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불교무용의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성과를 검토하여 불교무용연구의 바람직한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불교무용에 대한 연구는 1968년 홍윤식의 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 제46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불교무용의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성과를 검토하여 불교무용연구의 바람직한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불교무용에 대한 연구는 1968년 홍윤식의 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 제46호...
이 논문은 불교무용의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성과를 검토하여 불교무용연구의 바람직한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불교무용에 대한 연구는 1968년 홍윤식의 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 제46호인식당작법을 시작으로 약 50여년 동안 지속되었다. 이 연구는 초기 민속학자ㆍ무용학자ㆍ국악학자들에 의한 현지조사로 광의적 시각에서 불교무용을 조사하였으나, 현재는 무용전공자, 불교학자 중심으로 협의적 시각에서 세부적으로 연구한다. 현재 불교무용의 연구업적은 201편으로, 보고서 3편, 박사학위논문 9편, 석사학위논문 72편, 학술지논문 41편, 단행본 41권 등이 있다. 이 중에서 대부분이 영산재(119편)에 대한 연구이며, 수륙재, 상주권공재, 예수재의 논문은 매우 소량이다. 이는 영산재가 1973년 국가무형문화재 제50호로 지정된 이후 세간에 널리 전승, 보급되었기 때문이다. 영산재 논문 119편중에서 작법무 56편, 나비춤 25편, 바라춤 23편, 식당작법 10편, 법고춤 5편으로 작법무에 대한 연구가 많은데, 이는 불교무용을 통합․융합적으로 보는 시각의 확장과 작법무를 무대공연화, 창작작품화, 교육프로그램개발 등 콘텐츠로 변모하려는 다양한 시도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불교무용 연구의 약 35%가 무보를 수록하였는데, 무보의 형식은 그림무보, 사진무보, 문자무보 등 다양한 형식의 무보가 사용되었다. 불교무용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미래의 바람직한 불교무용의 연구과제는 불교무용의 용어정리, 작법승 계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 불교무용에 적합한 무보개발, 작법무를 바탕으로 한 프로그램개발, 불교무용 콘텐츠와 산업과의 연계성 등의 다양한 연구가 요구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examine the outcome of previous studies of Buddhist dance and to suggest a desirable development direction of Buddhist dance research. The research of Buddihist dance has been conducted during 50years b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examine the outcome of previous studies of Buddhist dance and to suggest a desirable development direction of Buddhist dance research. The research of Buddihist dance has been conducted during 50years by Yoonsik Hong since 1968 with Shikdang-Jakbeop which is the 46th research report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The early studies were conducted in broad view with a field research by folklorists, dance scholars,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scholars, and present research has been conducted by dance majors and Buddhism scholars in detailed narrow view. There are 201 studies of Buddhist dance with 3 reports, 9 doctoral dissertations, 72 master's theses, 41 publications, and 41 books. Most of the research are topic of Yeongsanjae(119) and rest of those are topic of Suryukjae, Sangjukwonkongjae, and Yeasujae, because that Yeongsanjae was designed by 