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 학습 환경에 따른 어휘 학습 전략 사용 양상: 중국인 대학생 한국어 학습자의 KSL, KFL 환경을 중심으로 = A Study of Learning Strategies for Korean Vocabulary Depending on Learning Environments: Focusing on Chinese College Learners of Korean in KSL and KFL Environm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487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1) to identify aspects of learning strategies for Korean vocabulary in KSL and KFL environments and 2) to identify the interrelation between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and learning environments. To collect data, a survey has been conducted from 73 Chinese learners in Korea and 98 Chinese learners in China with a questionnaire for Korean language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The main findings include: 1) KFL learners use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more than KSL learners do. 2) Korean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of KSL and KFL learners are very similar. 3) Both KSL learners and KFL learners use more expression strategies than comprehension strategies, and the proportion of expression strategies used by KSL learners is higher than KFL learners. 4)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learning environments and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The results will be helpful for teachers who provide Korean classes and want to understand students and their environmen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1) to identify aspects of learning strategies for Korean vocabulary in KSL and KFL environments and 2) to identify the interrelation between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and learning environments. To collect da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1) to identify aspects of learning strategies for Korean vocabulary in KSL and KFL environments and 2) to identify the interrelation between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and learning environments. To collect data, a survey has been conducted from 73 Chinese learners in Korea and 98 Chinese learners in China with a questionnaire for Korean language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The main findings include: 1) KFL learners use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more than KSL learners do. 2) Korean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of KSL and KFL learners are very similar. 3) Both KSL learners and KFL learners use more expression strategies than comprehension strategies, and the proportion of expression strategies used by KSL learners is higher than KFL learners. 4)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learning environments and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The results will be helpful for teachers who provide Korean classes and want to understand students and their environmen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재욱,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학습 전략 연구" 우리어문학회 (17) : 25-53, 2001

      2 이유림,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학습 전략이 표현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연구" 경희대학교 2016

      3 쩐티투프엉, "한국어 학습 환경에 따른 듣기 불안 및 듣기 전략 사용 양상 연구 -베트남 대학 학습자와 국내 한국어교육기관 학습자의 차이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회 (73) : 429-452, 2018

      4 박소연, "한국어 학습 환경에 따른 ‘칭찬 반응 화행’ 전략 사용 양상 연구 -KSL, KFL 환경에서의 베트남인 대학생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5 (15): 131-163, 2019

      5 이정민, "한국어 어휘 학습 전략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6 한상미, "한국어 모어 화자와 비모어 화자 간의 의사소통 문제 연구 :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화용적 실패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7 chenxing, "한국어 듣기에서 중국인 학습자의 간접적 전략 사용 양상 연구 : KSL과 KFL 학습자 대비를 통해" 교육연구소 25 (25): 1007-1026, 2019

      8 썬쑤완나씨 사야몬, "학습 환경에 따른 한국어 접촉 양상이 구어 유창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태국인 중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국중원언어학회 (35) : 177-200, 2015

      9 양삼기, "학습 환경과 학습 기간에 따른 중국인 학습자의 파찰음 발음 연구-실험음성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한말연구학회 (35) : 101-131, 2014

      10 LI QINGHUA, "학습 환경과 숙달도에 따른 요청 화행 실현 양상 연구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 인문과학연구소 (78) : 1-30, 2016

      1 이재욱,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학습 전략 연구" 우리어문학회 (17) : 25-53, 2001

      2 이유림,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학습 전략이 표현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연구" 경희대학교 2016

      3 쩐티투프엉, "한국어 학습 환경에 따른 듣기 불안 및 듣기 전략 사용 양상 연구 -베트남 대학 학습자와 국내 한국어교육기관 학습자의 차이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회 (73) : 429-452, 2018

      4 박소연, "한국어 학습 환경에 따른 ‘칭찬 반응 화행’ 전략 사용 양상 연구 -KSL, KFL 환경에서의 베트남인 대학생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5 (15): 131-163, 2019

      5 이정민, "한국어 어휘 학습 전략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6 한상미, "한국어 모어 화자와 비모어 화자 간의 의사소통 문제 연구 :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화용적 실패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7 chenxing, "한국어 듣기에서 중국인 학습자의 간접적 전략 사용 양상 연구 : KSL과 KFL 학습자 대비를 통해" 교육연구소 25 (25): 1007-1026, 2019

      8 썬쑤완나씨 사야몬, "학습 환경에 따른 한국어 접촉 양상이 구어 유창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태국인 중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국중원언어학회 (35) : 177-200, 2015

      9 양삼기, "학습 환경과 학습 기간에 따른 중국인 학습자의 파찰음 발음 연구-실험음성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한말연구학회 (35) : 101-131, 2014

      10 LI QINGHUA, "학습 환경과 숙달도에 따른 요청 화행 실현 양상 연구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 인문과학연구소 (78) : 1-30, 2016

      11 강보선, "표현 어휘 신장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12 "정보공개포털 사이트"

      13 김은혜, "연상을 활용한 한국어 어휘 의미 교육 연구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2

      14 박기표, "언어 학습전략의 연구에 관한 고찰" 글로벌영어교육학회 3 (3): 199-221, 1998

      15 이유림, "어휘 학습 전략 교육이 L2 한국어 작문의 어휘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의미학회 53 : 1-24, 2016

      16 이유림, "대학생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전략 사용 양상"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4 (24): 277-305, 2017

      17 박종미, "‘이해 어휘’의 ‘표현 어휘’ 전환을 위한 ‘유의어 바꿔 쓰기’ 교육 방법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45) : 1-25, 2014

      18 Schmitt, N., "Vocabulary: Description, Acquisition and Pedag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27, 1997

      19 Cohen, A. D., "Language Strategy Use Inventory" Center for Advanced Research on Language Acquisition, University of Minnesota 2002

      20 Oxford, R. I.,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 What Every Teacher should Know" Heinle and Heinle 1990

      21 이유림, "L2 대학생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 영역별 학습 전략 사용 양상" 한국어의미학회 65 : 1-26, 2019

      22 Wongsittikan, Nattapra, "An Interlanguage Pragmatic Study of Refusals by Thai Learners of Korean" 언어정보연구소 (25) : 93-126, 2017

      23 김성희, "(학문 목적 과정) 서강 한국어 쓰기3" 하우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 0.5 1.103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