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a point that poda should be divided into ‘poda1’ which indicates activity and ‘poda2’ which indicates state. ‘poda1’ has the features of activity, intention and duration, while ‘poda2’ which express...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152600
2014
Korean
701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485-504(20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a point that poda should be divided into ‘poda1’ which indicates activity and ‘poda2’ which indicates state. ‘poda1’ has the features of activity, intention and duration, while ‘poda2’ which expres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a point that poda should be divided into ‘poda1’ which indicates activity and ‘poda2’ which indicates state. ‘poda1’ has the features of activity, intention and duration, while ‘poda2’ which expresses instantaneous visual contact has the features of fortuity, passivity and instantaneite. This semantic difference about ‘poda1’ and poda2 has a effect on their aspect. We can prove the necessity of distinguishing poda1 from poda2 by the combination of ‘poda’ and some adverbs such as ilbureo‘, ’kyesok‘, ’uyeonhi‘, temporal adverbs such as ‘T-tongan’, ‘T-mane’, endings such as ‘-ko issda’, ‘-eo issda’, imperative sentences, ‘-lyeogo hada’ or negative sentences. Especially, poida‘ can also be used to indicate state besides ‘poda2, and form corresponding relation with ‘poda2’ only, but not ‘poda1’.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aspectual properties of ‘poda‘, ‘poda1‘ can be defined as an activity verb, while ‘poda2‘ can be defined as an achievement verb. Both the composition verbs including ‘poda’ as a component and the comparison with Chinese can also be helpful to proving the rationality of distinguishing ‘poda1’ and ‘poda2’.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덕준, "「看」류 유의동사 연구" 3 : 37-80, 1995
2 이수진, "현대 중국어 피동문의 논항 구조 연구" 한국중국언어학회 (27) : 433-452, 2008
3 목정수, "한국어 피동문의 구조와 가능(potential)의 의미 해석-대조적 관점에서-" 국제언어인문학회 30 (30): 369-387, 2006
4 남승호, "한국어 술어의 사건 구조와 상적 의미" 인문학연구원 (52) : 75-124, 2004
5 김윤신, "한국어 동사의 사건 구조와 어휘상" 한국어학회 30 : 31-62, 2006
6 유세진, "한국어 동사 ‘찾다’의 상적 의미: 사건 구조를 통해 본 언어 표현과 인지의 문제" 국어학회 (52) : 153-188, 2008
7 시라이시 치에미, "피동표현과 가능 속성 구문" 우리말학회 (23) : 113-138, 2008
8 우형식, "지각동사 ‘보다’의 경험과 추정" 19 : 31-52, 1986
9 권경원, "지각동사 See의 논항구조에 대한 연구" 대한영어영문학회 37 (37): 213-234, 2011
10 박기성, "영어와 한국어 지각동사의 의미론 비교 연구" 새한영어영문학회 48 (48): 147-169, 2006
1 박덕준, "「看」류 유의동사 연구" 3 : 37-80, 1995
2 이수진, "현대 중국어 피동문의 논항 구조 연구" 한국중국언어학회 (27) : 433-452, 2008
3 목정수, "한국어 피동문의 구조와 가능(potential)의 의미 해석-대조적 관점에서-" 국제언어인문학회 30 (30): 369-387, 2006
4 남승호, "한국어 술어의 사건 구조와 상적 의미" 인문학연구원 (52) : 75-124, 2004
5 김윤신, "한국어 동사의 사건 구조와 어휘상" 한국어학회 30 : 31-62, 2006
6 유세진, "한국어 동사 ‘찾다’의 상적 의미: 사건 구조를 통해 본 언어 표현과 인지의 문제" 국어학회 (52) : 153-188, 2008
7 시라이시 치에미, "피동표현과 가능 속성 구문" 우리말학회 (23) : 113-138, 2008
8 우형식, "지각동사 ‘보다’의 경험과 추정" 19 : 31-52, 1986
9 권경원, "지각동사 See의 논항구조에 대한 연구" 대한영어영문학회 37 (37): 213-234, 2011
10 박기성, "영어와 한국어 지각동사의 의미론 비교 연구" 새한영어영문학회 48 (48): 147-169, 2006
11 성창섭, "영어 지각동사 보충어의 의미적 특성" 8 (8): 79-90, 2001
12 윤명상, "동사 '보다'의 문법화" 한남대학교 대학원 2002
13 조민정, "국어의 상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14 오충연, "국어 피동의 상" 한국어문학회 (100) : 111-141, 2008
15 홍윤기, "국어 문장의 상적 의미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2
16 전정례, "감각동사문의 의미 유형에 대하여" 36 (36): 27-38, 1992
17 황병순, "감각동사 ‘보다’와 행위동사 ‘보다’" 14 (14): 89-106, 1989
18 김지은, "‘보다’와 ‘모르다’의 특수한 쓰임에 대하여" 7 (7): 149-183, 1997
19 염재일, "‘-었-’의 중의성"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58) : 237-264, 2010
20 Smith, Carlota S., "The Parameter of Aspect" Kluwer Academic Publishers 1991
21 Pustejovsky, James, "The Generative Lexicon" The MIT Press 1995
22 Vendler, Zeno, "Linguistics and Philosophy" Cornell University Press 1967
23 Mourelatos, Alex, "Events, Processses and States" 2 : 415-434, 1978
24 Comrie, Bernard, "Aspec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6
CHILDES 코퍼스를 기반으로 한 영미 아동의 형용사적 합성어 습득 연구
Copula and ‘Sluicing' Constructions i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A Cognitive Analysis of Phrasal Verb Take on
Variations in the Wh-island Effects of Wh-in-Situ in Korean - A Garden Path Approach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7-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8-25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언어학회(대표:홍재성) -> 한국언어학회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8-16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언어학회(대표:임홍빈) -> 한국언어학회(대표:홍재성)영문명 : The Linguistic Society Of Korea -> The Linguistic Society of Korea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5-1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Linguistics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1-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1 | 0.71 | 0.6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7 | 0.6 | 1.198 | 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