50th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in 1973 and transmitted and propagated in our society. Among the 119 Yeongsanjae studies, there are 56 Jakbeopmu, 25 Butterfly dance, 23 Barachum, 10 Shikdang-jakbeop, and 5 Beopguchum, and more number of Jakbeopmu studies. The reason is that the Buddhist dance has been integrated and extended and the Jakbeopmu has been developed as a stage performance, creation performance, and educational program. Also, 35 percent of Buddhist dance studies published with Mubo which is a dance recording method, and the forms of Mubo were various such as drawing, picture, and letter. Terminology arrangement of Buddhist dance, systematical research of Jakbeop monk genealogy, proper development of Mubo for Buddhist dance, program development of Jakbeopmu, and combination of Buddhist dance and industry are suggested for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 of Buddhist danc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복영, "靈山齋 법고춤에 관한 硏究 : 重要 無形文化財 제50호 靈山齋 법고춤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불교문화대학원 2012
2 최영란, "향화게작법과 운심게작법의 춤사위 비교 분석" 한국무용연구학회 32 (32): 163-188, 2014
3 이명구, "향화게작법 춤사위의 동작소 구조 분석" 한국공연문화학회 (27) : 107-138, 2013
4 민경환, "향화게작법 구성에 관한 연구 : 중요무형문화재 제50호 작법무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6
5 달전사수륙재보존회, "함안 달전사수륙재의 가치와 의의" 달전사수륙재보존회 2017
6 김온경, "한국춤총론" 두손컴 2016
7 정범태, "한국춤백년" 눈빛 2006
8 정병호, "한국춤" 열화당 1985
9 성경린, "한국전통무용" 일지사 1979
10 정병호, "한국의 전통춤" 집문당 1999
1 김복영, "靈山齋 법고춤에 관한 硏究 : 重要 無形文化財 제50호 靈山齋 법고춤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불교문화대학원 2012
2 최영란, "향화게작법과 운심게작법의 춤사위 비교 분석" 한국무용연구학회 32 (32): 163-188, 2014
3 이명구, "향화게작법 춤사위의 동작소 구조 분석" 한국공연문화학회 (27) : 107-138, 2013
4 민경환, "향화게작법 구성에 관한 연구 : 중요무형문화재 제50호 작법무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6
5 달전사수륙재보존회, "함안 달전사수륙재의 가치와 의의" 달전사수륙재보존회 2017
6 김온경, "한국춤총론" 두손컴 2016
7 정범태, "한국춤백년" 눈빛 2006
8 정병호, "한국춤" 열화당 1985
9 성경린, "한국전통무용" 일지사 1979
10 정병호, "한국의 전통춤" 집문당 1999
11 조흥윤, "한국의 전통예술" 한국문화보호재단 1997
12 한국공연문화학회, "한국의 수륙재와 공연문화" 글누림출판사 2015
13 김응기(법현), "한국의 불교음악" 운주사 2012
14 법현, "한국의 불교음악" 운주사 2012
15 김종형(능화), "한국의 불교무용" 푸른세상 2006
16 홍윤식, "한국불교의식에 있어 作法의 의미" 국립문화재연구소 (20) : 209-218, 1987
17 안준식, "한국불교의례에서법고의위상과역할" 동국대학교 2017
18 이혜자, "한국불교의 차례" 한국차학회 7 : 2001
19 김종형(능화), "한국불교무용의 사상적 의미와 문화예술적 가치연구" 동국대학교 2004
20 김온경, "한국민속무용연구" 형설출판사 1984
21 박경련, "한국무용의 생성에 대한 연구: 동해안 굿을 중심으로 한 巫俗과 불교의식무용에 관한 연구"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87
22 송수남, "한국무용사" 금광 2014
23 김매자, "한국무용사" 삼신각 1995
24 서연호, "한국공연예술의 원리와 역사" 민속원 2011
25 정말숙, "한국 전통춤의 정신세계(3)" 동아대학교스포츠과학연구소 25 : 2007
26 정말숙, "한국 전통춤의 정신세계 (2)" 동아대학교스포츠과학연구소 25 : 2007
27 윤소희, "한국 수륙재의 융합적 특성" 한국정토학회 22 : 205-242, 2014
28 최영란, "한국 불교 의식무용의 기원과 정신" 한국체육사학회 6 : 2000
