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의 무용 수업 비평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A Narrative Inquiry on Criticism of Dance Classes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in Elementary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558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pose educational implications provided by narrative perspective through teachers’ self-criticism of teaching in dance classes connected with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in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is a narrative study on teaching criticism and was composed of qualitative research to describe, analyze, interpret, and evaluate teaching by making as an analysis text teaching phenomenon. Findings of the study were crystall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eaching contents were composed of development levels and teaching objectives, mind and body flexible, and theme associated with playing elements. Second, teaching methods were observed that theme selection and actualization by step, questioning systems, inquiry and development of movements, storytelling of cooperative learning and movements and so forth were applied. Third, it was found that teaching experience and criticism of the dance class were contributing to the teacher’s growth narrativ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pose educational implications provided by narrative perspective through teachers’ self-criticism of teaching in dance classes connected with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in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is a narrati...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pose educational implications provided by narrative perspective through teachers’ self-criticism of teaching in dance classes connected with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in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is a narrative study on teaching criticism and was composed of qualitative research to describe, analyze, interpret, and evaluate teaching by making as an analysis text teaching phenomenon. Findings of the study were crystall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eaching contents were composed of development levels and teaching objectives, mind and body flexible, and theme associated with playing elements. Second, teaching methods were observed that theme selection and actualization by step, questioning systems, inquiry and development of movements, storytelling of cooperative learning and movements and so forth were applied. Third, it was found that teaching experience and criticism of the dance class were contributing to the teacher’s growth narrativ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교육과학기술부, "초중고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해설"

      2 정혜란, "초등학생 숲 체험 창작무용 프로그램 구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3 성소영, "초등학교 창의적 재량활동 예술교육 사례 연구 : 부산광역시 남부 관할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초등학교 무용 교수-학습자료"

      5 이치훈, "초등교사의 체육교육과정 구현 양상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6 최흥섭, "초등 예비교사의 체육수업에 대한 수업비평" 초등교육연구원 24 (24): 63-86, 2013

      7 신소라, "청소년 체험활동 무용과 특수목적 무용교육 제도 비교 연구"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8 이선빈, "창의력 향상을 위한 초등 즉흥무용 수업 경험"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9 강문숙,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내러티브 스토리텔링 수업설계 구안" 교육연구소 15 (15): 1-26, 2014

      10 이혁규, "수업 비평의 필요성과 방법에 대한 탐색적 논의" 한국교육인류학회 10 (10): 155-185, 2007

      1 교육과학기술부, "초중고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해설"

      2 정혜란, "초등학생 숲 체험 창작무용 프로그램 구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3 성소영, "초등학교 창의적 재량활동 예술교육 사례 연구 : 부산광역시 남부 관할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초등학교 무용 교수-학습자료"

      5 이치훈, "초등교사의 체육교육과정 구현 양상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6 최흥섭, "초등 예비교사의 체육수업에 대한 수업비평" 초등교육연구원 24 (24): 63-86, 2013

      7 신소라, "청소년 체험활동 무용과 특수목적 무용교육 제도 비교 연구"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8 이선빈, "창의력 향상을 위한 초등 즉흥무용 수업 경험"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9 강문숙,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내러티브 스토리텔링 수업설계 구안" 교육연구소 15 (15): 1-26, 2014

      10 이혁규, "수업 비평의 필요성과 방법에 대한 탐색적 논의" 한국교육인류학회 10 (10): 155-185, 2007

      11 김순희, "사회과 예비교사의 수업전문성 제고를 위한 수업비평" 교과교육연구소 15 (15): 711-735, 2011

      12 김진희, "내러티브를 활용한 수업비평: 교사 배움 공동체 사례"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8 (58): 333-355, 2010

      13 Bogdan, R., "교육의 질적 연구 방법론" 경문사 2007

      14 심준석, "교사의 자기 수업 비평 실천" 안동대학교 대학원 2014

      15 강현석, "교사의 실천적 지식으로서의 내러티브에 의한 수업비평의 지평과 가치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5 (25): 1-35, 2007

      16 추갑식, "교사와 학생의 내러티브를 통한 수업비평의 탐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17 진형란, "교사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해가는 교육실습생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6 (26): 81-99, 2014

      18 김옥희, "고등학교 창작 무용 수업연구에 따른 창의적 체험활동 제안" 149-168, 2010

      19 Hale, A., "Transformative education for culturally diverse learmers through marrative and ethnography" 24 (24): 1413-1425, 2008

      20 Denzin, N. K., "The Research Act: A Theoretical Introduction to Sociological Method" Facet 1978

      21 Wolcott, H. F., "Th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in Education" Academic Press 1992

      22 Glaser, B. G.,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Strategies for Qualitative Research" Transaction Publishers 1967

      23 Baskerville, D., "Tell your story, listen to mine: Storytelling in one New Zealand classroom" Griffith University 2008

      24 Bishop, R., "Te Kohitanga: Phase 3 Whanaungatanga: Establishing a Culturally Responsive Pedagogy of Relation in Mainstream Secondary School Classrooms" Ministry of Education 2007

      25 Alton-Lee, A., "Quality Teaching for Diverse Students in Schooling: Best Evidence in Schooling: Best Evidence Synthesis" Ministry of Education 2003

      26 Merriam, S, B,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to Design and Implementation" Jossey-Bass 2009

      27 Merriam, S. B.,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s in Education" Jossey-Bass 1998

      28 Johnson, M., "Personalised learming: new directions for schools?" 11 (11): 224-248, 2004

      29 Jo A. G. Frederiksen, "Pedagogical Practices in Dance Education Addressing Motor, Aesthetic, Social, Emotional and Cogmitive Development For Pre-Kindergarten through Post-Secondary Students" 2013

      30 Baskervile, D., "Navigating the unfamiliar in a quest towards culturally responsive pedagogy in the classroom" 25 : 461-467, 2009

      31 Clandinin, "Na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ive Research" Jossey-Bass Pulishers 2000

      32 "NDEO"

      33 Chepyator-Thomson. J.R., "Multicultural education: 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 2004

      34 Macfarlane, A., "Kia Hiwi ra! Listen to Culture-Māaori Student"s Plea to Educators" New Zealand Council for Educational Research 2004

      35 Langdridge, D., "Introduction to Research Methods and Data Analysis in Psyhology" Pearson Education 2004

      36 Bishop, R., "Culture Speaks: Cultural Relationships and Classroom Learning" Huia Publishers 2006

      37 Bishop, R., "Culture Counts: Changing Power Relationships in Education" Dunmore Press 1999

      38 Elizabaeth Melchior, "Culturally responsive dance pedagogy in the primary classroom" 12 (12): 119-135, 2011

      39 Chee Hoo Lum, "Considerations of dance transmission processes: adapting Bharata Natyam in a Singapore primary school" 15 (15): 107-119, 2014

      40 Bishop, R., "Changing Power relations in education: Kaupapa Māaori messages for mainstream institutions. In The Professional Practice of Teaching" Dunmore Press 2001

      41 Richards, H., "Adressing diversity in schools: Culturally responsive pedagogy" 2007

      42 한국교육개발원, "21세기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의 미래전략 연구 보고서"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10-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Society for Dance Studi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1 0.51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2 0.698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