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 교재의 상대높임법 분석 = Analysis on relative honorification in Korean textboo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087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is study tried to examine how the information on relative honorifics is provided in Korean textbooks, and to analyze whether the context of realization of relative honorifics shown in dialogues is appropriate. For this purpose, among the grammar items presented in Korean textbooks, explanations and arrangements of final endings of each speech level that provide information on relative honorifics, and meta-information on relative honorification were examined. In addition, the proportion of dialogues in textbooks and the context of dialogues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relative honorific system presented in Korean textbooks was different for each textbook, and the information about relative honorifics presented in the final endings was not sufficient for learners to use Korean properly. In the case of dialogue, it would be difficult for foreign learners to internalize the context of relative honorification because sufficient contextual information was not provided. Therefore, when presenting the final ending,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social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locutors, age difference, position difference, scene and genr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sufficient information through character information or explanations of dialogues.
      번역하기

      This study tried to examine how the information on relative honorifics is provided in Korean textbooks, and to analyze whether the context of realization of relative honorifics shown in dialogues is appropriate. For this purpose, among the grammar ite...

      This study tried to examine how the information on relative honorifics is provided in Korean textbooks, and to analyze whether the context of realization of relative honorifics shown in dialogues is appropriate. For this purpose, among the grammar items presented in Korean textbooks, explanations and arrangements of final endings of each speech level that provide information on relative honorifics, and meta-information on relative honorification were examined. In addition, the proportion of dialogues in textbooks and the context of dialogues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relative honorific system presented in Korean textbooks was different for each textbook, and the information about relative honorifics presented in the final endings was not sufficient for learners to use Korean properly. In the case of dialogue, it would be difficult for foreign learners to internalize the context of relative honorification because sufficient contextual information was not provided. Therefore, when presenting the final ending,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social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locutors, age difference, position difference, scene and genr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sufficient information through character information or explanations of dialogu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본고에서는 한국어 교재에 상대높임법에 대한 정보가 어떻게 제공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대화문에 나타난 상대높임법의 실현 맥락이 적절한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문법 항목 중에서 상대높임법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는 각 화계의 대표적인 종결어미의 설명과 배열, 그리고 상대높임법 체계에 대한 메타 정보를 살펴보았다. 또한 교재의 대화문에 나타난 화계의 비중, 화계별 발화 맥락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상대높임법 체계는 교재마다 상이하였으며, 종결어미 문법 항목에 제시된 상대높임법 정보는 학습자들이 해당 화계를 적절히 사용하기에 충분하지 않았다. 대화문의 경우에는 해당 화계가 사용되는 맥락이 충분히 제공되지 않아 외국인 학습자가 상대높임법 실현의 맥락을 내면화하는 데 어려움이 예상되었다. 따라서 종결어미를 제시할 때는 해당 종결어미가 속하는 화계의 높임의 정도, 격식성 외에도 대화자 사이의 친소 관계, 연령차, 지위 차, 장면과 장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대화문의 발화 맥락이 등장인물 정보나 대화문에 대한 설명을 통해 충분히 제공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본고에서는 한국어 교재에 상대높임법에 대한 정보가 어떻게 제공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대화문에 나타난 상대높임법의 실현 맥락이 적절한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어 교재에...

      본고에서는 한국어 교재에 상대높임법에 대한 정보가 어떻게 제공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대화문에 나타난 상대높임법의 실현 맥락이 적절한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문법 항목 중에서 상대높임법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는 각 화계의 대표적인 종결어미의 설명과 배열, 그리고 상대높임법 체계에 대한 메타 정보를 살펴보았다. 또한 교재의 대화문에 나타난 화계의 비중, 화계별 발화 맥락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상대높임법 체계는 교재마다 상이하였으며, 종결어미 문법 항목에 제시된 상대높임법 정보는 학습자들이 해당 화계를 적절히 사용하기에 충분하지 않았다. 대화문의 경우에는 해당 화계가 사용되는 맥락이 충분히 제공되지 않아 외국인 학습자가 상대높임법 실현의 맥락을 내면화하는 데 어려움이 예상되었다. 따라서 종결어미를 제시할 때는 해당 종결어미가 속하는 화계의 높임의 정도, 격식성 외에도 대화자 사이의 친소 관계, 연령차, 지위 차, 장면과 장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대화문의 발화 맥락이 등장인물 정보나 대화문에 대한 설명을 통해 충분히 제공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엄경옥, "현대 한국어 청자대우법의 사회언어학적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2 한길, "현대 우리말의 높임법 연구" 도서출판 역락 2002

      3 박지순, "현대 국어 상대높임법의 맥락 분석적 연구" 신구문화사 2019

      4 양영희, "허웅 선생의 높임법에 대한 새로운 해석" 한글학회 79 (79): 693-720, 2018

      5 윤경원, "한국어 혼잣말의 의사소통적 특성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6 구본관, "한국어 문법 총론Ⅰ" 집문당 2015

      7 이보라, "한국어 교재의 상대 경어법 제시 양상 분석 및 교재 개선 방안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8 박지순,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하오체, 하게체 교육 내용 연구" 이중언어학회 (59) : 54-81, 2015

      9 이은희, "한국어 교육을 위한 명령형 어미 연구 -사용 실태 분석을 통한 교육 내용 구성 관점에서-" 청람어문교육학회 (40) : 71-95, 2009

      10 고영근,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2018

      1 엄경옥, "현대 한국어 청자대우법의 사회언어학적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2 한길, "현대 우리말의 높임법 연구" 도서출판 역락 2002

      3 박지순, "현대 국어 상대높임법의 맥락 분석적 연구" 신구문화사 2019

      4 양영희, "허웅 선생의 높임법에 대한 새로운 해석" 한글학회 79 (79): 693-720, 2018

      5 윤경원, "한국어 혼잣말의 의사소통적 특성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6 구본관, "한국어 문법 총론Ⅰ" 집문당 2015

      7 이보라, "한국어 교재의 상대 경어법 제시 양상 분석 및 교재 개선 방안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8 박지순,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하오체, 하게체 교육 내용 연구" 이중언어학회 (59) : 54-81, 2015

      9 이은희, "한국어 교육을 위한 명령형 어미 연구 -사용 실태 분석을 통한 교육 내용 구성 관점에서-" 청람어문교육학회 (40) : 71-95, 2009

      10 고영근,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2018

      11 이정택, "우리말 높임법의 본질과 상대 높임법 체계" 한국문법교육학회 24 : 145-160, 2015

      12 이익섭, "사회언어학" 민음사 1994

      13 이정복, "문법 연구와 자료" 태학사 1998

      14 김정호, "국어 높임법에 대한 체계적인 사회언어학적 접근" 33 : 31-53, 2004

      15 허웅, "20세기 우리말의 형태론" 샘 문화사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92 0.9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2 1.76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