29 요가람, "한국 「작법무」와 중국 「진강취모선우(金剛驅魔神舞)」 비교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
30 하묘, "한ㆍ중 불교의례무 연구" 경상대학교 2013
31 김미복, "한ㆍ일 바라춤의 전승과 파생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2016
32 윤소희, "티벳 참무를 통해 본 처용무와 영산재-샤허(夏河)의 라브랑스(拉卜楞寺)를 통하여-" 한국국악학회 46 : 193-214, 2009
33 박순호, "태인 다천사의 작법에 대한 중점적 고찰"
34 정병호, "춤사위"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81
35 정옥조, "춤과 문화" 대한미디어 2010
36 이경주, "청소년의 사회성 및 정서발달을 위한 영산재 바라춤 교육프로그램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
37 이현주, "천수바라춤의 움직임 특성을 통한 불교의 사상적 의미 고찰" 무용역사기록학회 11 : 117-138, 2006
38 도현주, "천수바라무에 관한 고찰 : 부산시 무형문화재 제9호 영산재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4
39 김종형(능화), "천수바라" 한국불교무용연구소 2002
40 장광수, "천도재의 근거와 절차에 대한 교학적 검토" 동국대학교 불교문화대학원 2011
41 강명화, "천도재에 대한 이론과 실제"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05
42 김종형(능화), "진언과 다라니가 불교무용에 끼친 영향" 2003
43 국립무형유산원, "진관사수륙재" 민속원 2017
44 진관사수륙재보존회, "진관사 수륙재의 민속적 의미" 민속원 2012
45 대한불교조계종 진관사, "진관사 국행수륙대재" 대한불교조계종 진관사, 진관사수륙재보존회 2011
46 방현, "중제 영산재 연구" 원광대학교 2016
47 김미숙, "종교제례 의식무 연구" 부산여자전문대학교 9 : 1987
48 김미숙, "종교제례 의식무 연구" 한국무용연구회 13 : 1995
49 김명숙, "종교의식의 의식무용화 작업에 관한 연구「육법공양(六法供養)」을 중심으로" 한국무용예술학회 56 (56): 23-37, 2015
50 정혜미, "조선시대 유교정치에 따른 불교무용 변화양상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51 김상은, "조선시대 감로탱화에 나타난 불교무용" 한국공연문화학회 0 (0): 111-132, 2006
52 김화미, "조선시대 감로탱화 중단에 나타난 작법무의 특징 연구" 한국무용연구회 27 : 2009
53 곽성영(승범), "조선시대 감로탱 도상에 나타난 작법무 형태 연구" 동국대학교 2013
54 송연정, "제의식에 나타난 도량게나비춤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2000
55 윤소희, "전통예술의 콘텐츠화와 문화산업화를 위한 사례 분석" 한국문화산업학회 8 : 2008
56 金明信, "전북 봉서사 영산작법 연구" 圓光大學校 大學院 1996
57 김현숙, "재의식 무용 소고" 중앙승가대학교 10 : 1993
58 하진숙, "작법무의 동작 구성과 미의식에 관한 연구- 불모산영산재를 중심으로 -" 대한무용학회 63 (63): 283-305, 2010
59 김응기(법현), "작법무 연구" 한국무용연구회 14 : 1996
60 고경희, "일응스님의 운심게작법에 내재된 미의식" 한국정토학회 (18) : 231-264, 2012
61 김재수, "일응스님 운심게 작법 연구"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2
62 박지연, "인천수륙재의 바라춤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63 김순영(혜주), "익산 석불사 범패에 대한 소고" 동국대학교 2012
64 송미숙, "의식작법무에 나타난 바라춤의 미적가치" 대한무용학회 47 (47): 159-174, 2006
65 양효순, "운심게작법 연구" 무용역사기록학회 23 : 45-63, 2011
66 이규원, "우리전통예인 백사람" 현암사 1995
67 양영진, "영제 바라무 동작과 범패 선율의 관련성" 국립국악원 (31) : 89-110, 2015
68 허순선, "영산재작법의 착복무에 관한 연구" 광주대학교 5 : 1988
69 허순선, "영산재작법의 착복무에 관한 연구" 광주대학교 6 : 1989
70 심상현, "영산재의 효율적 전승과 관객과의 원활한 소통에 관한 연구" 한국정토학회 23 : 251-289, 2015
71 김향금, "영산재의 작법무 구성 -3일 영산 진행구성 중심으로-" 한국공연문화학회 0 (0): 173-196, 2006
72 白才花, "영산재의 바라춤 연구" 同德女子大學校 大學院 1998
73 백재화, "영산재의 바라춤 고찰" 한국학교체육학회 13 : 2003
74 김영렬, "영산재의 문화콘텐츠 만들기" 운주사 2009
75 김영렬, "영산재의 무대화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3
76 김응기(법현), "영산재의 구성과 그 신앙적 의의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 3 : 1996
77 한국공연문화학회, "영산재의 공연문화적 성격" 박이정 2006
