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망점란, "한국어와 캄보디아어 어순 대조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2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한국어교육학사전" 하우 2014
3 최경화,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결합 습득 연구 : 일본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4
4 주은경,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에'의 용법별 습득 양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5 이선희,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항목별 세부사항 발달 양상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3 (23): 247-279, 2012
6 이은하, "한국어 학습자의 암시적·명시적 지식 측정을 위한 과제 타당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4
7 서경숙, "한국어 학습자의 숙어 습득 연구 : 의미 투명도와 통사적 유연성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7
8 고은정, "한국어 학습자의 관계절 습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3
9 이정란, "한국어 학습자언어에 나타난 '-어서'와 '-니까'의 변이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10 신현정, "한국어 학습자들의 '-겠-'과 '-(으)ㄹ 것이' 사용에 나타난 중간언어 변이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11 심은지, "한국어 학습자 작문에 나타난 시제상 습득 연구 : 담화구조가설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1
12 김영주, "한국어 숙달도와 문법성 판단 능력의 상관관계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3 (23): 123-159, 2012
13 김영주, "한국어 문법성 판단 테스트 개발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37) : 353-380, 2012
14 김영주, "한국어 문법 항목의 난이도 연구 ― 학습자 언어권별 GJT 정답률 분석을 바탕으로 ―" 한국어교육학회 (141) : 307-335, 2013
15 이지혜, "한국어 ‘시제와 상’ 습득 양상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16 기야메 브누아, "프랑스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법 교육 방안 : 학습자 인식 조사 및 문법성 판단 테스트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17 김영주, "프랑스인 학습자의 한국어 습득과 인지·심리적 요인 간의 상관성 연구" 한국어학회 56 : 29-62, 2012
18 Isariya Patee,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시제 형태소 습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4
19 김주영,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문법 습득 양상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4
20 이가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으)로'의 의미 기능 습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4
21 나혜숙,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조건 관계 연결어미 습득 양상 연구 : '-(으)면, -거든, -어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2
22 정진,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시제 상 양태 선어말어미 습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7
23 궈진,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부사격 조사 ‘-에’ 습득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24 왕일(Yi, Xang),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격조사 교육방안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25 김영주,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습득과 인지․심리적 제약" 한국어교육학회 (139) : 557-588, 2012
26 진희릉,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시간부사 유의어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27 박현아, "중국어 화자의 한국어 이중주격 구문 습득: 한국어 모어 화자의 수행 능력과 비교하여" 한국언어학회 35 (35): 635-658, 2010
28 카와노 유카,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양보 연결어미 교육 연구 : '-아/어도', '-더라도'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29 김영주, "일본인 학습자의 한국어 습득과 인지․심리적 요인 간의 상관성 연구" 국어국문학회 (162) : 5-43, 2012
30 김혜성, "일본인 학습자의 한국어 두 자리 서술어문 습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7
31 정시원, "일본인 학습자의 한국어 ‘에’와 ‘에서’의미 기능 습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5
32 히가시노 사토미, "일본인 학습자를 위한 시간관계 '-고', '-아/어서'에 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33 이을지, "의미 중심 형태 교수가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유창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34 박효은, "의미 중심 형태 교수가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유창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08
35 황종배,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조사중첩 습득 연구" 한국외국어교육학회 14 (14): 391-416, 2007
36 황종배,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선어말어미 -시-, -았/었-, -겠-의 중첩 습득 연구" 한국언어과학회 15 (15): 183-199, 2008
37 남주연, "언어적성과 한국어 문법성 판단 능력의 상관관계 연구" 한국언어학회 37 (37): 131-155, 2012
38 알레파이 멘나탈라, "아랍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격조사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39 박지연, "베트남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조사 사용 오류 연구 :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4
40 이선진, "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중간언어 발달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91) : 159-192, 2012
41 김영주, "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습득과 인지ㆍ심리적 제약" 이중언어학회 (49) : 59-86, 2012
42 한영주, "문법성 판단시험의 신뢰도와 타당도 연구" 한국언어과학회 19 (19): 261-282, 2012
43 Jin Guo, "문법성 판단 테스트를 통해 본 중국인 학습자의 부사격 조사 ‘에’의 습득 양상" 국어교육연구소 (37) : 1-28, 2016
