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성인의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외상 후 성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childhood-adolescence trauma on the suicidal ideation in adults: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posttraumatic growt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1308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의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외상 후 성장이 조절하는지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20대에서 40대까지 일반 성인 151명을 대상으로 하...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의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외상 후 성장이 조절하는지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20대에서 40대까지 일반 성인 15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절회귀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인의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은 자살생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을 많이 할수록 자살생각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상 후 성장은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상 후 성장이 낮은 집단에서는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이 증가 할수록 자살생각의 증가 또한 강하게 나타났으나, 외상 후 성장이 높은 집단에서는 아동청소년기외상경험이 증가해도 자살생각의 증가폭은 완만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 대상자의 개입의 필요성과 외상 후 성장을 위한 실천적 전략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oderating effect of posttraumatic growth between childhood-adolescence trauma and suicidal ideation. 151 adults in their 20`s to 40`s were utilized by analyzing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oderating effect of posttraumatic growth between childhood-adolescence trauma and suicidal ideation. 151 adults in their 20`s to 40`s were utilized by analyzing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 study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adolescence trauma and suicidal ideation. To be specific, the more childhood-adolescence trauma increased, the more suicidal ideation increased. Second, the results presented that posttraumatic growth moderated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adolescence trauma and suicidal ideation. The more childhood-adolescence trauma increased, the more suicidal ideation strongly increased in group of lower posttraumatic growth. Whereas, the more childhood-adolescence trauma increased, the more suicidal ideation mildly increased in group of higher posttraumatic growth. Based on these findings, it was suggested that intervention for people who have childhood-adolescence trauma and practical strategy for posttraumatic growth are needed in social welfare practi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승훈, "한국판 외상후 성장 척도의 타당도 및 신뢰도 연구" 한국건강심리학회 14 (14): 193-214, 2009

      2 연합뉴스, "한국 자살률, OECD 압도적 1위를 차지하다"

      3 박은옥, "한국 성인의 자살 생각률과 관련 요인" 정신간호학회 22 (22): 88-96, 2013

      4 최남희, "트라우마 내러티브 재구성과 회복효과" 한국피해자학회 18 (18): 285-309, 2010

      5 박병금, "청소년의 자살생각 관련 요인 :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 16 (16): 505-522, 2007

      6 김경아, "청소년의 따돌림 종류에 따른 피해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충동성과 문제해결 능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15 (15): 695-712, 2014

      7 윤명숙, "청소년의 대인외상경험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스트레스대처능력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7 (17): 239-261, 2015

      8 서영석, "청소년들의 외상사건 경험" 한국교육심리학회 26 (26): 787-816, 2012

      9 이경희, "청소년기 외상경험과 자살생각 관계에서 자기존중감의 조절효과" 한국관광산업학회 38 (38): 79-101, 2013

      10 박현선, "청소년기 비행친구의 영향에 대한 보호요인의 조절효과 - 자아존중감, 부모애착 및 지도감독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7) : 399-427, 2008

      1 송승훈, "한국판 외상후 성장 척도의 타당도 및 신뢰도 연구" 한국건강심리학회 14 (14): 193-214, 2009

      2 연합뉴스, "한국 자살률, OECD 압도적 1위를 차지하다"

      3 박은옥, "한국 성인의 자살 생각률과 관련 요인" 정신간호학회 22 (22): 88-96, 2013

      4 최남희, "트라우마 내러티브 재구성과 회복효과" 한국피해자학회 18 (18): 285-309, 2010

      5 박병금, "청소년의 자살생각 관련 요인 :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 16 (16): 505-522, 2007

      6 김경아, "청소년의 따돌림 종류에 따른 피해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충동성과 문제해결 능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15 (15): 695-712, 2014

      7 윤명숙, "청소년의 대인외상경험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스트레스대처능력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7 (17): 239-261, 2015

      8 서영석, "청소년들의 외상사건 경험" 한국교육심리학회 26 (26): 787-816, 2012

      9 이경희, "청소년기 외상경험과 자살생각 관계에서 자기존중감의 조절효과" 한국관광산업학회 38 (38): 79-101, 2013

      10 박현선, "청소년기 비행친구의 영향에 대한 보호요인의 조절효과 - 자아존중감, 부모애착 및 지도감독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7) : 399-427, 2008

      11 "중앙자살예방센터"