78 오정임, "영산재의 공연 프로그램화 연구 : 법현 스님의 작업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2
79 법현, "영산재연구" 운주사 1997
80 이란숙, "영산재에 나타난 불교의식무용의 정신과 형식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00
81 심상현, "영산재:중요무형문화재 50호" 국립문화재연구소 2003
82 박민정, "영산재 작법의 미의식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2001
83 이애경, "영산재 작법의 무용미학적 고찰" 국민대학교 1999
84 남인화, "영산재 작법무의 종류와 구성에 관한 검토" 한국불교선리연구원 (15) : 185-219, 2013
85 조승래(호암), "영산재 작법무 진행 연구" 동국대학교 2013
86 이병옥, "영산재 작법무 중 <나비춤>의 동작미 분석" 용인대학교 전통문화연구소 4 : 2005
87 김응기(법현), "영산재 작법무 범패의 연구" 원광대학교 2004
88 이애경, "영산재 작법무" 푸른세상 2008
89 이애경, "영산재 작법 춤사위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39 : 2000
90 심상현, "영산재 성립과 작법의례에 관한 연구" 위덕대학교 대학원 2011
91 이정순, "영산재 법고무 춤사위로 본 사상적 의미 분석 : 인천시 무형문화재 제10호 예능보유자 능화스님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1
92 염혜정, "영산재 바라춤의 예술적 가치 연구" 목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7
93 강선이, "영산재 바라춤의 미적 구조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2003
94 유현선, "영산재 바라춤에 관한 연구: 중요 무형문화재 제50호 영산재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3
95 김현주, "영산재 바라춤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01
96 손인애, "영산재 문화콘텐츠화의 전개 양상과 과제 - 프로그램 내용을 중심으로 -" 한국정토학회 27 : 247-280, 2017
97 안소연, "영산재 나비춤 춤사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98 양소예, "영산재 나비춤 기본동작의 특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99 홍윤식, "영산재" 대원사 2005
100 홍윤식, "영산재"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87
101 김현정, "영산작법 니르바나 공연에 관한연구 : 공연 기록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5
102 윤소희, "영남범패 전승에 관한 연구" 한국음악사학회 (41) : 227-263, 2008
103 김봉열(성광), "영남 천수바라 작법무에 관한 연구" 중앙승가대학교 2017
104 양효순, "영남 불모산 영산재와 전라북도 영산작법 비교연구 : 나비춤 중 운심게 작법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6
105 국립무형유산원, "아랫녘수륙재" 민속원 2017
106 명연, "식당작법의 의식절차에 대한 비교연구" 동국대학교 석림회 32 : 1998
107 김종형(능화), "식당작법에서 불교무용의 역할" 한국교수불자연합회 10 : 2004
108 신의식, "식당작법에 나타난 불교의식무용의 연구" 한국무용연구회 7 : 1989
109 정정희, "식당작법 무용 구성 연구 : 중요무형문화재 제50호 영산재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6
110 홍윤식, "식당작법" 문화재관리국 1968
111 김종형(능화), "스님이 춤을 왜 추나" 푸른세상 2006
112 이창식, "수륙재의 원형 전승과 문화콘텐츠 전략화" 한국공연문화학회 (30) : 105-140, 2015
113 홍태한, "수륙재의 구성과 연행-진관사 수륙재를 중심으로" 한국공연문화학회 (23) : 347-368, 2011
114 홍태한, "수륙재 문화콘텐츠화의 방향과 과제 검토" 실천민속학회 29 : 215-238, 2017
115 김경숙, "세계문화유산 <영산재>의무용창작모티브 활용에 대한 논의-2012 한국무용제전을 중심으로-" 우리춤연구소 8 (8): 108-133, 2012
116 이길주, "서울ㆍ경기지방과 호남지방의 영산작법중 나비춤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체육학회 36 : 1997
117 곽성영(승범), "생전예수재의 현장론적 이해와 의례의 축제성"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17
118 홍태한, "생전예수재, 산오구굿, 산씻김굿의 비교" 불교문예연구소 (6) : 161-194, 2016
119 생전예수보존회, "생전예수재" 민속원 2017
120 박찬현(진해), "상주권공의식구성에관한연구" 동국대학교 2013
121 윤광봉, "삼화사국행수륙대재에 나타난 예능적 성격" 강원도민속학회 26 : 2012
122 이재수, "삼화사 국행수륙대재의 문화콘텐츠 활용방안" 한국정토학회 22 : 243-273, 2014
