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BSC 인식, 상사신뢰, 그리고 관리적 성과 간의 관계 = 군 조직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4596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군 조직을 대상으로 개인수준차원에서 조직구성원들이 나타내는 BSC 인식을 이해도와 유용성 인식으로 구분하여 상사신뢰 및 관리적 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였다. 과거대표...

      본 연구는 군 조직을 대상으로 개인수준차원에서 조직구성원들이 나타내는 BSC 인식을 이해도와 유용성 인식으로 구분하여 상사신뢰 및 관리적 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였다. 과거대표적 영리조직인 기업을 중심으로 도입, 정착되어 온 BSC가 최근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도입차원에서의 확장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실무적 차원에서의 추세에도 불구하고 BSC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여전히 기업을 중심으로 주된 연구흐름을 나타내고 있으며, 공공부문을 대상으로 수행된 확장연구 또한 학교 또는 정부기관과 같은 특정조직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된 한계점을 나타낸다. 더욱이 해당 선행연구들은 BSC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 요구되는 제반요인들을 검증하는데 있어 제도적 차원에서의 접근시각에 머물러 있는 추가적 한계점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공부문인 군 조직을 대상으로 해당 제도를 관리, 운영하는 주체인 조직구성원들이 나타내는 인지적 차원에서의 지원요인에 주목하여 상사신뢰 및 관리적 성과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검증결과, 이해도 및 유용성 인식으로 구분되는 BSC 인식은 두 차원 모두 관리적 성과에 정(+)의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상사신뢰에는 유용성 인식만이 정(+)의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한편, 상사신뢰는 관리적 성과에 정(+)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이는 전통적으로 관리회계분야 선행연구들이 제시해온 실증결과와 합치되는 결과이다. 해당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상사신뢰는 BSC 인식 중 유용성 인식과 관리적 성과 간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이는 매개효과분석을 통한 추가분석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나타냄에 따라 그 강건성이 확보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SC recognition being classified with understandability and utility, trust in supervisor, and managerial performance for military organization. In recent years, the introduction of B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SC recognition being classified with understandability and utility, trust in supervisor, and managerial performance for military organization. In recent years, the introduction of BSC has been extended to non -profit organizations. For all this stream of working-level, prior studies on BSC has still focused on only profit organizations. Furthermore, these studies has limitations that the effects of supporting factors was only verified in institutional dimension. Therefore, this study try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BSC recognition, trsut in supervisor, and managerial performance for military organization. The results from analyzing PLS-SEM show that the both dimensions of BSC affect to managerial performance positively, but to trust in supervisor positively only utility. Meanwhile, trust in supervior shows positive effect to managerial performance and these results are in accord with prior studies in managerial accounting. All these results take together, trust in supervior acts as mediating role in relationship between BSC utility and managerial performance. And this result is robust by mediating effect analysi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설정
      • Ⅲ. 연구설계
      • Ⅳ. 실증분석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설정
      • Ⅲ. 연구설계
      • Ⅳ. 실증분석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상원, "지방자치단체의 전략적 관리제도 연구 : 서울특별시 균형성과관리(BSC)의 도입효과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2 임선경, "정부기관 BSC 도입 및 운영에 대한 사례연구 : 국방부의 BSC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3 이다솜, "예산관련행동이 조직몰입, 상사신뢰, 그리고 관리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 군 조직을 중심으로" 한국국제회계학회 (67) : 45-70, 2016

      4 조주연, "성과관리체계의 수용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시민주도형 정부성과관리 모형의 도입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1

      5 안재호, "성과관리제도 도입에 대한 지방공무원의 인식에 관한 연구 : 균형성과표(Balanced Scorecard)를 대상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7

      6 김달곤, "불확실성하의 조직내 신뢰와 통제시스템간의 관계" 한국국제회계학회 (23) : 43-60, 2008

      7 김호영, "군 조직의 성과평가시스템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4

      8 류도암, "공무원의 성과관리제도 수용성이 조직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지방자치단체 구성원의 BSC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2

