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민아, "협동학습이 유아의 분류개념형성에 미치는 효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996
2 정희선, "협동학습이 유아의 분류개념 및 수 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0
3 곽금주, "한국영아발달연구" 학지사 2005
4 곽금주, "한국 영아 발달 연구" 학지사 2005
5 성현란, "학령전 아동에서의 자연범주와 귀납적 추론" 2 (2): 18-31, 1990
6 김지선, "하늘어린이집 만5세유아들의 규칙에 대한 문화기술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7 김정민,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학지사 2006
8 강정원, "치료놀이를 통한 부적응 행동 유아의 사회적 관계 증진 과정:탐색에서 성장까지"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2
9 이명환, "최신 보육 과정" 교육 아카데미 2007
10 최현동, "초등학생의 과학적 분류능력 및 분류사고과정의 발달" 한국 교원대학교 대학원 2005
11 조용환, "질적연구-방법과 사례" 교육과학사 2008
12 김영천, "질적연구 방법론I" 문음사 2006
13 구수연, "재원영아의 적응 특성 이해"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331-359, 2006
14 김재홍, "일반 아동의 의미 범주화 발달에 관한 연구-3,5,7,9세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7
15 양희정, "인지발달단계와 범주 지식수준에 따른 범주화 분류기준의 발달적 변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5
16 Fravell, "인지발달" 나남출판 1993
17 서현, "유치원에서 자유선택활동 후 나타나는 정리정돈의 의미" 한국유아교육학회 29 (29): 171-196, 2009
18 서동미, "유치원 삶 속에서 유아들이 겪는수학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237-266, 2006
19 현정환, "유아의 자발적인 정리정돈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7 (17): 105-121, 1997
20 임인숙, "유아의 인지 양식과 분류개념과의 관계"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1993
21 김영실, "유아의 수세기, 분류하기, 배분하기 능력에 있어서의 계층차" 한국교육개발원 30 (30): 163-186, 2003
22 최영선, "유아의 분류능력발달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3 김성자, "유아의 분류개념 획득 촉진방안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2
24 박현경, "유아의 분류개념 발달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1998
25 한미라, "유아의 분류개념 발달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83
26 김신옥, "유아의 분류개념 발달에 관한 연구" 7 (7): 5-23, 2004
27 홍혜경, "유아수학능력 발달과 교육" 양서원 2009
28 이경우, "유아수학교육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1997
29 정연희, "유아수학교육" 창지사 2009
30 조형숙, "유아수학교육" 정민사 2009
31 정연희, "유아수학교육" 창지사 2009
32 지성애, "유아놀이지도" 정민사 2007
33 김두범, "영유아 보육 프로그램" 창지사 2004
34 구수연,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4
35 이용주, "영아의 어린이집 생활세계 구성과정"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36 조복희, "아동발달" 교육과학사 1999
37 이숙희, "아동 음악과 동작" 동문사 2010
38 이종희, "사물의 ‘물에 뜨거나 가라앉는’ 현상에 관한 4, 5, 6세 유아의 분류 준거 및 준거 적용의 논리적 일관성" 23 (23): 169-192, 2003
39 성현란, "분류행동의 지각 개념 이행과 주제 개념 이행" (41) : 193-207, 1990
40 Alex Wright, "분류의 역사" 디지털 미디어 리서치 2010
41 이용분, "분류와 유추의 근거에 대한 이해 능력의 발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42 이정경, "분류과제 제시 형태에 따른 초등학생들의 잎 분류 행동 차이 분석" 한국 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43 박애경, "분류개념과제를 이용한 전조작기 유아의 발달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 9 (9): 23-34, 2009
44 송명자, "발달 심리학" 학지사 2007
45 임은화, "만2세 영아의 어린이집에서의 일상적 수학경험과 수학개념이해에 관한 탐색"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46 EBS 동과서 제작팀, "동과 서"
47 김영선, "교실의 물리적 환경구성이 유아의 분류능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 23 : 1-19, 2000
48 정동영, "교사-유아간 상호작용이 유아의 물건 분류과제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 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1998
49 김미경, "과학적 사고 발달을 위한 영유아 과학교육" 학지사 2003
50 Gelman,S. A., "Young children's inductions from matural kinds: The role of categories and apparances" 58 : 1532-1541, 1987
51 Gopnik, A., "Words, kinds and causal powers: A theory perspective on early naming and categorization. In Early categoriz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52 Wolcaott,H, "Transforming qualitative date: descrip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Sage 1994
53 Suransky, "The erosion of childhood" 교보문고 1992
54 Inhelder, B., "The early growth of logic in the child" Harper & Row 1964
55 Miyakawa, Y., "The development of logicomathematical thinking at age 1-3 in play with blocks and an incline" 19 (19): 292-301, 2005
56 Csapó.B, "The development of inductive reasoning: Cross-section assessment in an educational context" 20 (20): 609-626, 1997
57 Lavatelli,Celia Stendler, "Teacher's guide : Early childhood curriculum-A Piaget program" A center for a Media Development, Inc. Book 1970
58 Mandler, J. M, "Separating the sheep from the goats: Differentiating global categories" 23 : 263-298, 1991
59 Piaget,J, "Science of education and the psychology of the child" Orion press 1970
60 Lazarus.R.S., "Patterns of adjustment" McGraw-Hill 1976
61 Spradley,J, "Participant observation" Holt, Rinehart and winston 1980
62 정은숙, "M어린이집 만 2세 영아의 보육시설 초기 적응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63 조승희, "Montessori 감각교육이 유아의 분류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3
64 Troutman, A, "Mathematics: A Good beginning" Books/cole Pub 1982
65 Dewey, "Logic:The theory of Inquiry" The Macmillan 1933
66 Watson, L. D, "Infant & toddlers: curriculum and teaching, 5th ed" Delmer 2003
67 Kostelnik, M. J., "Guiding children's social development(3rd ed.)" Delmar Publishers 1998
68 Martin,D.J, "Elementary science methods; A constructivist approach Belmont" Wadsworth Publishing 2003
69 Gopnik, A., "Detecting blickets: How young children use information about novel causal powers in categorization and induction" 71 : 1205-1222, 2000
70 Wellman, H. M., "Children's understanding of the nonobvious. In Advances in the psychology of human intelligence(Vol.4)" Erlbaum 1988
71 Glense, C., "Becoming qualitative researchers: An introduction" Longman 1992
72 김민정, "2세 영아의 과학적 탐구과정의 의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73 성지현, "1세 영아-어머니의 언어와 놀이"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