123 김응기(법현), "사찰의례와 불교무용" 동국대학교 불교사회문화연구원 1 : 2003
124 이영숙, "사다라니(四陀羅尼)바라춤의 기본 춤사위 연구"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25 이연경, "사다라니 바라춤에 관한 연구 : 경제와 완제의 비교를 통하여"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9
126 최헌, "불모산영산재 : 간략해설" 불모산영산재보존회 2008
127 김태희, "불모산 영산재 작법무 연구" 신라대학교 대학원 2003
128 조용길, "불교천도재와 사찰학춤 작법" 한지 2007
129 김영규(해강), "불교전통작법무" 불교통신교육원
130 김성수, "불교작법연구" 한림원 2003
131 이현경, "불교의식이 내재된 한국 무용에 관한 탐색"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32 한정미, "불교의식의 작법무 연구"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0
133 김응기(법현), "불교의식음악 연구" 운주사 2012
134 편영순, "불교의식을 통한 나비춤사위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체육학회 1 : 1987
135 권재남, "불교의식무용이 승무에 미친 영향" 영남대학교 1994
136 이병옥, "불교의식무용의 나비춤에 함유된 동작미 분석" 용인대학교 11 : 1995
137 정승희, "불교의식무용을 통해선 본 한국무용의 미적 연구" 상명대학교 9 : 1981
138 성재형, "불교의식무용연구" 대한무용학회 12 : 1990
139 유옥재, "불교의식무용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17 : 1982
140 김화미, "불교의식무용과 영산재- 경전에 보이는 작법무와 영산재 작법무 분류 중심으로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31) : 387-412, 2017
141 안상화, "불교의식무용(바라춤)의 춤사위를 통한 작품창작 연구" 한국예술종합학교 2002
142 편영순, "불교의식무에 관한 연구" 대한무용학회 7 : 1985
143 윤미혜, "불교의식무 상주권공재 현대적 변화"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144 백현순, "불교의식무 나비춤에 관한 연구" 한국무용연구회 13 : 1995
145 주지현, "불교의식 법고무의 춤과 가락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04
146 김은주, "불교의식 무의 공연 작품화 방안"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6
147 임청화, "불교의식 무용의 동작에 나타나는 상해와 미의식 연구" 한국안전교육학회 3 : 1999
148 金在頊, "불교의례에 있어서 梵唄의 기능·구성 : 제의식을 중심으로" 東國大學校 佛敎大學院 1994
149 홍선희, "불교의례 나비춤 춤사위에 관한 미적 고찰"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50 하진숙, "불교와 서양사상의 접점과 그 변용"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3 : 2015
151 윤금희, "불교와 무속에 나타난 영혼 천도 의식과 춤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05
152 기연정, "불교사상에 따른 천수바라춤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153 김종형(능화), "불교문화유산 범패와 작법무" 한국무용연구회 21 : 2003
154 전주영, "불교무용이 창작무용에 끼친 영향"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3
155 이애경, "불교무용의 현황과 발전 방안" 한국여성체육학회 16 (16): 67-74, 2002
156 김종형(능화), "불교무용의 청소년복지 활용방안 연구"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 1999
157 김종형(능화), "불교무용의 청소년 복지활용방안 연구"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 7 : 2000
158 김향금, "불교무용의 무대화 과제" 동국대학교 불교사회문화연구원 4 : 2004
159 김종형, "불교무용의 기원" 우리춤연구소 2 (2): 67-97, 2006
160 한세인, "불교무용 콘텐츠화 연구" 동국대학교 2015
161 오미경, "불교무용 나비춤의 예능적 가치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06
162 박정현, "불교무용 나비춤 동작 연구 : 중요 무형문화재 제 50호 영산재 '삼남태' 작법무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불교문화대학원 2007
163 법현, "불교무용" 운주사 2002
164 정영훈, "불교 천도재의 사찰 학춤 작법의 의미성 연구" 동국대학교 불교문화대학원 2010
165 강용수, "불교 장례문화 칠칠재로 본 신업작법의 의미성 연구" 동국대학교 불교문화대학원 2010
