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서울시 365열린 어린이집 보육 서비스에 대한 학부모와 교사의 만족도 및 요구 = Satisfaction and needs of parents and teachers at 365 open child care and education services in Seou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3295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서울시는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와 저출산으로 인해 5양육의 사회적 공적 책임 하에 수요자 중심의 다양한 맞춤보육서비스를 제공하고자, 2011년 9월부터 365일 24시간제로 운영하는 365열린 어...

      서울시는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와 저출산으로 인해 5양육의 사회적 공적 책임 하에 수요자 중심의 다양한 맞춤보육서비스를 제공하고자, 2011년 9월부터 365일 24시간제로 운영하는 365열린 어린이집을 시범운영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365열린 어린이집 이용현황 또는 학부모 만족도 및 요구도와 교사의 근무환경과 이에 대한 요구도 등을 알아봄으로써 365열린 어린이집 운영의 필요성과 개선방안 및 활성화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서울시 365열린 어린이집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학부모 40명과 365열린 어린이집의 근무경험이 있는 교사 9명에게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 결과 평일주간 이용률이 높았으며 365열린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학부모는 급식・교사 대 아동비율・타 시설에 비한 이용성의 편리
      등 10가지 항목에서 모두 만족하고 있었으나, 정서적 안정과 사회성 증진을 고려한 프로그램 진행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365열린 어린이집의 교사의 근무만족도를 보수・복지 등으로 나누어 조사를 한 결과중간 정도 만족도를 보였으며, 365열린 어린이집의 운영에 대한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학부모와 교사 모두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365열린 어린이집의 운영 개선 방안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365 open child care and education services by examining the present management status and seeking out the future improvement direction of 365 open child care and education services. The services have b...

      This study was inten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365 open child care and education services by examining the present management status and seeking out the future improvement direction of 365 open child care and education services. The services have been operating from September 2011 to provide various customer centered child care and education services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with supporting the working women at home and on job due to low fertility and high raising stress in these days. This study has done the surveys of 40 parents who have used 365 child care and education services and 9 teachers who have experiences working at the cen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ed. First, for the present status of 365 open child care and education services, the frequency of using was not regular and also the using rate of ordinary days was higher. Second, parents who have used 365 open child care and education services were being satisfied with all of those 10 items; feeding service, ratio of children to teachers, convenience compared with other facilities, distance to center, and specialty of teachers, etc. And they wanted the program of emotional stability and social improvement for their children. Third, teachers of 365 open child care and education services were mostly satisfied with welfare, salary, work duties, and administrative monitoring, but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salary was the lowest. Fourth, both parents and teachers showed the high necessity for 365 open child care and education services. Based on these, the discussions were suggest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결론 및 제언
      • Ⅰ.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결론 및 제언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천영희, "어린이집 이용 아동의 사회·정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6

      2 조숙경, "야간 및 24시간제 보육사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02

      3 장영인, "시간제보육의 필요성과 그 활성화 방안 모색" 한국영유아보육학회 53 (53): 79-105, 2008

      4 강당금, "시간연장형보육 활성화 방안" 보건복지부 한국 아동 edu-care 연구소 2002

      5 김동례, "시간연장형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한국 유아교육학회" 202-202, 2011

      6 김동례, "시간연장형 보육교사의 근무환경 실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요구도 :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 10 (10): 59-77, 2010

      7 서문희, "시간연장보육 이용 실태 및 수요조사" 육아정책연구소 2012

      8 서문희, "시간연장보육 이용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 9 (9): 259-276, 2013

      9 한지희, "시간연장보육 담당교사의 직무에 대한 담론분석"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0 고영주, "시간연장 보육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서울사회복지대학원대학교 2010

      1 천영희, "어린이집 이용 아동의 사회·정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6

      2 조숙경, "야간 및 24시간제 보육사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02

      3 장영인, "시간제보육의 필요성과 그 활성화 방안 모색" 한국영유아보육학회 53 (53): 79-105, 2008

      4 강당금, "시간연장형보육 활성화 방안" 보건복지부 한국 아동 edu-care 연구소 2002

      5 김동례, "시간연장형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한국 유아교육학회" 202-202, 2011

      6 김동례, "시간연장형 보육교사의 근무환경 실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요구도 :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 10 (10): 59-77, 2010

      7 서문희, "시간연장보육 이용 실태 및 수요조사" 육아정책연구소 2012

      8 서문희, "시간연장보육 이용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 9 (9): 259-276, 2013

      9 한지희, "시간연장보육 담당교사의 직무에 대한 담론분석"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0 고영주, "시간연장 보육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서울사회복지대학원대학교 2010

      11 안성화, "시간연장 보육의 질 개선에 관한 연구 : 시간연장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정책대학원 2008

      12 황윤경, "시간연장 보육시설의 운영 개선 방안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8

      13 한유진, "시간연장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역할수행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4 기은옥, "시간연장 보육교사의 근무현황에 따른 직무만족도 및 직무스트레스"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247-270, 2011

      15 조선주, "시간연장 보육교사 근무수당 지원 시범사업 효과분석 및 시간연장보육 활성화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0

      16 배성희, "시간 연장보육에서 만 2세 영아들이 겪는 어려움과 적응과정" 배재대학교 대학원 2009

      17 황혜신, "수요자 중심의 행정시스템 구축방안 연구 각론" 한국행정연구원 2010

      18 고선주, "수요에 기반한 서울시 맞춤식 보육 공급방안연구" 여성가족재단 2007

      19 고선주, "서울시 가족실태 및 가족 정책 수요조사"

      20 전광현, "24시간 보육시설 실태조사 및 정책방안 연구" 여성가족부 보육지원팀 2006

      21 서울특별시, "2013년도 보육사업안내"

      22 서문희, "2012 보육정책의 성과와 과제" 육아정책연구소 2012

      23 김창연, "2007 통계로 보는 서울여성" 서울특별시 여성가족재단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12-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Administration ->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KCI등재
      2013-05-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영문명 : The Korea Associan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dministration -> The Korea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6 1.66 1.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6 1.72 1.66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