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자녀를 둔 부모의 존경에 대한 토착심리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가장 존경하는(존경하지 않는)사람, 존경하는(존경하지 않는)이유, 존경하는(존경하지 않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977347
인천 :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학위논문(석사) --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 교육학과 , 2010. 2
2010
한국어
370.15 판사항(21)
인천
Indigenous psychological analysis of conception of respect
vi, 53 p. ; 26cm
인하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박영신
참고문헌 : p.40-4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자녀를 둔 부모의 존경에 대한 토착심리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가장 존경하는(존경하지 않는)사람, 존경하는(존경하지 않는)이유, 존경하는(존경하지 않는)...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자녀를 둔 부모의 존경에 대한 토착심리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가장 존경하는(존경하지 않는)사람, 존경하는(존경하지 않는)이유, 존경하는(존경하지 않는)마음을 표현하는 방법, 존경하는(존경하지 않는)마음이 주는 영향과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최종 분석대상은 유치원 자녀를 둔 부모 총 372명(부 186명, 모 186명)이었다. 측정도구로는 박영신과 김의철(2007)이 제작한 존경에 대한 자유반응형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자녀를 둔 부모가 가장 존경하는 사람은 부모로써, 50% 이상의 높은 반응율을 보였다. 이 외에 종교지도자, 사회봉사자, 가족 등이 포함되었다.
둘째, 존경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로서, 아버지집단은 모범이 됨, 희생적임, 성실함 및 타인배려를 지적하였으나 어머니집단은 희생적임, 성실함, 모범이 됨, 타인배려를 지적하는 차이가 있었다.
셋째, 존경심의 표현방법으로서, 아버지집단은 표현안함, 본받으려 함, 순종함의 순서로 나타난 반면, 어머니집단은 표현안함, 대화함, 본받으려 함, 다정한 표현을 많이 하는 차이가 있었다.
넷째, 존경하는 마음이 주는 영향으로는 아버지집단의 경우 본받기 위한 노력, 교훈이 됨, 닮고 싶음, 편안함의 순서로 반응하였다. 그러나 어머니집단은 닮고 싶음, 본받기 위한 노력, 편안함, 행복함, 의지됨의 순서를 보였다.
다섯째, 가장 존경하지 않는 사람은 정치인이 50% 이상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없음, 가족, 공무원, 범죄자, 직장동료/상사의 순서를 보였다.
여섯째, 존경하지 않는 중요한 이유로는 이기적임이 30% 가까이 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불성실함, 언행불일치, 믿을 수 없음의 순서를 보였다.
일곱째, 존경하지 않는 마음의 표현방법으로서, 표현안함, 무관심이 각각 20% 이상을 차지하였고, 이 외에 욕을 함, 비판함이 포함되었다.
여덟째, 존경하지 않는 마음이 주는 영향으로서, 아버지집단은 영향력 없음, 화가 남, 불신감 생김, 자기반성의 순서를 보인 반면에, 어머니 집단은 영향력 없음, 불신감 생김, 화가 남의 순서를 나타내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