166 장윤기, "불교 의식무와 신화와의 연계성 연구" 우리춤연구소 4 (4): 123-154, 2008
167 김영렬, "불교 영산재의 문화 콘텐츠화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8
168 김영렬, "불교 영산재 의식의 문화콘텐츠화에 관한 연구" 국제차문화학회 1 : 2011
169 김응기(법현), "범패의 분류 연구(1)" 28 : 1995
170 홍윤식, "범패와 작법무 : 인천광역시지정 무형문화재 10-가호" 민속원 2009
171 이일호, "범패승의 계보와 전승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불교문화대학원 2011
172 방 현, "백제 문화권 내포 지역 영산재 작법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2014
173 이창식, "백운사 수륙재의 전승양상과 공연콘텐츠" 한국음악문화학회 5 : 2014
174 朱然禧, "바라춤에 대한 考察"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76
175 박지연, "바라춤 연구-인천수륙재의 바라춤을 중심으로-" 우리춤연구소 8 (8): 10-33, 2012
176 고경희, "미학적 대상으로서의 춤, 작법" 한국체육철학회 15 (15): 231-245, 2007
177 文一枝, "나비춤 춤사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70
178 박금옥, "나비춤 자귀의불작법 동작 연구 : 중요 무형문화재 제 50호 영산재 식당작법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6
179 미등, "국행수륙대제 : 삼화사 수륙재를 중심으로" 조계종출판사 2010
180 대한불교천태종, "구인사 생전예수재 학술조사보고서" 대한불교천태종, 진단전통예술보존회 2015
181 김화미, "감로정과 현행 재의식에 나타난 작법무 연구"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13
182 심상현, "飯僧과 『食堂作法』의 관계에 관한 연구 ―靈山齋를 중심으로" 불교학연구회 31 : 329-362, 2012
183 이미아, "食堂 作法에 관한 무용학적 고찰"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88
184 金明珍, "韓國 舞踊에 나타난 佛敎 儀式舞踊의 影響에 관한 연구" 世宗大學校 大學院 1991
185 李蕉姸, "韓國 佛敎 靈山齋 舞服에 관한 연구" 淑明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0
186 朴美淑, "茶泉寺의 나비춤에 관한 硏究" 圓光大學校 大學院 1988
187 정은혜, "水雲敎바라춤에 關한 硏究" 대한무용학회 51 (51): 277-298, 2007
188 박민경, "作法舞의 美的 分析" 한국불교학회 (59) : 323-361, 2011
189 심상현, "作法舞의 淵源과 機能에 對한 考察 ― 京山制를 中心으로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12) : 235-266, 2012
190 심상현(만춘), "作法舞 擧行의 背景과 意義 -靈山齋를 中心으로-" 한국공연문화학회 0 (0): 133-172, 2006
191 이화영, "佛敎를 통해서 본 作法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0
192 한정미, "佛敎儀禮舞의 淵源과 甘露幀畵에 나타난 作法舞 고찰"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7) : 415-444, 2016
193 박은제, "佛敎儀式의 作法에 관한 硏究"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87
194 辛恩珠, "佛敎儀式 舞踊에 관한 연구 : 法鼓춤을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2
195 申殷珍, "佛敎 齋儀式과 巫俗 진오귀儀式 춤 比較 硏究 : 영산재, 씻김굿, 진오귀굿을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2
196 허선형, "‘영산재’의 교수 · 학습 내용 및 방안 연구"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7 (7): 129-153, 2013
197 황혜원, "Korean Buddhist Ritual Dance: Yin, Yang and Harmony" 한국역사기록학회 7 : 2004
198 Alan C. Heyman, "Chak-Bup: The Buddhist Ceremonial Dance of Korea" 한국무용연구회 1 : 1982
199 박미정, "<영산재> 작법의 대중화 및 무대화 방안" 한국무용연구회 27 : 2009
학교 부적응 청소년의 상담치유를 위한 생태시(Ecological Poetry) 활용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4-1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Buddhist Culture and Art Laboratory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 | 0 | 0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