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아의 학교 준비도 향상을 위한 방안 교사인식이 어떠한지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 및 인천지역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총 9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Focus Gro...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480557
2018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45-170(26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의 학교 준비도 향상을 위한 방안 교사인식이 어떠한지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 및 인천지역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총 9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Focus Gro...
본 연구는 유아의 학교 준비도 향상을 위한 방안 교사인식이 어떠한지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 및 인천지역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총 9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 FGI)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예비초등학생의 학교준비도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은 주 양육자와는 차이를 보였다. 둘째, 교사들은 예비초등학생의 정서·행동의 문제가 아동의 학교준비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교사들은 가정양육환경 특성이 학교준비도에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생각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초등학생의 학교준비도를 향상하기 위한 가정, 유아교육기관, 정부나 공공기관, 민간지역기관의 정책적,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을 추가적으로 논의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n depth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school readiness in order to improve the school readiness of preschoolers. For this purpose, 9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nine kindergar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n depth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school readiness in order to improve the school readiness of preschoolers. For this purpose, 9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nine kindergartens and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felt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about the importance of primary caregiver and school readiness. Second, teachers perceived that the problem of pre-elementary school students' emotional behavior had an effect on the school readiness of the children. Third, teachers though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home care environment were important for school preparat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policy and practical plan of the home, kindergarten and day care center, government, public institution, and private local institution were suggested to improve the preparatory school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rther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기숙, "한국과 일본 만 3, 4, 5세 유아의 연령, 성, 소득수준에 따른 읽기, 쓰기 능력" 한국육아지원학회 5 (5): 211-240, 2010
2 이영훈,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학습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광동대학교 대학원 2011
3 김성근, "학술연구에서의 텍스트마이닝 활용 현황과 주요분석기법" 한국엔터프라이즈아키텍처학회 13 (13): 317-329, 2016
4 박연정, "학령 전 아동의 학교준비도 척도개발 및 학교준비도와 관련변인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5 박연정, "학령 전 아동의 학교준비도 관련변인 연구" 한국인간발달학회 17 (17): 37-54, 2010
6 Krueger, R. A., "포커스그룹: 응용조사 실행방법" 명인문화사 2014
7 고명숙, "키워드 기반 주제중심 분석을 이용한 비정형데이터 처리" 한국정보처리학회 6 (6): 521-526, 2017
8 방소영,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 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3
9 좌현숙, "초점집단면접을 이용한 소년소녀가정 제도 개선 연구: 가정위탁보호 지정의 장애요인 및 전환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36) : 115-138, 2013
10 이재인, "초등학생의 부모애착, 또래애착, 자기효능감, 학교적응 간의 관계 구조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7 (27): 345-367, 2014
1 이기숙, "한국과 일본 만 3, 4, 5세 유아의 연령, 성, 소득수준에 따른 읽기, 쓰기 능력" 한국육아지원학회 5 (5): 211-240, 2010
2 이영훈,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학습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광동대학교 대학원 2011
3 김성근, "학술연구에서의 텍스트마이닝 활용 현황과 주요분석기법" 한국엔터프라이즈아키텍처학회 13 (13): 317-329, 2016
4 박연정, "학령 전 아동의 학교준비도 척도개발 및 학교준비도와 관련변인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5 박연정, "학령 전 아동의 학교준비도 관련변인 연구" 한국인간발달학회 17 (17): 37-54, 2010
6 Krueger, R. A., "포커스그룹: 응용조사 실행방법" 명인문화사 2014
7 고명숙, "키워드 기반 주제중심 분석을 이용한 비정형데이터 처리" 한국정보처리학회 6 (6): 521-526, 2017
8 방소영,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 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3
9 좌현숙, "초점집단면접을 이용한 소년소녀가정 제도 개선 연구: 가정위탁보호 지정의 장애요인 및 전환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36) : 115-138, 2013
10 이재인, "초등학생의 부모애착, 또래애착, 자기효능감, 학교적응 간의 관계 구조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7 (27): 345-367, 2014
11 방소영, "초등학교 학교준비도에 대한 유아기자녀 부모, 학령기자녀 부모와 유아교사, 초등교사의 인식차이" 한국아동학회 34 (34): 139-160, 2013
12 장명림, "초등학교 취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과 지원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15
13 김태은, "초등학교 준비도 향상을 위한 집중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적 기술과 학교생활 적응 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68) : 125-146, 2011
14 김윤수, "초등학교 1학년 학교준비도 요소 추출에 관한 연구" 9 (9): 193-209, 2002
15 정대현,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이 지각한 누리과정과 초등교육과정의 연계경험"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5 (15): 251-271, 2016
16 김경은,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자기돌봄경험에 따른 일상생활경험 및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학회 33 (33): 51-69, 2012
17 한유리, "질적연구 입문" 박영스토리 2015
18 김영천, "질적 연구 : 열다섯 가지 접근" 아카데미프레스 2017
