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 성취정서, 학업성취도 및 주관적 안녕감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7493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 성취정서, 학업성취도 및 주관적 안녕감의 구조적인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6학년 학생 454명이며, 측정도구는 성취목...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 성취정서, 학업성취도 및 주관적 안녕감의 구조적인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6학년 학생 454명이며, 측정도구는 성취목표지향성, 성취정서, 학업성취도 및 주관적 안녕감이다. 기초자료는 상관과 회귀분석이며, 구조방정식 모형에서는 모형의 적합도와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수업, 숙제 및 시험관련 상황에서 숙달접근과 수행접근 목표지향성은 즐거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수행회피와 숙달회피 목표지향성은 불안감과 지루함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수행회피 목표지향성은 즐거움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즐거움은 학업성취도와 주관적 안녕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불안감과 지루함은 학업성취도와 주관적 안녕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수업, 숙제, 및 시험상황에서 숙달접근 목표지향성은 즐거움, 불안감, 지루함의 성취정서를 매개로 하여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숙달회피와 수행회피 목표지향성도 성취정서를 매개로 하여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부적인 영향이 있었다. 숙달접근과 수행접근 목표지향성은 성취정서와 학업성취도를 매개로 하여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그러나 수행회피와 숙달회피 목표지향성은 성취정서와 학업성취도를 매개로 하여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부적인 영향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성취목표지향성과 성취정서, 학업성취도 및 주관적 안녕감까지 연결하여 설명하고자 하였으며, 성취정서를 구조적인 관련 속에서 통합적으로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chievement emotions, and academic achievement on subjective well-being. The subjects were 454 students of grade 6 in elementary schools. The instruments used for the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chievement emotions, and academic achievement on subjective well-being. The subjects were 454 students of grade 6 in elementary schools. The instruments used for the study wer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chievement emotions,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researcher analyzed the scores of academic achievements administered by the education research and information institute. Statistical methods are correlation and regression by SPSS program, and model fit and mediation effects by AMOS program. Related to the class, homework, and test, mastery and performance approach goal orientations had a positive effect on enjoyment and performance and mastery avoidance goal orientations had positive effects on anxiety and boredom. Performance avoidance goal orient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enjoyment. Enjoyment had positiv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but anxiety and boredom had negativ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In the test related circumstance, academic achievement and a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By the analysis of the mediation effect in the class, homework, and test related circumstance, mastery and performance approach goal orien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by the mediation of achievement emotions, but performance and mastery avoidance goal orientations had a nega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by the mediation of achievement emotions. Mastery and performance approach goal orien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by the mediation of academic emotions and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Mastery and performance avoidance goal orient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by the mediation of academic emotions and academic achievem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도승이, "한국어판 성취정서 질문지(K-AEQ)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25 (25): 945-970, 2011

      2 조한익, "초등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 정서 및 정서지능의 관계 연구" 한국교육심리학회 22 (22): 443-460, 2008

      3 김유리, "청소년의 학업성취와 주관적 안녕감에 따른 집단별 특성 : 기대가치신념과 낙관주의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4 손수경,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와 교사의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학습전략과의 관계에서 성취정서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교육심리학회 26 (26): 479-504, 2012

      5 박병기, "주관적 안녕의 2×3 다차원 요인구조" 한국교육심리학회 21 (21): 591-611, 2007

      6 박병기, "주관적 안녕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18 (18): 159-175, 2004

      7 양명희, "정서조절이 학습전략에 미치는 영향: 정서를 매개로 하는 관계 검증"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449-467, 2010

      8 김경희, "아동의 기질과 부정적 정서 및 정서조절전략과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25 (25): 355-370, 2004

      9 양명희, "성취목표지향성이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 정서의 조절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23 (23): 51-71, 2009

      10 이종욱, "성취목표지향성 개념의 재분화: 2x2x2 요인구조 모형의 구성" 한국교육심리학회 21 (21): 105-127, 2007

      1 도승이, "한국어판 성취정서 질문지(K-AEQ)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25 (25): 945-970, 2011

      2 조한익, "초등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 정서 및 정서지능의 관계 연구" 한국교육심리학회 22 (22): 443-460, 2008

      3 김유리, "청소년의 학업성취와 주관적 안녕감에 따른 집단별 특성 : 기대가치신념과 낙관주의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4 손수경,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와 교사의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학습전략과의 관계에서 성취정서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교육심리학회 26 (26): 479-504, 2012

      5 박병기, "주관적 안녕의 2×3 다차원 요인구조" 한국교육심리학회 21 (21): 591-611, 2007

      6 박병기, "주관적 안녕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18 (18): 159-175, 2004

      7 양명희, "정서조절이 학습전략에 미치는 영향: 정서를 매개로 하는 관계 검증"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449-467, 2010

      8 김경희, "아동의 기질과 부정적 정서 및 정서조절전략과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25 (25): 355-370, 2004

      9 양명희, "성취목표지향성이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 정서의 조절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23 (23): 51-71, 2009

      10 이종욱, "성취목표지향성 개념의 재분화: 2x2x2 요인구조 모형의 구성" 한국교육심리학회 21 (21): 105-127, 2007

      11 이종욱, "성취목표지향성 개념의 재분화"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7

      12 Tempelaar, D. T., "achievement emotions impact students' decisions for online learning, and what precedes those emotions" 15 : 161-169, 2012

