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초등학생부터 고등학생까지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뇌교육 프로그램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뇌교육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거나 뇌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데 기초 자료를 제공함...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333164
천안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14
학위논문(석사)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 뇌교육학과 , 2014. 8
2014
한국어
충청남도
; 26 cm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초등학생부터 고등학생까지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뇌교육 프로그램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뇌교육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거나 뇌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데 기초 자료를 제공함...
이 연구는 초등학생부터 고등학생까지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뇌교육 프로그램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뇌교육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거나 뇌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데 기초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뇌교육 프로그램 연구가 보다 의미 있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1998년부터 2013년 5월까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뇌교육 관련 국내 학술지 및 학위 논문 54편을 추출하여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이를 근거로 연구의 외형적인 동향, 뇌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동향, 뇌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방법 동향을 살펴보았다.
첫째,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뇌교육의 외형적인 동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연도별, 연구전공별, 연구 방법별, 연구 대상자별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도별 동향을 살펴보면 2009년을 기점으로 발표 논문 수가 전체의 53.7%로 그 수가 급격히 증가하였는데 이것은 뇌교육을 연구하는‘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설립과 관련이 있다. 연구방법의 동향을 살펴보면 양적 연구 논문은 44편(81.5%), 질적 연구 논문은 10편(18.5%)으로 양적 연구 논문이 대부분이었다. 연구 대상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초등학생 대상이 제일 많았으며 중학생 대상으로는 몇 편에 불과하였다. 청소년들이 사춘기를 겪으면서 가장 많이 힘들어하는 시기가 중학생 때인 점을 감안하면 뇌교육이 중학생에게 더 많이 적용되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뇌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동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신체․운동, 정서, 인지․학습, 프로그램’분야로 4가지 내용 분석 범위를 설정하였다. 그 결과 정서 분야 연구가 전체의 41.5%으로 가장 많았는데 이것은 뇌교육이 정서적인 면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결과이다. 또한 대부분의 논문이 뇌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연구한 반면 뇌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는 많지 않았는데 뇌교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프로그램 개발 분야의 연구가 많아져야 할 것이다.
셋째, 청소년을 대상으로 뇌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방법 동향을 살펴본 결과 뇌교육 프로그램 1회 실시 시간은 40분~50분, 실시 기간은 10주, 실시 간격은 주 1회, 전체 총 10회를 적용하여 연구한 경우가 제일 많았으며 연구 분석 인원으로는 통제집단까지 포함하여 50~60명 사이의 인원을 가장 많이 선호하였다. 이것은 뇌교육 프로그램 실시 장소가 학교라는 교육 현장과 관련이 깊다. 대부분 뇌교육 프로그램을 정규 교과시간(초등은 40분, 중등은 45분, 고등은 50분)중 재량활동 시간에 실시하였으며 학급당 인원도 30명 내외이기 때문이다. 뇌교육 프로그램 실시 시간이 짧을수록 주기별 횟수가 많았는데 이는 총 실시 시간을 많게 하여 프로그램 효과 검증의 신뢰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뇌교육 관련 연구 방향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청소년기에서 가장 힘든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현재 있는 프로그램 활용도 좋지만 뇌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가 더 많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대부분의 논문이 3~4개월 동안 뇌교육을 실시하고 효과 검증을 논하였는데 뇌교육에 대한 보편적이고 타당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장기 연구 수행을 바탕으로 뇌교육의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뇌교육 연구 동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정하였기 때문에 청소년의 뇌교육 동향을 파악할 수 있었지만 유아와 성인이 제외되었으므로 전반적인 뇌교육 경향을 파악하는 데는 한계가 있으므로 대상을 폭넓게 넓혀 뇌교육 동향 연구가 필요하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