012
62 정진곤, "북한 이탈 학생들의 의식과 사고방식에 대한 기초연구" 한국다문화교육학회 4 (4): 79-97, 2011
63 김주삼, "북한 이주민 정착지원제도 개선방안" 4 (4): 165-191, 2004
64 조상식, "민주시민교육의 교육 이론적 지평"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3 (23): 209-228, 2009
65 Giles, J., "문화학습" 동문선 2003
66 노찬옥, "다원주의 시대의 세계시민 교육"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3 (43): 207-224, 2004
67 정용교, "다문화시대 세계시민교육의 현황과 대안모색: 사회과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 (20): 109-123, 2013
68 최원오, "다문화사회와 탈북이주민: 디아스포라적 관점의 적용을 통한 이해" 인문학연구원 54 : 257-285, 2012
69 최병두, "다문화사회와 지구⋅지방적 시민성 : 일본의 다문화공생 개념과 관련하여" 한국지역지리학회 17 (17): 181-203, 2011
70 이태주, "다문화사회와 시민교육" 2007
71 강순원, "다문화사회 세계시민교육의 평생교육적 전망" 한국평생교육학회 16 (16): 69-91, 2010
72 류성창, "다문화․탈북 학생들의 진로교육 및 취업지원 강화 방안에 대한 연구" 교육부 131-, 2015
73 이민경, "다문화 사회에서의 시민성 교육: 세계시민성과 환대의 개념을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소 26 (26): 115-136, 2013
74 신미녀, "남한주민과 북한이탈주민의 상호인식-남한사회정착에서 제기되는 문제를 중심으로" 5 (5): 119-143, 2009
75 정하윤, "남북한 통일 이후 사회통합과 민주시민교육의 방향" 13 (13): 51-70, 2012
76 정인수, "남북한 사회통합과 그 과제에 관한 연구 : 독일의 사회통합과 새터민의 남한 사회 적응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77 박순용, "난민문제를 통해서 본 세계시민교육의 과제에 대한 고찰"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10 (10): 77-99, 2015
78 Nussbaum, M., "나라를 사랑한다는 것 : 애국주의와 세계시민주의의 한계 논쟁" 삼인 2003
79 옥일남, "글로벌 시민성 함양을 위한 사회과 교수·학습 방안"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6 (46): 105-140, 2014
80 박성인, "글로벌 사회의 시민성 교육 접근 방법" 4 (4): 17-34, 2012
81 강순원, "국제이해교육은 탈북 청소년문제에 어떻게 대응할 수 있는가?" 7 (7): 71-98, 2012
82 탈북청소년교육지원센터, "‘16 탈북학생 통계 현황" 2016
83 Ipsos MORI., "Young people’s experiences of global learning" Study on behalf of DEA 2008
84 Eidoo, S., "Through the Kaleidoscope : Intersections Between Theoretical Perspectives and Classroom Implications in Critical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34 (34): 59-85, 2011
85 Banks, J. A., "Teaching for Social Justice, Diversity, and Citizenship in a Global World" 68 : 296-305, 2004
86 Andreotti, V., "Soft versus critical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3 : 40-51, 2006
87 Myers, J. P., "Rethinking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the Context of Globalization: Education for Global Citizenship in the US" 34 (34): 370-394, 2006
88 Pashby, K., "Research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harlotte, Information Age Publishing 9-33, 2015
89 Harshman J., "Research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formation Age Publishing Inc 2015
90 김진희, "Post 2015 맥락의 세계시민교육 담론 동향과 쟁점 분석"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7 (47): 59-88, 2015
91 Mezirow, J., "Learning as Transformation" Jossey-Bass 2000
92 Paul Tarc, "How Does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onstruct Its Present?"
93 Ibrahim, 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mainstreaming the curriculum?" 35 (35): 177-194, 2005
94 Goren, H.,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context : teacher perceptions at an international school and a local Israeli school" 46 (46): 832-853, 2016
95 Massey, K.,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a secondary geography course : the students’ perspectives" 4 (4): 80-101, 2014
96 UNESC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opics and learning objectives" 2015
97 Park, S. Y.,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Goals and Challenges in the New Millennium" Asia Pacific Centre of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APCEIU) 2013
98 Schweisfurth, M., "Education for global citizenship : teacher agency and curricular structure in Ontario schools" 58 (58): 41-50, 2006
99 Oxfam, G. B., "Education for global citizenship : a guide for schools" Oxfam 2006
100 UNESCO, "Draft Incheon Declaration" UNESCO 2015
101 Banks, J. A., "Diversity, Group Identity, and Citizenship Education in a Global Age" 37 (37): 129-139, 2008
102 Clifford, V., "Challenging Conceptions of Western Higher Education and Promoting Graduates as Global Citizens" 68 (68): 28-45, 2014
103 통일부, "2016 통일교육 운영계획" 통일교육원 2016
104 교육부, "2014년 통계자료"
105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2014 북한이탈주민 실태조사"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2015
106 남북하나재단, "2014 북한이탈주민 사회조사" 남북하나재단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