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성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self-leadership and self-control learning ability of adult college students on satisfaction of school lif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458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undergraduates’ self-directed learning on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 ability. For this purpose, 341 undergraduates were targe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school life satisfaction, a sub-factor of self-directed learning, all of gender, grade, and age affected. In addition, sub-factors such as study confidence, study passion, study responsibility seemed to affect positively significantly in order.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n interpersonal relation skills of self-directed study,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 in gender, grade, and ag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 abilities are closely related to self-directed learning. This is significant in that to revitalize institutions such as educational service, study support for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s development in education field at the university, etc. are required.
      번역하기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undergraduates’ self-directed learning on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 ability. For this purpose, 341 undergraduates were targe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undergraduates’ self-directed learning on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 ability. For this purpose, 341 undergraduates were targe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school life satisfaction, a sub-factor of self-directed learning, all of gender, grade, and age affected. In addition, sub-factors such as study confidence, study passion, study responsibility seemed to affect positively significantly in order.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n interpersonal relation skills of self-directed study,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 in gender, grade, and ag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 abilities are closely related to self-directed learning. This is significant in that to revitalize institutions such as educational service, study support for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s development in education field at the university, etc. are requir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성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에 재학 중인 45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셀프리더십, 학교생활만족도, 자기조절학습능력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셀프리더십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하위요인인 행동중심적 전략, 자연적보상 전략, 건설적사고 전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하위요인인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하위요인인 메타인지 전략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학교생활만족도는 셀프리더십 및 자기조절 학습능력과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성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에 재학 중인 45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

      본 연구는 성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에 재학 중인 45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셀프리더십, 학교생활만족도, 자기조절학습능력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셀프리더십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하위요인인 행동중심적 전략, 자연적보상 전략, 건설적사고 전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하위요인인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하위요인인 메타인지 전략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학교생활만족도는 셀프리더십 및 자기조절 학습능력과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노영현, "초등학생이 지각한 담임교사의 수업지도성과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 이남희, "중학생의 자기결정성, 자기 효능감 및 자기조절학습능력의 관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3 송희숙, "동아리 활동이 고등학생의 학교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4 이종찬,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고용가능성의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3

      5 정여주, "대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701-708, 2017

      6 Mi-ja Shim, "an understanding of self-directed learning" Open Publishing House 2001

      7 Zimmerman. B, J.,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An Overview" 25 (25): 3-17, 1990

      8 Min-Hee Shin, "Self-regulated Learning Theory:Meaning Components and Design Principles" 14 (14): 143-162, 1998

      9 Manz, C. C., "Self-leadership: The heart of empowerment" 1992

      10 Yong-Chil Yang, "Self-Regulatory skills :Definition, Relation with Academic Achievement and Development" 15 (15): 19-32, 1995

      1 노영현, "초등학생이 지각한 담임교사의 수업지도성과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 이남희, "중학생의 자기결정성, 자기 효능감 및 자기조절학습능력의 관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3 송희숙, "동아리 활동이 고등학생의 학교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4 이종찬,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고용가능성의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3

      5 정여주, "대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701-708, 2017

      6 Mi-ja Shim, "an understanding of self-directed learning" Open Publishing House 2001

      7 Zimmerman. B, J.,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An Overview" 25 (25): 3-17, 1990

      8 Min-Hee Shin, "Self-regulated Learning Theory:Meaning Components and Design Principles" 14 (14): 143-162, 1998

      9 Manz, C. C., "Self-leadership: The heart of empowerment" 1992

      10 Yong-Chil Yang, "Self-Regulatory skills :Definition, Relation with Academic Achievement and Development" 15 (15): 19-32, 1995

      11 Pintrich, P. R., "Predictiv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 53 : 801-813, 1993

      12 Lee, J. W., "An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of University Students' Self-Leadership, Social Support, Career Motiva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and Career Maturity" The Graduate School of Soongsil University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