19 윤정순, "자녀 성별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학교적응기대가 자녀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6 (16): 131-155, 2017
20 성미영, "자기조절에 대한 교사신념, 유아의 행동적 자기조절 및 학교준비도의 관계:유아 성별에 따른 차이" 한국보육지원학회 12 (12): 61-78, 2016
21 김정숙, "유치원 어린이집과 초등학교의 연계 현황과 강화 방안" 육아정책연구소 2015
22 최일선,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의 연계성에 대한 내용분석-사회교육내용을 중심으로" 34 (34): 295-318, 2014
23 박혜정, "유아학습준비도 검사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87
24 김진미, "유아의 학교준비도 영향요인 분석" 육아정책연구소 11 (11): 169-194, 2017
25 이원령, "유아의 정서 및 행동문제에 대한 중재 고찰: 2000∼2013년 국내 실험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0 (30): 401-428, 2014
26 배율미, "유아의 의도적 통제 및 정서적 반응성과 기초학습 능력의 관계"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2 (22): 275-295, 2018
27 황해익, "유아의 수학학습능력 및 수학학습잠재력에 영향을 미치는제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학회 33 (33): 203-222, 2012
28 김남임, "유아의 사회정서문제행동에 대한 기독교적 관점: 전문가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 (19): 435-463, 2015
29 송서영, "유아의 문제행동 유형·원인에 대한 모의 인식 특성과 문제행동 지도방법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장애·비 장애유아 모의 비교"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54) : 155-185, 2016
30 지성애, "유아의 기초학습능력과 내재화ㆍ외현화 문제행동, 적응기술 및 창의성 간의 관계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2 (22): 249-274, 2018
31 장슬하, "유아의 공감능력과 창의성, 기초학습능력 및 적응기술 간의 관계 및 영향력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2 (22): 321-345, 2018
32 허계형, "유아기 문제행동 중재전략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2 (12): 285-304, 2012
33 곽노의, "유아교육기관과 초등학교의 연계교육" 창지사 2012
34 장명림, "유아교육과 초등교육 연계 강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4
35 김정민, "예비 초등학생의 정서행동문제와 학교준비도에서 가정환경특성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5 (25): 249-273, 2018
36 강민주, "어머니의 부모역할지능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공감능력과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32 (32): 203-216, 2011
37 장진영, "아버지의 우울과 부부관계 및 자녀양육방식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소 42 (42): 79-107, 2011
38 손병덕, "아동의 발달지연에 대한 모의 양육 특성과 부모의 양육 참여 영향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24 (24): 75-94, 2017
39 조용환, "아동상담연구의 질적 접근" 2011
40 장혜진, "아동 개인 및 가정환경에 따른 초등학교 1학년 학기 초 학교적응 차이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27 (27): 95-122, 2014
41 황혜원, "부모양육행동과 유아의 학교준비도 간의 관계 : 일반가정 유아와 다문화가정 유아의 비교를 중심으로" 36 (36): 117-129, 2014
42 "리비젼CRM2.0 자료실"
43 강현옥, "다문화가정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 보호요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교육학회 22 (22): 101-119, 2013
44 이태수, "농촌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기초연구: 사회복지실무자 대상 초점집단인터뷰 분석을 중심으로" 1-26, 2012
45 "교육통계서비스"
46 이현정, "건강 및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대한 건강군과 질환군의 인식: 초점집단토의와 심층면접을 사용하여"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16 (16): 55-66, 2016
47 조경진, "가정환경의 질과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53 (53): 229-239, 2015
48 전은옥, "가정환경 자극과 유아의 학교준비도의 관계 : 기관적응의 매개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회 (94) : 93-119, 2015
49 최지현, "가정환경 변인 및 아동 개인특성이 취학전 아동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31 (31): 113-124, 2010
50 김수정, "가정 외 보호 퇴소청소년의 원가족과의 관계경험" 초록우산어린이재단 2016
51 "https://louisville.edu/kent/research-special-programs-projects/current-projects/first-step-next,https://ies.ed.gov/ncee/wwc/EvidenceSnapshot/179"
52 "http://www.dec-sped.org/position-statements"
53 "VWL 텍스트 분석기 프로그램 홈페이지"
54 Bronfenbrenner, U.,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Harvard University Press 1979
55 Harper, L., "Supporting young children’s transitions to school: recommendations for families" 2015
56 OECD, "Starting Strong II"
57 Cook, K. D., "School transition practices and children’s social and academic adjustment in kindergarten" 109 (109): 166-177, 2017
58 Unicef, "School readiness and transitions"
59 Britto, P. R., "Nurturing care : promoting early childhood development" 389 : 91-102, 2017
60 Achenbach, T. M., "Manual for the child behaviour checklist/4-18 and 1991 profile" Univ. of Vermont. Department of Psychiatry 1991
61 Sailor, W., "Handbook positive behavior support" Springer 2008
62 Walker, H. M., "First step to success: An early intervention approach for preventing school antisocial behavior" 6 (6): 66-80, 1998
63 Allen, R., "Culturally responsive pyramid model practices: program-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for young children" 36 : 165-175, 2016
64 Rimm-Kaufman, S. E., "An ecological perspective on the transition to kindergarten: A theoretical framework to guide empirical research" 21 (21): 491-511, 2000
65 Squires, J., "An activity-based approach to developing young children’s social emotional competence" Paul H. Brooks Publishing Co 2007
66 Hemmeter, M. L., "A program-wide model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in early childhood settings" 29 : 337-355, 2007
67 이미숙, "2015 초등 통합 교과 교육과정 개정안의 방향과 주요 변화사항" 1-19, 2015
대학 신입생의 우울: 청소년기 학교생활적응 발달궤적, 부모의 학대적 양육, 그리고 음주 및 흡연 경험의 영향과 성차
초등학생의 인지적, 정서적 공감과 또래괴롭힘 방어행동의 관계: 성별에 따른 교사 개입정도의 조절효과
한국 청소년의 연령 차이와 성별에 따른삶의 만족도 분석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 자녀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부모의 마음챙김 조절 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2.14 | 2.14 | 2.1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34 | 2.47 | 2.766 | 0.5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