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시각장애 노인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ith Visual Impair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340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ith visual impairment. For this, analyses were conducted among 428 visually impaired senior citizens aged 60 or older through the national survey on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2014. The influence factor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ith visual impairment have been largely divided into demographic, daily life, economic, psycho-social factors. First of all, the life satisfaction index of the elderly with visual impairment has turned out to be 2.42 out of 4. The analysis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in subjective health, income,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age and marriage status. The policy plans designed to enhance th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ith visual impairment are as follows. First, the government should engage in policy activities to reduce the mortality rate from diseases through periodic health checkup and diagnosis and to allow the elderly to live with their spouse for as long as they. Second, there is a strong need for building facilities for physical exercises for the elderly with visual impairment and for mobility and activities support as well as the operation and professional support for physical activity programs for the elderly with mobile difficulties. Third, we should come up with ways to increase the recognized amount of income in order to expand the scope of basic pension benefi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ith visual impairment. For this, analyses were conducted among 428 visually impaired senior citizens aged 60 or older through the national survey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ith visual impairment. For this, analyses were conducted among 428 visually impaired senior citizens aged 60 or older through the national survey on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2014. The influence factor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ith visual impairment have been largely divided into demographic, daily life, economic, psycho-social factors. First of all, the life satisfaction index of the elderly with visual impairment has turned out to be 2.42 out of 4. The analysis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in subjective health, income,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age and marriage status. The policy plans designed to enhance th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ith visual impairment are as follows. First, the government should engage in policy activities to reduce the mortality rate from diseases through periodic health checkup and diagnosis and to allow the elderly to live with their spouse for as long as they. Second, there is a strong need for building facilities for physical exercises for the elderly with visual impairment and for mobility and activities support as well as the operation and professional support for physical activity programs for the elderly with mobile difficulties. Third, we should come up with ways to increase the recognized amount of income in order to expand the scope of basic pension benefi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시각장애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발견하기 위한 연구로서, 2014년 장애인실태조사를 통해서 60세 이상 시각장애 노인 428명을 분석하였다. 시각장애 노인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은 인구사회학적, 일상생활, 경제적, 심리사회적 요인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시각장애 노인의 삶의 만족도는 4점 만점에 2.42점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주관적 건강상태, 소득, 주관적 계층의식, 연령, 결혼상태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시각장애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정책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기적인 검사와 진단을 통하여 질병으로 인한 사망률을 줄이고 이로 인하여 배우자와 오랫동안 함께 생활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적인 활동이 필요하다. 둘째,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체육시설을 갖추고 이동에 어려움이 있는 시각장애 노인들이 참여할 수 있는 이동보조 및 활동보조 지원, 고령장애인의 신체적 특성에 맞는 전문적인 체육활동프로그램 운영 및 지원이 절실히 필요하다. 셋째, 기초연금 수혜 폭을 높이기 위해 월 소득 인정액의 기준을 높이는 방안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시각장애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발견하기 위한 연구로서, 2014년 장애인실태조사를 통해서 60세 이상 시각장애 노인 428명을 분석하였다. 시각장애 노인의 삶...

      본 연구는 시각장애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발견하기 위한 연구로서, 2014년 장애인실태조사를 통해서 60세 이상 시각장애 노인 428명을 분석하였다. 시각장애 노인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은 인구사회학적, 일상생활, 경제적, 심리사회적 요인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시각장애 노인의 삶의 만족도는 4점 만점에 2.42점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주관적 건강상태, 소득, 주관적 계층의식, 연령, 결혼상태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시각장애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정책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기적인 검사와 진단을 통하여 질병으로 인한 사망률을 줄이고 이로 인하여 배우자와 오랫동안 함께 생활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적인 활동이 필요하다. 둘째,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체육시설을 갖추고 이동에 어려움이 있는 시각장애 노인들이 참여할 수 있는 이동보조 및 활동보조 지원, 고령장애인의 신체적 특성에 맞는 전문적인 체육활동프로그램 운영 및 지원이 절실히 필요하다. 셋째, 기초연금 수혜 폭을 높이기 위해 월 소득 인정액의 기준을 높이는 방안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삼선, "지체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형태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이 생활만족에 미치는영향" 22 (22): 35-46, 2011

      2 백은령, "지체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환경요인과 사회통합정도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3

