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은주, "협동학습에서 학습자의 사전성취도와 의사소통 성향의 개인차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학회 42 (42): 123-151, 2004
2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
3 박창언, "한국형 온라인 공개 강좌(K-MOOC) 운영 현황과 과제" 한국교육과정학회 34 (34): 121-140, 2016
4 박태정, "한국 대학생의 K-MOOC 학습 경험에 대한 내용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6 (16): 446-457, 2016
5 김정겸, "학습여건에 따른 이러닝 만족요인의 상대적 중요도 탐색: 주․야간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7 (17): 219-237, 2011
6 이영은, "학습동아리 참여공무원의 집단효능감 및 자기주도학습능력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1
7 김지숙, "평생교육기관의 교육서비스 품질이 학습자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학습자만족 및 관계몰입의 매개효과"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3 (33): 57-76, 2015
8 Cheng, P., "중국 MOOCs 학습자의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이화여자대학교 2019
9 주영주, "전자매체를 활용한 사이버수업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 사회적 실재감, 학습몰입,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대한전자공학회 48 (48): 71-78, 2011
10 우 기, "이러닝을 통한 학습자의 만족도, 학습성과와 재사용의도에 대한 연구 : 중국 MOOC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2018
11 주영주, "이러닝과 연계된 모바일러닝에서 사이버대학생의 지속사용의도와 영향요인간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3 (23): 47-71, 2014
12 강성욱, "이러닝 이용의도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1
13 하영자, "이러닝 성인학습자의 내재적 가치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따른 학습지속의향, 만족도, 학업성취도의 예측"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5 (5): 49-67, 2010
14 정철호, "이러닝 서비스의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5 (5): 65-72, 2011
15 임정훈, "웹기반 교육의 비용효과성 분석을 위한 탐색적 연구" 3 (3): 49-75, 2001
16 이항녕, "웹 기반 교육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요인 탐색"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7 김자미, "원격교육의 효과성 향상을 위한 콘텐츠 품질수준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11 (11): 1838-1844, 2010
18 배예선, "온라인 공개 강좌 MOOC의 현황 분석 및 개선안 연구" 한국정보통신학회 18 (18): 3005-3012, 2014
19 강영민, "성인학습자의 K-MOOC 참여 및 성공적 이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교육학회 56 (56): 85-105, 2018
20 주영주, "사이버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온라인과제가치와 만족도 및 성취도간의 관계 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4 (14): 115-135, 2008
21 주영주, "사이버 대학에서 내적통제소재, 온라인 과제가치, 시간관리, 학습몰입, 만족도 간의 과목선택권에 따른 영향력 차이 규명"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7 (17): 477-497, 2011
22 허균, "블랜디드 러닝 환경에서 수업만족 영향요인의 구조적 모델 연구" 한국인터넷정보학회 10 (10): 135-143, 2009
23 김정겸, "방송고 사이버교육환경에서 학습자의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참여도의 매개효과" 한국교육방법학회 22 (22): 51-70, 2010
24 구양미, "대학의 혼합형 학습 환경에서 자기주도학습의 유형에 대한 분석 -실존적, 사회적 자기주도학습의 가능성" 한국교육공학회 22 (22): 161-193, 2006
25 유지원, "대학생의 학습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수업환경과 학습자 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2 (12): 309-337, 2012
26 한승진, "대학 평생 교육 학습자의 참여동기와 참여정도 및 학습만족도의 관계 연구" 3 (3): 1-24, 2006
27 박은솔, "대학 토론 수업에서 FacebookⓇ 활용 시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 수준과 교수자의 피드백이 성취도와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9 (19): 229-251, 2013
28 강경희, "대학 구성원 인식에 기초한 MOOC 개발 활용 전략 연구" 한국융합학회 8 (8): 151-158, 2017
29 김희정, "대학 e-러닝 학습성과와 재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1
30 우종필,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한나래출판사 2012
31 최경애, "고등평생학습체제로서의 K-MOOC 활성화를 위한 과제" 원격교육연구소 12 (12): 1-24, 2016
32 김미량, "e-Learning 대학원 과정에서의 학습자 몰입 및 강의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32 (32): 165-201, 2005
33 Kuh, G. D., "Unmasking the effects of student engagement on first-year college grades and persistence" 9 (9): 540-563, 2008
