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 ‘표현 범주’의 개념과 유형 = Concepts and Types of Korean 'Expression categ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259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n grammar education in the 'expression' category, the regular rules of grammatical elements and vocabulary elements by closely 2 verses more complex structures and forms,
      The components of the particle, ending, dependent nouns, auxiliary verb etc. such as grammatical categories is difficult to separate 'chunk type'
      Expression categories are represented in the feature dimension by enabling the statement of the basic grammatical skills are the foundation, is actively involved in the formation of sentences
      Therefore expression category is certainly grammatical category teaching & learning is essential for the discourse level of Korean skills development for communication
      However, the morphological analysis to describe the expression category is possible, however, one comes to the expression of students into categories to reduce the burden of learning to learn, as well as the sentence is to develop the ability to create is even more efficient.
      The grammar i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semantics and the functional differences of the expression category to teaching & learning will be very important.
      번역하기

      Korean grammar education in the 'expression' category, the regular rules of grammatical elements and vocabulary elements by closely 2 verses more complex structures and forms, The components of the particle, ending, dependent nouns, auxiliary verb et...

      Korean grammar education in the 'expression' category, the regular rules of grammatical elements and vocabulary elements by closely 2 verses more complex structures and forms,
      The components of the particle, ending, dependent nouns, auxiliary verb etc. such as grammatical categories is difficult to separate 'chunk type'
      Expression categories are represented in the feature dimension by enabling the statement of the basic grammatical skills are the foundation, is actively involved in the formation of sentences
      Therefore expression category is certainly grammatical category teaching & learning is essential for the discourse level of Korean skills development for communication
      However, the morphological analysis to describe the expression category is possible, however, one comes to the expression of students into categories to reduce the burden of learning to learn, as well as the sentence is to develop the ability to create is even more efficient.
      The grammar i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semantics and the functional differences of the expression category to teaching & learning will be very importa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표현’ 범주는 문법 요소와 어휘 요소가 일정한 규칙에 의한 긴밀하게 공기하여 2어절 이상의 복합 구조체를 이루고 있고, 이들의 구성 요소는 조사, 어미, 의존명사, 보조용언 등의 문법 범주로 구분하기 힘든 ‘덩어리 형태’이다. 표현 범주는 문법 기능을 담화 차원에서 실현함으로써 문법적 능력의 기본 바탕이 되며, 문장의 형성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따라서 표현 범주는 의사소통을 위한 담화 차원의 한국어 능력 개발에 반드시 교수ㆍ학습에 필수불가결한 문범 범주이다. 그러나 표현 범주는 형태적 분석으로 설명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학습자에게 있어서는 하나의 표현 범주로 학습하는 것이 학습 부담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문장 생성하는 능력을 개발하는 데 있어서도 효율적이다. 특히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에서는 표현 범주의 의미와 기능적 차이를 교수ㆍ학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번역하기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표현’ 범주는 문법 요소와 어휘 요소가 일정한 규칙에 의한 긴밀하게 공기하여 2어절 이상의 복합 구조체를 이루고 있고, 이들의 구성 요소는 조사, 어미, 의존명사...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표현’ 범주는 문법 요소와 어휘 요소가 일정한 규칙에 의한 긴밀하게 공기하여 2어절 이상의 복합 구조체를 이루고 있고, 이들의 구성 요소는 조사, 어미, 의존명사, 보조용언 등의 문법 범주로 구분하기 힘든 ‘덩어리 형태’이다. 표현 범주는 문법 기능을 담화 차원에서 실현함으로써 문법적 능력의 기본 바탕이 되며, 문장의 형성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따라서 표현 범주는 의사소통을 위한 담화 차원의 한국어 능력 개발에 반드시 교수ㆍ학습에 필수불가결한 문범 범주이다. 그러나 표현 범주는 형태적 분석으로 설명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학습자에게 있어서는 하나의 표현 범주로 학습하는 것이 학습 부담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문장 생성하는 능력을 개발하는 데 있어서도 효율적이다. 특히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에서는 표현 범주의 의미와 기능적 차이를 교수ㆍ학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현화, "한국어표현능력 향상을 위한 담화기능별 문형표현 단위에 대한 연구*: ‘거절’의 담화기능을 중심으로" 한국응용언어학회 23 (23): 17-36, 2007