      3 노승현, "중노령 여성지체장애인의 주관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6 (6): 205-241, 2007

      4 이순희, "중·고령 장애인의 경제적 노후준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서대학교 대학원 2014

      5 박자경, "장애인의 주관적 삶의 질 모형 분석"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3 (13): 163-186, 2009

      6 이종화, "장애인의 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3 (13): 503-514, 2015

      7 양희택, "장애를 가진 노인의 특성에 관한 연구 : 고령화된 장애와 노화에 따른 장애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52) : 255-278, 2011

      8 김미옥, "장애노인의 특성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21 : 43-97, 2003

      9 이중섭, "장애노인의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 등록장애인을 중심으로 -" 한국노인복지학회 (47) : 187-211, 2010

      10 김형수, "장애노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 분석"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8

      1 김삼선, "지체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형태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이 생활만족에 미치는영향" 22 (22): 35-46, 2011

      2 백은령, "지체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환경요인과 사회통합정도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3

      3 노승현, "중노령 여성지체장애인의 주관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6 (6): 205-241, 2007

      4 이순희, "중·고령 장애인의 경제적 노후준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서대학교 대학원 2014

      5 박자경, "장애인의 주관적 삶의 질 모형 분석"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3 (13): 163-186, 2009

      6 이종화, "장애인의 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3 (13): 503-514, 2015

      7 양희택, "장애를 가진 노인의 특성에 관한 연구 : 고령화된 장애와 노화에 따른 장애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52) : 255-278, 2011

      8 김미옥, "장애노인의 특성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21 : 43-97, 2003

      9 이중섭, "장애노인의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 등록장애인을 중심으로 -" 한국노인복지학회 (47) : 187-211, 2010

      10 김형수, "장애노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 분석"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8

      11 권오균, "장애노인의 삶의 질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39) : 7-32, 2008

      12 이영미, "장애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노령화된 장애인과 노인성 장애인 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62) : 35-58, 2013

      13 고민석, "장애노인의 사회참여가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주관적 건강상태와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보건의료산업학회 9 (9): 221-232, 2015

      14 편민숙, "장애노인 여가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성대학교 행정대학원 2012

      15 이상원, "요보호 ADL장애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재가서비스 조절효과" 5 (5): 103-119, 2008

      16 황보옥, "여성지체장애인의 사회적지지, 사회통합 및 삶의 질과의 인과관계연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4 (14): 299-324, 2010

      17 류시문, "여성장애인의 사회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11 : 100-129, 2004

      18 박수경, "시각장애노인의 사회통합 실태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 : 5-34, 2005

      19 박자경, "사회적 지지와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 관계 분석 -장애수용 요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3 (13): 1-23, 2009

      20 신영석, "보건복지정책현안과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21 김동배, "노인의 과거 노후 준비정도와 준비유형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 한국노인복지학회 (58) : 325-352, 2012

      22 장정은, "노인의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도 관련요인" 경원대학교 대학원 2011

      23 백은령, "노령 지체장애인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차별경험 및 차별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13) : 1-21, 2010

      24 박혜전, "노령 장애인의 취업욕구에 관한 연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0 (50): 83-110, 2007

      25 박혜전, "노령 장애인의 직업재활 욕구와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13 (13): 101-127, 2003

      26 권중돈, "노년기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0 (20): 61-76, 2000

      27 송미영, "남녀 장애노인의 일상생활만족도 비교분석" 한국노년학회 31 (31): 143-155, 2011

      28 이예은, "고령화된 장애인과 노인성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2016

      29 송진영, "고령장애인의 일상생활 차별경험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장애수용과 취업여부의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4

      30 김찬우, "고령장애인의 개념 정립과 복지욕구 비교를 통한 돌봄 서비스 정책방향 설정에 대한 고찰"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46) : 165-201, 2015

      31 권재숙, "고령장애인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신대학교 대학원 2012

      32 김은주, "고령장애인 삶의 만족도 영향 요인 연구" 한신대학교 2017

      33 박주영, "고령여성장애인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 노후준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34 Alma, M. A., "Determinants of social participation of visually impared older adults" 21 : 87-97,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4-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 & Rehabilitation Of Visually Impaired ->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 Rehabilita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시각장애연구회 ->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6 0.648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