      13 Diener, E.,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49 (49): 71-75, 1985

      14 Kirkcaldy, B.,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efficacy, educational attainment, and well-being among 30 nations" 9 (9): 107-119, 2004

      15 Pekrun, R., "The control-value theory of achievement emotions: Assumptions, corollaries, and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research and practice" 18 : 315-341, 2006

      16 Diener, R. B., "The Psychology of subjective well-being" 133 (133): 18-25, 2004

      17 Zeidner, M., "Test anxiety: The state of the art" Plenum 1998

      18 Diener, E., "Subjective well-being: The science of happiness and a proposal for a national index" 55 (55): 34-43, 2000

      19 Davern, M., "Subjective well-being as an affective-cognitive construct" 8 : 429-449, 2007

      20 Hancock, G. R.,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Second course" Information Age Publishing 2006

      21 Murray-Harvey, R., "Relationship influences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psychological health, and well-being at school" 27 (27): 104-115, 2010

      22 Dweck, C. S., "Motivational processes affecting learning" 41 : 1040-1048, 1986

      23 Pintrich, P. R., "Motivation in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s" Merrill Englewood Cliffs 1996

      24 Reinhard Pekrun, "Measuring students' emotions in the early years: The Achievement Emotions Questionnaire-Elementary School (AEQ-ES)" ELSEVIER SCIENCE BV 22 : 190-201, 201204

      25 Reinhard Pekrun, "Measuring emotions in students' learning and performance: The Achievement Emotions Questionnaire (AEQ)" ACADEMIC PRESS INC ELSEVIER SCIENCE 36 : 36-48, 201101

      26 Chang, L., "Life satisfaction, self-concept, and family relations in chinese adolescents and children" 27 (27): 182-189, 2003

      27 Blackwell, L. S., "Implicit theories of intelligence predict achievement across an adolescent transition: A longitudinal study and an intervention" 78 (78): 246-263, 2007

      28 Rand, K. L., "Hope and optimism: Latent structures and influences on grade expectancy and academic performance" 77 (77): 231-260, 2009

      29 Shigehiro Oishi, "Goals, culture, and subjective well-being" SAGE PUBLICATIONS INC 27 (27): 1674-1682, 200112

      30 Bronte-Tinkew, J., "Fathering with multiple partners: Links to children's well-being in early children" 71 : 608-631, 2009

      31 Chou, C., "Estimates and tes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Sage 37-55, 1995

      32 Salovey, P.,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self-regulation of Affect, In Handbook of mental control" Prentice-Hall Inc 258-277, 1993

      33 Barret, K. C., "Emotional development Ⅱ: A functionalist approach to emotions, In Handbook of infant development" Wiley 555-578, 1987

      34 Elliot, A. J., "Emotion in the hierarchical model of approach-avoidance achievement motivation, In Emotion in education" Elsevier Academic 57-73, 2007

      35 Cheng, H., "Attributional style and personality as predictors of happiness and mental health" 2 (2): 307-327, 2001

      36 Adler, M. G., "Appreciation: Individual differences in finding value and meaning as a unique predictor of subjective well-being" 73 (73): 79-114, 2005

      37 Ames, C., "Achievement goals in the classroom: Student's learning strategies and motivation process" 80 : 260-267, 1988

      38 McGregor, H. A., "Achievement goals as predictors of achievement-relevant processes prior to task engagement" 94 : 381-395, 2002

      39 Pekrun, R., "Achievement goals and discrete achievement emotions: A theoretical model and prospective test" 98 (98): 583-597, 2006

      40 Huang, C., "Achievement goals and achievement emotions: A meta-analysis" 23 : 359-388, 2011

      41 Linnenbrink, E. A., "Achievement goal theory and affect: An asymmetrical bidirectional model" 37 : 69-78, 2002

      42 Reinhard Pekrun, "Achievement Goals and Achievement Emotions: Testing a Model of Their Joint Relations With Academic Performance" AMER PSYCHOLOGICAL ASSOC 101 (101): 115-135, 200902

      43 Lichtenfeld, S., "Achievement Emotions Questionnaire - Elementary School (AEQ-Elementary School): User's Manual"

      44 Pekrun, R., "Academic emotions in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hievement: A program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37 : 91-106, 2002

      45 Pekrun, R., "Academic Emotions Questionnaire(AEQ): User's Manual"

      46 Jin, S., "A study of well-being and school satisfaction among academically talented students attending a science high school in Korea" 50 (50): 169-190, 2006

      47 Pekrun, R., "A social-cognitive, control-value theory of achievement emotions, In Motivational psychology of human development" Elsevier 143-163, 2000

      48 Dweck, C. S., "A social-cognitive approach to motivation and personality" 95 : 256-273, 1988

      49 Elliot, A. J., "A 2x2 achievement goal framework" 80 : 501-519, 2001

      50 박병기, "2x2 성취목표지향성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19 (19): 327-353, 2005

      51 Jang, L. Y., "2x2 achievement goals and achievement emotions: A cluster analysis of students' motivation" 27 : 59-76,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6-16 학술지등록 한글명 : 교육심리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9 2.39 2.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75 3.18 3.128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