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도시재생사업에서 발생하는 갈등과 갈등관리 계획상의 갈등유형 간 차이에 관한 연구 - 도시재생 선도지역 사업과 도시재생뉴딜 사업계획서를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Difference between Conflict Types Covered by Conflict Management Plan and Actual Cases – Cases of Conflicts in Urban Regeneration ‘Leading’ Project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635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used web crawling techniques to collect cases of conflicts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e collected conflicts cases were sorted by identity of a stakeholder and an issue resulting in conflict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conflicts in the real fie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ing whether these attributes were properly reflected in conflict management plan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proposal. 124 cases of conflicts in 9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proposal of two sites showed that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conflicts in the real field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nflicts presented in the project proposal. According to conflict management in the project proposal, in terms of type of identity of a stakeholder, private sector such as residents and merchants appeared as the major participant in conflict. But in the real field, the public sector was also the major as well as private sector. In case of type of conflicts issues, conflict management in the project proposal relatively manages well various issues that may occur in the real field. So, conflicts management plan should be more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real conflicts.
      번역하기

      This study used web crawling techniques to collect cases of conflicts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e collected conflicts cases were sorted by identity of a stakeholder and an issue resulting in conflict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confli...

      This study used web crawling techniques to collect cases of conflicts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e collected conflicts cases were sorted by identity of a stakeholder and an issue resulting in conflict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conflicts in the real fie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ing whether these attributes were properly reflected in conflict management plan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proposal. 124 cases of conflicts in 9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proposal of two sites showed that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conflicts in the real field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nflicts presented in the project proposal. According to conflict management in the project proposal, in terms of type of identity of a stakeholder, private sector such as residents and merchants appeared as the major participant in conflict. But in the real field, the public sector was also the major as well as private sector. In case of type of conflicts issues, conflict management in the project proposal relatively manages well various issues that may occur in the real field. So, conflicts management plan should be more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real conflic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백완기, "행정학" 박영사 1992

      2 박동서, "한국행정론" 법문사 1989

      3 유희정, "한국사회 갈등의 원인 및 관리에 대한 연구: 갈등유형별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연구소 17 (17): 39-80, 2016

      4 가상준, "한국 공공분쟁의 현황 및 특징: 1990-2007" 한국정치학회 43 (43): 51-87, 2009

      5 이서연, "주택재개발사업의 참여자 간 갈등완화 : 갈등 관련 언론보도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부동산·유통경영대학원 2013

      6 김경찬, "인터넷 기사 검색을 통한 유휴농지 활용유형 도출" 한국농촌계획학회 20 (20): 143-154, 2014

      7 문화체육관광부 여론집중도조사위원회, "여론집중도조사보고서" 2013

      8 박기묵, "언론의 공공의제 설정 및 정책결정 과정과 사례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학회 24 (24): 29-60, 2015

      9 이정숙, "언론사의 보도자료 기사화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6

      10 임현수, "보도자료 기사화 과정에서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정부 보도자료에 대한 조선일보, 한겨레 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5 (55): 5-31, 2011

      1 백완기, "행정학" 박영사 1992

      2 박동서, "한국행정론" 법문사 1989

      3 유희정, "한국사회 갈등의 원인 및 관리에 대한 연구: 갈등유형별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연구소 17 (17): 39-80, 2016

      4 가상준, "한국 공공분쟁의 현황 및 특징: 1990-2007" 한국정치학회 43 (43): 51-87, 2009

      5 이서연, "주택재개발사업의 참여자 간 갈등완화 : 갈등 관련 언론보도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부동산·유통경영대학원 2013

      6 김경찬, "인터넷 기사 검색을 통한 유휴농지 활용유형 도출" 한국농촌계획학회 20 (20): 143-154, 2014

      7 문화체육관광부 여론집중도조사위원회, "여론집중도조사보고서" 2013

      8 박기묵, "언론의 공공의제 설정 및 정책결정 과정과 사례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학회 24 (24): 29-60, 2015

      9 이정숙, "언론사의 보도자료 기사화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6

      10 임현수, "보도자료 기사화 과정에서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정부 보도자료에 대한 조선일보, 한겨레 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5 (55): 5-31, 2011

      11 건축도시공간연구소 도시공간재창조센터, "마을재생 리뷰 - 도시재생선도지역의 계획 및 사업 특성" 2016

      12 여준구, "도시지역 소규모 공영개발사업 갈등관리 연구 – 세입자 보상갈등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8

      13 한성수, "도시재생사업의 갈등유형분류 및 중요도 산정 – 공공사업시행자 입장에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5

      14 이슬기, "도시재생사업에서의 갈등사례 유형 분석" 한국건설관리학회 10 (10): 78-87, 2009

      15 박병옥, "도시재생사업에서의 갈등 유형 연구 : 주택 재건축·재개발사업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0

      16 박정우, "도시재생사업에서의 갈등 완화 방안" 경인행정학회 13 (13): 133-148, 2013

      17 김중헌, "도시재생 사업추진과정에서의 의사결정기준 중요도 - 청주시를 중심으로 -" 한국산학기술학회 17 (17): 431-439, 2016

      18 국토교통부, "도시재생 뉴딜사업(중심시가지형·일반근린형)도시재생활성화계획 수립 및 사업시행 가이드라인"

      19 국토교통부, "도시재생 뉴딜사업 신청 가이드라인 초안"

      20 국토교통부, "도시재생 뉴딜사업 신청 가이드라인"

      21 국토교통부, "도시재생 뉴딜사업 신청 가이드라인"

      22 국토교통부, "도시재생 뉴딜사업 경제기반형 도시재생활성화계획 수립 및 사업시행 가이드라인"

      23 국토교통부, "근린재생형 도시재생 사업시행 가이드라인"

      24 국토교통부, "근린재생형 도시재생 사업시행 가이드라인"

      25 김형락, "공공갈등 조정과 해결 유형에 관한 연구 : 장사시설 입지갈등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08

      26 국립국어원, "갈등"

      27 국토교통부, "2014년 도시재생선도지역 사업시행 가이드라인(안)"

      28 국토교통부, "2014년 도시재생선도지역 사업 모니터링 평가계획"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6-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 Planners Association ->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12-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한국토ㆍ도시계획학회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6 0.86 0.9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4 0.94 1.34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