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종연 ; 김복미 ; 장은주, "학사경고자 대학생을 위한 자기탐색(Exploring Myself) 프로그램 개발" 한국상담학회 14 (14): 359-384, 2013
2 김정희, "코로나-19, 대학(원)생 심리⋅정서 지원 방안과 과제" 한국대학교육협의회 (11) : 2021
3 김영아, "청소년용 사회적 관심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충북대학교 2018
4 안선영, "청년기에서 성인기로의 이행과정 연구 2: 총괄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5 장미혜, "청년기에서 성인기로의 이행과정 연구 2: 성인기 이행의 성별차이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6 안선영, "청년기에서 성인기로의 이행과정 연구 1: 총괄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0
7 강이영, "자살위기의 이해와 대처" 생명문화연구소 18 : 307-323, 2010
8 권석만, "인간관계의 심리학" 학지사 2008
9 신지연, "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전략,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4
10 김창대, "상담 및 심리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학지사 2011
1 이종연 ; 김복미 ; 장은주, "학사경고자 대학생을 위한 자기탐색(Exploring Myself) 프로그램 개발" 한국상담학회 14 (14): 359-384, 2013
2 김정희, "코로나-19, 대학(원)생 심리⋅정서 지원 방안과 과제" 한국대학교육협의회 (11) : 2021
3 김영아, "청소년용 사회적 관심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충북대학교 2018
4 안선영, "청년기에서 성인기로의 이행과정 연구 2: 총괄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5 장미혜, "청년기에서 성인기로의 이행과정 연구 2: 성인기 이행의 성별차이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6 안선영, "청년기에서 성인기로의 이행과정 연구 1: 총괄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0
7 강이영, "자살위기의 이해와 대처" 생명문화연구소 18 : 307-323, 2010
8 권석만, "인간관계의 심리학" 학지사 2008
9 신지연, "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전략,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4
10 김창대, "상담 및 심리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학지사 2011
11 김대환, "삶의 의미 자각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다차원적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2014
12 김필진, "사회적 관심과 정신건강" 9 : 145-176, 2005
13 정민, "사회적 관심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상담학회 14 (14): 2571-2583, 2013
14 유기웅, "사범대생들의 진로변화 과정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원 28 (28): 1-22, 2012
15 정지선, "마음챙김에 기반한 자기격려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목포대학교 2017
16 이수연, "대학생의 행복 척도 개발 및 구인타당도 검증"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7 (7): 107-122, 2010
17 최윤정,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과의 관계에 작용하는 보호요인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3 (23): 77-104, 2012
18 최성복 ; 이종연, "대학생용 인생과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상담학회 22 (22): 377-410, 2021
19 조삼복, "대학생용 영성 프로그램 개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20 윤성혜, "대학생용 세계시민의식척도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2017
21 최성복 ; 이종연, "국내 아들러 개인심리학 연구 동향: 학술지 및 학위논문 분석(1976∼2018)" 교육연구원 35 (35): 137-166, 2019
22 조은진, "격려 프로그램 소그룹 활동이 대학생의 자기격려 및 주관적 안녕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23 전겸구, "개정판 대학생용 생활 스트레스 척도 개발 연구" 5 (5): 316-335, 2000
24 Yang, J., "The psychology of courage: An adlerian handbook for healthy social living" Routledge 2009
25 Milliren, A., "The movement from felt minus to perceived plus: Understanding Adler’s concept of inferiority" Routledge 2006
26 Mosak, H. H., "The life tasks Ⅲ, the fifth life task" 5 : 16-22, 1967
27 Adler, A, "Social interest: A challenge to mankind" Capricorn Books 1933
28 Slaton, B. J., "Personality profiles of inmates" 56 (56): 88-109, 2000
29 Smith, S., "Lifestyle profiles and interventions for aggressive adolescents" 57 (57): 224-245, 2001
30 Morton-Page, D., "Early loss, depression, and lifestyle themes" 53 : 58-66, 1997
31 Krippendorff, K, "Content analysis: 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Sage 2004
32 Erikson, E. H., "Childhood and society" Norton 1950
33 김종임, "Adler의 개인심리학에 근거한 대학생의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사회적관심, 자기격려,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2017
34 Sweeney, T. J., "Adlerian counseling: A practitioner’s approach" Taylor & Francis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