      12 윤명숙, "정신장애인 가족의 외상 후 성장 영향요인"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38) : 201-228, 2012

      13 김보라, "자아탄력성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0

      14 은헌정, "일 도시 지역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역학 조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0 (40): 581-591, 2001

      15 김희정, "유방암 생존자의 외상후성장 관련 요인 탐색" 한국건강심리학회 13 (13): 781-799, 2008

      16 전보람, "위협지각, 낙관성 및 삶의 의미가 암 환자의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2

      17 이양자, "외상후 성장에 대한 연구 개관 : 적응과의 관계 및 치료적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13 (13): 1-23, 2008

      18 박예슬, "외상에 대한 의도적 반추와 심리적 수용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3

      19 조용래, "외상사건 경험자들의 탄력성이 정신적 웰빙과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에 미치는 영향: 외상 후 성장 및 외상 후 부정적 인지의 매개효과"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14 (14): 359-386, 2014

      20 장은량, "외상경험자의 탄력성과 자살행동의 관계: 탄력성이 자살행동의 보호요인이 되는가?" 한국임상심리학회 33 (33): 299-314, 2014

      21 유현진, "외상경험과 외상후 성장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효과"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2 유희정,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2

      23 김지경, "외상 후 성장 연구의 국내 동향과 과제"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14 (14): 239-265, 2014

      24 최승미, "외상 후 성장 관련 변인의 탐색"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25 이수림, "외상 유형이 외상후성장 및 지혜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대처의 매개효과"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9 (19): 319-341, 2013

      26 임선영, "역경후 성장에 이르는 의미재구성 과정 : 관계상실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27 Lopez, S. J., "역경을 통해 성장하기" 학지사 2008

      28 이완정, "아동청소년기 폭력노출경험과 대학생의 정신건강" 한국아동권리학회 14 (14): 385-407, 2010

      29 조선민, "아동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외상 후 성장에 대한 정서의 매개효과" 534-535, 2007

      30 이기범, "아동기 학대와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용서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3 (23): 21-36, 2015

      31 송지혜, "아동기 학대 경험이 청소년기 자아존중감 및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정책경영대학원 2009

      32 추경진, "아동기 정서적 학대경험과 청소년기 자살생각 간의 관계: 자기체계 손상과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인간발달학회 22 (22): 83-103, 2015

      33 김은정, "아동기 정서적 외상경험과 우울수준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9 (9): 1505-1520, 2008

      34 유희정, "아동기 외상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탄력성과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14 (14): 277-296, 2015

      35 박모란, "신체적, 성적 외상경험과 자살시도의 관계에서 대처유연성의 보호효과"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15 (15): 155-171, 2015

      36 박경, "수용, 외상 후 성장, 우울과 자살사고의 관계" 대한스트레스학회 19 (19): 281-292, 2011

      37 박은아, "성인의 대인외상경험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 : 낙관성과 관계의 질의 다중매개효과" 전북대학교 2014

      38 박은주, "성인애착과 대인관계적 외상 후 성장의 관계 : 정신화 능력의 매개효과"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3

      39 최선재, "상실 경험의 의미 재구성과 심리적 적응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40 신선영, "삶의 의미와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성장적 반추를 매개 변인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41 김재엽, "부모로부터의 방임․정서학대 및 신체학대 경험이 청소년의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교폭력 가해경험의 매개효과"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5 : 157-183, 2013

      42 이지언, "따돌림 피해 경험이 우울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4 : 219-239, 2013

      43 고유나, "동기 정서적 외상경험이 학생의 우울 및 불안수준에 미치는 영향 -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8 (18): 105-132, 2016

      44 최정현, "도시·농촌지역 고등학생의 자살생각에 관한 연구-성장발달자산과 폭력경험을 중심으로" 기본간호학회 20 (20): 37-45, 2013

      45 김지애, "대학생의 외상 후 성장 촉진 요인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정서적 폭력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3

      46 김서연, "대학생의 관계상실경험과 외상 후 성장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2014 (2014): 458-, 2014

      47 윤명숙, "대학생 외상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관계만족도의 매개효과분석"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40 (40): 5-32, 2012

      48 안현의, "단순 및 복합 외상 유형에 따른 PTSD의 증상 구조" 한국심리학회 30 (30): 869-887, 2011

      49 김형수, "노인자살의 이해와 일차적 예방" 23 (23): 167-187, 2002

      50 유란경, "낙관성이 외상후성장에 미치는 영향 : 사건-관련 반추 및 대처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2