      2 노지니, "한국어교육을 위한 추측의 통어적 문법소 연구" 서울대 대학원 2004

      3 최윤곤, "한국어교육을 위한 구문표현 연구" 동국대 대학원 2005

      4 김영진, "한국어 학습자의 덩이표현 사용 양상 연구" 이화여대 대학원 2007

      5 강현화, "한국어 표현문형 담화기능과의 상관성 분석 연구- 지시적 화행을 중심으로 -" 이중언어학회 (34) : 1-26, 2007

      6 강현화, "한국어 문법 교육론 in: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 한국방송대출판부 113-141, 2005

      7 이미혜, "한국어 문법 교육 연구: 추측 표현을 중심으로" 이화여대 대학원 2005

      8 강현화, "한국어 문법 교수학습 방법의 새로운 방향" 국어교육연구소 (18) : 31-60, 2006

      9 고경태, "한국어 동사 교육 연구" 고려대 대학원 2008

      10 구재희, "한국어 기본문형 연구" 이화여대 대학원 2007

      1 강현화, "한국어표현능력 향상을 위한 담화기능별 문형표현 단위에 대한 연구*: ‘거절’의 담화기능을 중심으로" 한국응용언어학회 23 (23): 17-36, 2007

      2 노지니, "한국어교육을 위한 추측의 통어적 문법소 연구" 서울대 대학원 2004

      3 최윤곤, "한국어교육을 위한 구문표현 연구" 동국대 대학원 2005

      4 김영진, "한국어 학습자의 덩이표현 사용 양상 연구" 이화여대 대학원 2007

      5 강현화, "한국어 표현문형 담화기능과의 상관성 분석 연구- 지시적 화행을 중심으로 -" 이중언어학회 (34) : 1-26, 2007

      6 강현화, "한국어 문법 교육론 in: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 한국방송대출판부 113-141, 2005

      7 이미혜, "한국어 문법 교육 연구: 추측 표현을 중심으로" 이화여대 대학원 2005

      8 강현화, "한국어 문법 교수학습 방법의 새로운 방향" 국어교육연구소 (18) : 31-60, 2006

      9 고경태, "한국어 동사 교육 연구" 고려대 대학원 2008

      10 구재희, "한국어 기본문형 연구" 이화여대 대학원 2007

      11 홍윤기, "한국어 교재의 표현항목 분석 in: 한국어 교재 연구" 하우 102-127, 2008

      12 강현화, "한국어 교재의 문형유형 분석"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8 (18): 1-21, 2007

      13 이효정, "한국어 교육을 위한 양태 표현 연구" 상명대 대학원 2004

      14 석주연,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형 교육의 방향에 대한 일고찰"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6 (16): 169-194, 2005

      15 김유미, "한국어 교육에서 자동 문형 검사기 설계를 위한 문형 추출" 경희대 대학원 2005

      16 박문자, "한국어 교육문법과 의존 구성 연구" 박이정 2007

      17 서희정, "표현 항목의 선정 기준과 정도성" 경희대 대학원 42 : 33-51, 2008

      18 국립국어원,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 2" 커뮤니케이션스 북스 2005

      19 김진해, "연어(連語) 연구" 한국문화사 2000

      20 강현화, "어휘접근적 문법교수를 위한 표현문형의 화행기능 분석 -‘-어야 하다/되다’를 사례로-" 한국어의미학회 26 : 21-46, 2008

      21 이종은, "어휘적 접근을 통한 한국어 의존용언 교육 연구" 상명대 대학원 2004

      22 홍윤기, "복합형태는 무엇인가" 이중언어학회 137-139, 2008

      23 장미라, "문장 구조 중심의 한국어 교육 연구" 경희대 대학원 2008

      24 민현식, "문법 교육의 표준화와 다양화의 과제"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13-63, 2005

      25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문법" 두산 2002

      26 홍윤기, "메타언어(Meta-language)를 활용한 한국어 문법 교육 방법론 연구" 이중언어학회 32 (32): 383-408, 2006

      27 임진숙, "대학 수학 목적의 한국어 교재 연구: 한국어 연결어미와 복합형을 중심으로" 영남대 대학원 2008

      28 민현식, "국내 기관에서의 한국어 교육과정"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7-42, 2003

      29 Thornbury, S., "How to Teach Grammar in: 문법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한국문화사 2004

      30 서희정, "-기' 결합형 표현항목 설정" 이중언어학회 36 (36): 209-233,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12-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Association of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13-12-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Modern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8 0.95 1.479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