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생용 인생과제 수행방식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improving the life tasks performance of College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104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the lifetasks performance of college students based on Adler’s Individual Psychology and test its effectiveness.
      Methods: For the study, five steps of research were carried out. In step 1, the overall five goalsand detailed 16 goals of the program were se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240 college students’questionnaires. In step 2, the 20 groupings found in the sessions were composed through the validityevaluation of six experts. In step 3, the pilot study was conducted with six college students. In step4, the program was finally developed through the evaluations of the six experts. In step 5, the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evaluated. The subjects of the study, and sample, were 12 collegestudents from K university of Korea. The sample was divided into two groups, with six studentsfor the treatment group and six students for the control group. The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the life tasks performance of college students for the treatment group was intended to be implementedfor a total of 15.5 hours, divided into seven sessions, with one session per week. To evaluate theeffectiveness of the treatment, a Life Tasks Scale, Social Interest Scale and the Life Satisfaction Scaleand the College Life Adaption Scale were used for pre and post analysis. The post score was analyzedby ANCOVA, with the pretest score as the covariate variabl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 irst, the level of life task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improved in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improving thelife task performance for college students. Second, the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counseling program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life tasks for college students developed inthis study showed significantly improved levels of adaptation to college life, social interest, andhappiness than those who did not participate.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a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developed to helpfor improving life tasks performance of college students.
      번역하기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the lifetasks performance of college students based on Adler’s Individual Psychology and test its effectiveness. Methods: For the study, five steps of research w...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the lifetasks performance of college students based on Adler’s Individual Psychology and test its effectiveness.
      Methods: For the study, five steps of research were carried out. In step 1, the overall five goalsand detailed 16 goals of the program were se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240 college students’questionnaires. In step 2, the 20 groupings found in the sessions were composed through the validityevaluation of six experts. In step 3, the pilot study was conducted with six college students. In step4, the program was finally developed through the evaluations of the six experts. In step 5, the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evaluated. The subjects of the study, and sample, were 12 collegestudents from K university of Korea. The sample was divided into two groups, with six studentsfor the treatment group and six students for the control group. The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the life tasks performance of college students for the treatment group was intended to be implementedfor a total of 15.5 hours, divided into seven sessions, with one session per week. To evaluate theeffectiveness of the treatment, a Life Tasks Scale, Social Interest Scale and the Life Satisfaction Scaleand the College Life Adaption Scale were used for pre and post analysis. The post score was analyzedby ANCOVA, with the pretest score as the covariate variabl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 irst, the level of life task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improved in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improving thelife task performance for college students. Second, the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counseling program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life tasks for college students developed inthis study showed significantly improved levels of adaptation to college life, social interest, andhappiness than those who did not participate.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a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developed to helpfor improving life tasks performance of college stud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이 자신의 인생과제에 대한 수행방식을 검토하고 재정향할 수 있도록돕기 위해 Adler 개인심리학에서 제시한 인생과제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인생과제 수행방식을 향상하는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1단계에서는 프로그램의 5개 전체 목표와 16개의 세부목표가 대학생 240명의 설문 결과를 토대로수립되었고, 2단계에서는 20개의 회기별 활동내용이 6명 전문가의 타당성 평가를 거쳐 구성되었다. 3단계에서는 6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예비연구를 실시하였고, 4단계에서는 6명 전문가 평정을 통해 프로그램을최종 개발하였다. 5단계에서는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연구대상은 K대학 대학생 12명이며, 각각6명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에는 본 연구자가 개발한 프로그램을 주당 1회기씩7회기, 총 15시간 30분 동안 실시하였다. 실험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사전과 사후에 대학생의 인생과제수행방식을 알 수 있는 인생과제 척도,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수준을 알 수 있는 대학생활 적응 척도,대학생의 사회적 관심을 알 수 있는 사회적 관심 척도, 대학생의 행복을 알 수 있는 행복 척도를 실시하였다.
      이 척도들의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하고, 공변량분석(ANCOVA)으로 사후점수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들은 참여하지않은 대학생들보다 인생과제 수행방식 수준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에참여한 대학생들은 참여하지 않은 대학생들보다 대학생활 적응 수준, 사회적 관심 수준, 행복 수준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인생과제 수행방식을 효과적으로 향상할 수 있도록 돕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이개발되었다는 데에서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이 자신의 인생과제에 대한 수행방식을 검토하고 재정향할 수 있도록돕기 위해 Adler 개인심리학에서 제시한 인생과제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인생과제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이 자신의 인생과제에 대한 수행방식을 검토하고 재정향할 수 있도록돕기 위해 Adler 개인심리학에서 제시한 인생과제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인생과제 수행방식을 향상하는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1단계에서는 프로그램의 5개 전체 목표와 16개의 세부목표가 대학생 240명의 설문 결과를 토대로수립되었고, 2단계에서는 20개의 회기별 활동내용이 6명 전문가의 타당성 평가를 거쳐 구성되었다. 3단계에서는 6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예비연구를 실시하였고, 4단계에서는 6명 전문가 평정을 통해 프로그램을최종 개발하였다. 5단계에서는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연구대상은 K대학 대학생 12명이며, 각각6명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에는 본 연구자가 개발한 프로그램을 주당 1회기씩7회기, 총 15시간 30분 동안 실시하였다. 실험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사전과 사후에 대학생의 인생과제수행방식을 알 수 있는 인생과제 척도,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수준을 알 수 있는 대학생활 적응 척도,대학생의 사회적 관심을 알 수 있는 사회적 관심 척도, 대학생의 행복을 알 수 있는 행복 척도를 실시하였다.
      이 척도들의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하고, 공변량분석(ANCOVA)으로 사후점수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들은 참여하지않은 대학생들보다 인생과제 수행방식 수준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에참여한 대학생들은 참여하지 않은 대학생들보다 대학생활 적응 수준, 사회적 관심 수준, 행복 수준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인생과제 수행방식을 효과적으로 향상할 수 있도록 돕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이개발되었다는 데에서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종연 ; 김복미 ; 장은주, "학사경고자 대학생을 위한 자기탐색(Exploring Myself) 프로그램 개발" 한국상담학회 14 (14): 359-384, 2013

