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엄경옥, "현대 한국어 청자대우법의 사회언어학적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2 한길, "현대 우리말의 높임법 연구" 도서출판 역락 2002
3 박지순, "현대 국어 상대높임법의 맥락 분석적 연구" 신구문화사 2019
4 양영희, "허웅 선생의 높임법에 대한 새로운 해석" 한글학회 79 (79): 693-720, 2018
5 윤경원, "한국어 혼잣말의 의사소통적 특성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6 구본관, "한국어 문법 총론Ⅰ" 집문당 2015
7 이보라, "한국어 교재의 상대 경어법 제시 양상 분석 및 교재 개선 방안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8 박지순,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하오체, 하게체 교육 내용 연구" 이중언어학회 (59) : 54-81, 2015
9 이은희, "한국어 교육을 위한 명령형 어미 연구 -사용 실태 분석을 통한 교육 내용 구성 관점에서-" 청람어문교육학회 (40) : 71-95, 2009
10 고영근,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2018
1 엄경옥, "현대 한국어 청자대우법의 사회언어학적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2 한길, "현대 우리말의 높임법 연구" 도서출판 역락 2002
3 박지순, "현대 국어 상대높임법의 맥락 분석적 연구" 신구문화사 2019
4 양영희, "허웅 선생의 높임법에 대한 새로운 해석" 한글학회 79 (79): 693-720, 2018
5 윤경원, "한국어 혼잣말의 의사소통적 특성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6 구본관, "한국어 문법 총론Ⅰ" 집문당 2015
7 이보라, "한국어 교재의 상대 경어법 제시 양상 분석 및 교재 개선 방안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8 박지순,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하오체, 하게체 교육 내용 연구" 이중언어학회 (59) : 54-81, 2015
9 이은희, "한국어 교육을 위한 명령형 어미 연구 -사용 실태 분석을 통한 교육 내용 구성 관점에서-" 청람어문교육학회 (40) : 71-95, 2009
10 고영근,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2018
11 이정택, "우리말 높임법의 본질과 상대 높임법 체계" 한국문법교육학회 24 : 145-160, 2015
12 이익섭, "사회언어학" 민음사 1994
13 이정복, "문법 연구와 자료" 태학사 1998
14 김정호, "국어 높임법에 대한 체계적인 사회언어학적 접근" 33 : 31-53, 2004
15 허웅, "20세기 우리말의 형태론" 샘 문화사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