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교육대학원 전문화 방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rofessionalization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0275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교육학전문박사 학위과정 개설을 위한 현행 교육대학원의 전문화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현행 교육대학원의 현황과 문제점을 통해 교육학전문박사 학위과정의 성격...

      본 연구는 교육학전문박사 학위과정 개설을 위한 현행 교육대학원의 전문화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현행 교육대학원의 현황과 문제점을 통해 교육학전문박사 학위과정의 성격을 규명하고, 교육대학원의 전문화 요건과 발전방향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교육학전문박사 학위과정 도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했다.
      위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학전문박사 학위과정이 등장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둘째, 교육대학원생들은 교육학전문박사 학위과정에 대해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는가?
      셋째, 교육학전문박사 학위과정의 개설을 위한 교육대학원의 전문화 요건은 무엇인가?
      넷째, 교육학전문박사 학위과정을 개설할 교육전문대학원의 장기발전방향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서울지역 7개 대학 교육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조사도구는 조경원 외(2000)의 「교육전문박사(Ed.D) 학위과정 모델개발 방안 연구」의 질문을 토대로 연구자가 개발했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문항별 빈도(frequency)와 백분율(%)을 산출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학전문박사 학위과정은 현직교원과 교육관련직 종사자들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 제안되었고, 현재 다섯 가지의 개발모형이 제시되었다.
      둘째, 교육학전문박사 학위과정에 대한 교육대학원생들의 인지정도는 높지 않았다. 교육학전문박사 학위과정의 필요성에는 대부분의 교육대학원생들이 동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학전문박사 학위과정이 개설될 교육대학원이 기존의 교육대학원과 차별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전문화'와 '전임교수 확보'가 우선해야 한다고 나타났다. 행·재정적 지원이 가장 필요한 영역은 전임교수 확보 부문이었고, 현장연구프로젝트 지원확대 와 신규교육과정 개발지원 등이 행·재정적 지원이 요구되는 영역으로 나타났다. 희망하는 교육프로그램은 '변화하는 세계와 교육을 이해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다양한 교육연구방법론', '교수학습방법 개발 프로그램'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범계학부와 일반대학원, 교육전문대학원간의 관계정립은 각 대학의 실정에 따라 다양성과 차별성을 갖출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교육대학원의 장기적 발전을 위해서는 사범계학부와의 긴밀한 연계를 바탕으로, 현행 교육대학원의 교육학석사과정과 일반대학원의 교육학전공 석·박사과정을 통합한 교육전문대학원 체제구축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단기적으로는 현행 교육대학원의 교육학석사과정을 교육전문대학원으로 전환하고 그 토대 위에 교육학전문박사(Ed.D) 학위과정을 설치한다. 장기적으로는 일반대학원의 교육학전공 석·박사과정을 교육전문대학원으로 통합함으로써 단일의 교육전문대학원 체제를 구축하도록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stablishment of the Doctor of Education(Ed.D) degree is an impending issue. The Ed.D is a professional degree intended for practitioners who desire advanced academic preparation at the doctoral level and who are pursuing professional careers in t...

      The establishment of the Doctor of Education(Ed.D) degree is an impending issue. The Ed.D is a professional degree intended for practitioners who desire advanced academic preparation at the doctoral level and who are pursuing professional careers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useful directions in professionalizing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GSE) for opening the Ed.D. The specific ques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First, what are the backgrounds that the Ed.D should be appeared?
      Second, how many graduate students perceive the functions of the Ed.D?
      Third, what are the essential conditions of the GSE for launching the Ed.D?
      Finally, what are the long-term plans of the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of Education(PGSE) for opening the Ed.D?
      The major results obtained from the analysis of documents and surve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it was suggested that school teachers and professionals concerned in education upgrade their specialities by the Ed.D. Recently, five models have been developed for establishing the Ed.D.
      Second, half of the graduate students have never heard of the Ed.D. However, most of them agreed on the necessity of the Ed.D.
      Third, it was very import ant to employ full-time professors and provide professional curricula for setting up the successful Ed.D.
      Finally, opening the Ed.D, the individual GSE needed to take into account its own situations seriously.
      In conclusion, it is important for the GSE to advertise the Ed.D, to employ full-time professors, and to design professional curricula. The executives of the GSE need to take time to think about its differences from the other GSEs, and make an effort to reinforce it s strengths. At the same time, the government should build the supporting systems for setting up the successful Ed.D.
      The GSE plays an important role not only in upgrading the teachers abilities, but also in retraining the professionals concerned in education. For enhancing its competency and running successful programs, the GSE needs to open the Ed.D in the form of integrated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of Education(PGS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표차례 = iii
      • 그림차례 = v
      • 국문요약 = vi
      • I. 서론
      • 목차
      • 표차례 = iii
      • 그림차례 = v
      • 국문요약 = vi
      • I.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목적 = 4
      • 3. 연구문제 = 5
      • 4. 용어정의 = 6
      • II. 이론적 배경
      • 1. 우리나라 교육대학원 현황
      • 1) 교육대학원의 이념과 기능 = 8
      • 2) 교육대학원의 양적 성장과 사회적 공헌 = 10
      • 3) 교육대학원의 문제점과 대안 = 12
      • 2. 외국의 교육학전문박사 학위과정 운용사례
      • 1) 미국의 교육학전문박사 학위과정 현황 = 21
      • 2) 일본의 교육학전문박사 학위과정 현황 = 28
      • 3. 우리나라 교육학전문박사 학위과정 개발모형
      • 1) 등장배경 = 31
      • 2) 주요쟁점 = 36
      • 3) 적용가능모형 = 42
      • III. 연구방법
      • 1. 연구대상 = 52
      • 2. 조사도구 = 53
      • 3. 자료분석방법 = 54
      • 4. 연구의 제한점 = 55
      • IV. 연구결과 및 논의
      • 1. 연구결과 = 56
      • 1) 교육학전문박사 학위과정에 대한 인식 = 56
      • 2) 교육대학원 전문화 요건 = 62
      • 3) 교육전문대학원 발전방향 = 85
      • 2. 종합적 논의 = 89
      • V. 요약, 결론 및 제언
      • 1. 요약 = 95
      • 2. 결론 = 97
      • 3. 제언 = 99
      • 참고문헌 = 102
      • 부록 = 111
      • ABSTRACT = 1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