      9 기민자, "공공부문 성과관리시스템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D공사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2010

      10 류춘호, "공공감사와 감사 수용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9 (9): 299-322, 2006

      1 강상원, "지방자치단체의 전략적 관리제도 연구 : 서울특별시 균형성과관리(BSC)의 도입효과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2 임선경, "정부기관 BSC 도입 및 운영에 대한 사례연구 : 국방부의 BSC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3 이다솜, "예산관련행동이 조직몰입, 상사신뢰, 그리고 관리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 군 조직을 중심으로" 한국국제회계학회 (67) : 45-70, 2016

      4 조주연, "성과관리체계의 수용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시민주도형 정부성과관리 모형의 도입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1

      5 안재호, "성과관리제도 도입에 대한 지방공무원의 인식에 관한 연구 : 균형성과표(Balanced Scorecard)를 대상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7

      6 김달곤, "불확실성하의 조직내 신뢰와 통제시스템간의 관계" 한국국제회계학회 (23) : 43-60, 2008

      7 김호영, "군 조직의 성과평가시스템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4

      8 류도암, "공무원의 성과관리제도 수용성이 조직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지방자치단체 구성원의 BSC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2

      9 기민자, "공공부문 성과관리시스템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D공사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2010

      10 류춘호, "공공감사와 감사 수용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9 (9): 299-322, 2006

      11 Hackman, J. R., "Work redesign" Addison-Wedley 1980

      12 Tyler, T. R., "Why People Cooperate with Organization:An Identity-based Perspective" 21 : 201-246, 1999

      13 Mishra, J., "Trust in Employee/Employer Relationships:A Survey of West Michigan Managers" 19 (19): 443-486, 1990

      14 Boss, R. W., "Trust and Managerial Problem Solving Revisited" 3 (3): 331-342, 1978

      15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51): 1173-, 1986

      16 Kaplan, R. S., "The Balanced Scorecard:Translating Strategy into Acti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1996

      17 Hendricks, K., "The Balanced Scorecard:To adopt or not to adopt" 69 (69): 1-7, 2004

      18 Davis, F. D.,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13 (13): 319-340, 1989

      19 Yoo, Y., "Media and Group Cohesion:Relative Influences on Social Presence, Task Participation, and Group Consensus" 371-390, 2001

      20 Van de Van, A. H., "Measuring and Assessing Organization" Wiley 1980

      21 Whitener, E. M., "Managers as Initiators of Trust:An Exchange Relationship Framework for Understanding Managerial Trustworthy Behavior" 23 (23): 513-530, 1998

      22 임태종, "MCS의 상호작용적 이용이 절차공정성, 상사신뢰, 그리고 관리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국제회계학회 (47) : 167-196, 2013

      23 Kaplan, R. S., "Focusing Your Organization on Strategy—with the Balanced Scorecard, 2" 2-18, 2000

      24 Islam M., "Firm- and Individual-Level Determinants of Balanced Scorecard Usage" 5 (5): 181-207, 2006

      25 Hedge, J. W., "Exploring the Concept of Acceptability as a Criterion for Evaluating Performance Measures" 25 (25): 22-44, 2000

      26 Fornell, C. R.,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18 (18): 39-50, 1981

      27 Cummings, T. G., "Essentials of Organization Development and Change" South-Western College Publ 2001

      28 Niven, P. R., "Balanced Scorecard Diagnostics:Maintaining Maximum Performance" John Wiley & Sons 2005

      29 구본장, "BSC에 의한 성과평가제도의 인식정도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7 (7): 15-43, 2004

      30 Mayer, R. C., "An Integrative Model of Organizational Trust" 20 (20): 709-734, 1995

      31 Abernethy, M. A., "An Empirical Assessment of the “Fit” between Strategy and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Design" 34 (34): 49-66, 1994

      32 Gefen, D., "A Practical Guide to Factorial Validity Using PLS Graph:Tutorial and Annotated Example" 16 (16): 91-109,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45 2.45 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42 2.28 3.539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