      2 김정희, "코로나-19, 대학(원)생 심리⋅정서 지원 방안과 과제" 한국대학교육협의회 (11) : 2021

      3 김영아, "청소년용 사회적 관심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충북대학교 2018

      4 안선영, "청년기에서 성인기로의 이행과정 연구 2: 총괄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5 장미혜, "청년기에서 성인기로의 이행과정 연구 2: 성인기 이행의 성별차이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6 안선영, "청년기에서 성인기로의 이행과정 연구 1: 총괄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0

      7 강이영, "자살위기의 이해와 대처" 생명문화연구소 18 : 307-323, 2010

      8 권석만, "인간관계의 심리학" 학지사 2008

      9 신지연, "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전략,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4

      10 김창대, "상담 및 심리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학지사 2011

      1 이종연 ; 김복미 ; 장은주, "학사경고자 대학생을 위한 자기탐색(Exploring Myself) 프로그램 개발" 한국상담학회 14 (14): 359-384, 2013

      2 김정희, "코로나-19, 대학(원)생 심리⋅정서 지원 방안과 과제" 한국대학교육협의회 (11) : 2021

      3 김영아, "청소년용 사회적 관심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충북대학교 2018

      4 안선영, "청년기에서 성인기로의 이행과정 연구 2: 총괄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5 장미혜, "청년기에서 성인기로의 이행과정 연구 2: 성인기 이행의 성별차이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6 안선영, "청년기에서 성인기로의 이행과정 연구 1: 총괄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0

      7 강이영, "자살위기의 이해와 대처" 생명문화연구소 18 : 307-323, 2010

      8 권석만, "인간관계의 심리학" 학지사 2008

      9 신지연, "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전략,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4

      10 김창대, "상담 및 심리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학지사 2011

      11 김대환, "삶의 의미 자각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다차원적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2014

      12 김필진, "사회적 관심과 정신건강" 9 : 145-176, 2005

      13 정민, "사회적 관심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상담학회 14 (14): 2571-2583, 2013

      14 유기웅, "사범대생들의 진로변화 과정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원 28 (28): 1-22, 2012

      15 정지선, "마음챙김에 기반한 자기격려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목포대학교 2017

      16 이수연, "대학생의 행복 척도 개발 및 구인타당도 검증"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7 (7): 107-122, 2010

      17 최윤정,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과의 관계에 작용하는 보호요인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3 (23): 77-104, 2012

      18 최성복 ; 이종연, "대학생용 인생과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상담학회 22 (22): 377-410, 2021

      19 조삼복, "대학생용 영성 프로그램 개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20 윤성혜, "대학생용 세계시민의식척도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2017

      21 최성복 ; 이종연, "국내 아들러 개인심리학 연구 동향: 학술지 및 학위논문 분석(1976∼2018)" 교육연구원 35 (35): 137-166, 2019

      22 조은진, "격려 프로그램 소그룹 활동이 대학생의 자기격려 및 주관적 안녕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23 전겸구, "개정판 대학생용 생활 스트레스 척도 개발 연구" 5 (5): 316-335, 2000

      24 Yang, J., "The psychology of courage: An adlerian handbook for healthy social living" Routledge 2009

      25 Milliren, A., "The movement from felt minus to perceived plus: Understanding Adler’s concept of inferiority" Routledge 2006

      26 Mosak, H. H., "The life tasks Ⅲ, the fifth life task" 5 : 16-22, 1967

      27 Adler, A, "Social interest: A challenge to mankind" Capricorn Books 1933

      28 Slaton, B. J., "Personality profiles of inmates" 56 (56): 88-109, 2000

      29 Smith, S., "Lifestyle profiles and interventions for aggressive adolescents" 57 (57): 224-245, 2001

      30 Morton-Page, D., "Early loss, depression, and lifestyle themes" 53 : 58-66, 1997

      31 Krippendorff, K, "Content analysis: 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Sage 2004

      32 Erikson, E. H., "Childhood and society" Norton 1950

      33 김종임, "Adler의 개인심리학에 근거한 대학생의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사회적관심, 자기격려,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2017

      34 Sweeney, T. J., "Adlerian counseling: A practitioner’s approach" Taylor & Francis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6-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3 1.544 0.5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