      51 서윤주, "낙관성 증진 프로그램이 여자 중학생의 성향적 낙관성, 우울,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7 (7): 295-313, 2010

      52 Flannery, D. J., "Violence exposure, psychological trauma, and suicide risk in a community sample of dangerously violent adolescents" 40 (40): 435-442, 2001

      53 Courtois, C. A., "Treating complex traumatic stress disorders: An evidence-base guide" The Guilford Press 2009

      54 Miller, A. B., "The relation between child maltreatment an adolescent suicidal behavior : A systematic review and critical examination of the literature" 16 (16): 146-172, 2013

      55 Tedeschi, R. G.,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9 (9): 455-471, 1996

      56 Calhoun, L. G., "The foundations of posttraumatic growth : New considerations" 15 (15): 93-102, 2004

      57 Wethington, H. R.,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to reduce psychological harm from traumatic events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 A systematic review" 35 (35): 287-313, 2008

      58 Akyuz, G., "Reported childhood trauma, attempted suicide and self-mutilative behavior among women in the general population" 20 : 268-273, 2005

      59 Hooper, L. M., "Predictors of growth and distress following childhood parentification : A retrospective exploratory study" 17 : 693-705, 2008

      60 Tedeschi, R. G., "Posttraumatic growth: Conceptual foundations and empirical evidence" 15 (15): 1-18, 2004

      61 Zoellner, T., "Posttraumatic growth in clinical psychology-a critical review and introduction of a two component model" 26 (26): 626-653, 2006

      62 Bush, N. E., "Posttraumatic growth as protection aganinst suicidal ideation after deployment and combat exposure" 176 : 1215-1222, 2011

      63 Yu, X., "Posttraumatic growth and reduced suicidal ideation among adolescents at month 1 after the Sichuan Earthquake" 123 (123): 327-331, 2010

      64 Woodward, C., "Positive change process and post-traumatic growth in people who have experienced childhood abuse: Understanding vehicles of change" 76 : 267-283, 2003

      65 Linley, P. A., "Positive change following trauma and adversity; A review" 17 : 11-21, 2004

      66 Bonanno, G. A., "Loss, trauma, and human resilience" 59 : 20-28, 2004

      67 Urcuyo, K. R., "Finding benefit in breast cancer : Relations with personality, coping, and concurrent well-being" 20 (20): 175-192, 2005

      68 Tedeschi, R. G., "Evaluating resource gain : Understanding and misunderstanding posttraumatic growth" 56 : 396-406, 2007

      69 Harlow, L. L., "Depression, self-derogation, substance use, and suicide ideation : Lack of purpose in life as a mediational factor" 42 (42): 5-21, 1986

      70 APA, "DSM-5" 학지사 2013

      71 Stein, D. J., "Cross-national analysis of the associations between traumatic events and suicidal behavior: Finding from the WHO world mental health surveys" 5 : e10574-, 2010

      72 Nock, M. k., "Cross-National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Suicidal Ideation" 192 : 98-105, 2008

      73 Allen, J. G., "Coping with trauma: A guide to self-understanding" American Psychiatric Press 1995

      74 Affleck, G., "Construing benefits from adversity : Adaptational significance and dispositional underpinnings" 64 (64): 899-922, 1996

      75 Herman, J. L., "Complex PTSD : A syndrome in survivors of prolonged and repeated trauma" 5 (5): 377-391, 1992

      76 Spertus, I. L.,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neglect as predictors of psychological and physical symptoms in women presenting to a primary care practice" 27 : 1247-1258, 2003

      77 Dube, S. R., "Childhood abuse, household dysfunction, and the risk of attempted suicide throughout the life span : Finding from the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study" 286 (286): 3089-3096, 2001

      78 Park, C. L., "Assessment and Prediction of stress-related growth" 694 : 71-105, 1996

      79 Goodman, L. A., "Assessing traumatic event exposure : General issues and preliminary findings for the stressful life events screening questionnaire" 11 (11): 521-542, 1998

      80 Read, J., "Assessing suicidality in adults : Integrating childhood trauma as a major risk factor" 32 (32): 367-372, 2001

      81 청소년폭력예방재단, "2014년 전국학교폭력 실태조사 주요결과"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3 1.63 1.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7 1.86 2.075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