44 Le Thu Trang, "문법성 판단 테스트를 통한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부사격 조사 오류 연구 : '에', '에서'의 대치오류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4
45 한영주, "문법성 판단 시험" 새한영어영문학회 46 (46): 207-225, 2004
46 벌러러, "몽골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조사 교육 연구 ‘이/가’, ‘은/는’, ‘을/를’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47 이채연, "동작류에 따른 한국어 시제와 동작상 습득 양상"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08
48 정소아, "과제 유형에 따른 학습자 언어의 변이 연구 : 대용어의 기능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49 전동근, "과제 유형에 따른 중간언어 변이 연구 : 중국어권 학습자의 조사 '을/를' 습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50 Vafaee, P, "Vslidating Grammaticality Judgment Tests: Evidence from Two NewPsycholinguisticMeasures" 39 : 59-95, 2017
51 Spada, N, "Validating an elicited imitation task as a measure of implicit knowledge: Comparisons with other validation studies" 65 : 723-751, 2015
52 Hulstijn, J, "Toward a unified account of the representation, processing and acquisition of second language knowledge" 18 : 193-223, 2002
53 DeKeyser, R. M, "The handbook of second language acquisition" Blackwell 313-348, 2003
54 Ellis, R, "The definition and measurement of L2 explicit knowledge" 54 : 227-275, 2004
55 Gutiérrez, X, "The construct validity of grammaticality judgement tests as measures of implicit and explicit knowledge" 35 : 423-449, 2013
56 Salehi, M, "The Impact of Format on Learners' Test Performance of Grammaticality Judgement Test" 3 (3): 1335-1345, 2013
57 Schütze, C. T, "The Empirical Base of Linguistics: Grammaticality Judgments and Linguistic Methodology" Language Science Press 2016
58 Lee, S, "Syntactic competence in heritage speakers and L2learners at advanced levels of oral proficiency : Advantages for heritage speakers?" the Seoul International Conference on Linguisticis 2010
59 이선영, "Syntactic Competence of Heritage Speakers at Advanced Levels of Oral Proficiency: Evidence from L2 Korean" 언어정보연구소 27 : 235-260, 2016
60 Gass, S, "Stimulated Recall Methodology in Second Language Research" L. Erlbaum Associates 2000
61 Mitchell, R, "Second Language Learning Tehories" Routledge 2013
62 Chaudron, C, "Research on metalinguistic judgements : A review of theory, methods and results" 33 : 343-377, 1983
63 Jegerski, J, "Research Methods in Second Language Psycholinguistics" Routledge 2014
64 Gass, S, "Research Methodology in Second-language Acquisiti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03-322, 1994
65 Davies, W, "Native Speaker vs. L2 Learner Grammaticality Judgements" 19 : 183-203, 1998
66 Wong, W, "Modality and attention to meaning and form in the input" 23 : 345-368, 2001
67 Birdsong, D, "Metalinguistic Performance and Interlinguistic Competence" Basil Blackwell 1989
68 Zhang, R, "Measuring university-level L2 learners’ implicit and explicit knowledge" 37 : 1-30, 2015
69 Bowles, M, "Measuring implicit and explicit linguistic knowledge : What can heritage language learners contribute?" 33 : 247-271, 2011
70 Ellis, R, "Measuring implicit and explicit knowledge of a second language. A psychometric study" 27 : 141-172, 2005
71 Kim, Jeong-eun, "Measures of Implicit Knowledge Revisited-Processing Modes, Time Pressure, and Modality" 39 : 431-457, 2017
72 이선영, "Linguistic Correlates of Proficiency in Korean as a Second Language." 언어교육원 45 (45): 319-348, 2009
73 Ellis, R, "Implicit and Explicit Knowledge in Second Language Learning, Testing and Teaching" Multilingual Matters 31-64, 2009
74 Montrul, S, "How Similar are adult second language learners and Spanish heritage speakers? Spanish clitics and word order" 31 (31): 167-207, 2010
75 Sorace, A, "Handbook of second Linguage Acquisition" Academic 375-409, 1996
76 Ellis, R, "Grammaticality judgements and second language acquisition" 13 : 161-186, 1991
77 Sándor, K, "Grammaticality Judgement Tests as Measures of Explicit Knowledge" Debreceni Egyetemi Kiadó 12 : 216-230, 2016
78 Han, Y, "Grammaticality Judgement Tests : How reliable and valid are they?" 11 : 177-204, 2000
79 Tan, B. H, "Grammaticality Judgement Test: Do ItemFormats Affect Test Performance?" Universiti Putra Malaysia Press 23 (23): 119-130, 2015
80 Bialystok, E, "Explicit and implicit judgement so fL2 grammaticality" 29 : 81-103, 1979
81 Kweon, Soo-Ok, "Experimental Design and Techniques in UG Approach to SLA" 11-57, 2017
82 Kelleman, E, "Crosslinguistic Influence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Pergamon 35-48, 1986
83 Chomsky, N, "Aspects of the Theory of Syntax" MIT 1965
84 Lund, R. J, "A comparison of second language listen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75 : 196-204,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