34 Alraimi, K. M., "Understanding the MOOCs continuance : The role of openness and reputation" 80 : 28-38, 2015
35 Bhattacherjee, A., "Understanding information systems continuance : an expectation confirmation model" 25 (25): 351-370, 2001
36 Feng, W., "Understanding dropouts in MOOCs" 33 : 517-524, 2019
37 Strachota, E., "The use of survey research to measure student satisfaction in online courses" University of Missouri-St 2006
38 Curran, P. J.,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1 (1): 16-29, 1996
39 Dagger, T. S., "The effect of service evaluations on behavioral intentions and quality of life" 9 (9): 3-18, 2006
40 Johnson-Farmer, B. J., "Teaching excellence : what great teachers teach us" 25 (25): 267-272, 2009
41 Webster, J., "Teaching effectiveness in technology-mediated distance learning" 40 (40): 1282-1309, 1997
42 Coates, H., "Students engagement in campusbased and online education" Routledge 2006
43 Carini, R. M., "Student engagement and student learning : Testing the linkages" 47 (47): 1-32, 2006
44 Sun, J.C.Y., "Situational interest, computer self-efficacy and self-regulation : Their impact on student engagement in distance education" 43 (43): 191-204, 2012
45 Gutiérrez-Rojas, I., "Scaffolding self-learning in MOOCs" 43-49, 2014
46 임걸, "SWOT 분석에 기반한 한국형 MOOCs 설계요소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615-624, 2014
47 Kember, D., "Promoting student-centred forms of learning across an entire university" 58 (58): 1-13, 2009
48 Puzziferro, M., "Online Technologies Self-Effica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as Predictors of Final Grade and Satisfaction in College-Level Online Courses" 22 (22): 72-89, 2008
49 Shah, D., "Monetization over massiveness : Breaking down MOOCs by the numbers in 2016"
50 Barnard, L., "Measuring self-regulation in online and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12 (12): 1-6, 2009
51 명순구, "MOOC에 의한 민법 교육, 경험과 진단 - 고려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원 (80) : 227-261, 2016
52 하오선, "MOOC에 대한 대학교수 인식 연구- D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교육문제연구소 30 (30): 71-100, 2017
53 Yousef, A. M. F., "MOOCs-A Review of the State-of-the-Art" 3 : 9-20, 2014
54 정한호, "MOOC 수강에 대한 대학생의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기술수용모형, 기대일치모형, 과제기술적합모형을 기반으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3 (23): 315-343, 2017
55 Guardia, L., "MOOC design principles : A pedagogical approach from the learner’s perspective" 33 : 1-6, 2013
56 주영주, "K-MOOC의 만족도와 사용의도 영향변인 규명 연구" 원격교육연구소 13 (13): 185-207, 2017
57 김수연, "K-MOOC에서 수강 의도, 품질,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 지속적인 사용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고려대학교 2018
58 변문경, "K-MOOC 수강 완료자의 초기 수강 동기와 수강 지속 동기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125-154, 2017
59 Jordan, K., "Initial trends in enrolment and completion of massive open online courses" 15 (15): 133-160, 2014
60 Hone, K. S., "Exploring the factors affecting MOOC retention : A survey study" 98 : 157-168, 2016
61 Lai, C. H., "Effect of Peer Interaction among Online Learning Community on Learning Engagement and Achievement" 17 (17): 66-77, 2019
62 Trehan, S., "Critical discussions on the Massive Open Online Course(MOOC)in India and China" 13 (13): 141-165, 2017
63 Perez-Guaita, D., "Atmospheric compensation in fourier transform infrared(FT-IR)spectra of clinical samples" 67 (67): 1339-1342, 2013
64 Sobel, M. E.,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13 : 290-312, 1982
65 김성희, "<수학기초>와 <기계학습> 교과 사례를 통해 살펴 본 K-MOOC의 전략적인 운영 방법 탐색" 한국교양교육학회 12 (12): 123-139, 2018
66 교육부, "2018년 한국형 온라인공개강좌(K-MOOC) 운영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