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스포츠소비자의 디지털리터러시 연구를 규명하여 스포츠소비자행동분석을 통해 스포츠참여확대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진행하였다. 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31721
2021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69-74(6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스포츠소비자의 디지털리터러시 연구를 규명하여 스포츠소비자행동분석을 통해 스포츠참여확대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진행하였다. 이...
이 연구는 스포츠소비자의 디지털리터러시 연구를 규명하여 스포츠소비자행동분석을 통해 스포츠참여확대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양주지역에서 SNS를 통해 동호회관련 소식을 공유하고 소통하고 있는 스포츠동호회원(축구, 야구, 배드민턴, 등산) 50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2020년 10월~ 2021년 1월 네 달에 걸쳐 SNS를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연구에 사용할 수 없다고 판단된 86부를 제외한 414부(82.8%)를 SPSS 21.0을 사용하여 최종분석에 사용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소비자의 디지털리터러시는 연령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소비자의 디지털리터러시 중 이용과 활용은 스포츠참여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민성은 스포츠참여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용은 스포츠참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종합하면 스포츠소비자의 연령 간 디지털리터러시의 격차가 크게 벌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문화 및 사회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세대 간의 역량에도 차이가 있어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는 사회의 디지털화는 노년층으로 갈수록 이를 따라가기 어려운 상황에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스포츠에서의 디지털화는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코로나바이러스-19로 인해 단체운동을 지양하고 개인운동을 선호하는 방향으로 전환되면서 더욱 개인화는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연령이 높아질수록 더욱 격차가 벌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스포츠 디지털리터러시 함양교육을 다양하게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정보격차를 줄여주는 것이 스포츠활동참여의 확대를 이끌 수 있을 것이며, 이는 우리 사회가 지향하는 공동의 목표인 건강한 삶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identifying digital literacy research of sports consumers and providing basic data to develop ways to expand sports participation through analysis of sports consumer behavior. To this end, 500 sports club memb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identifying digital literacy research of sports consumers and providing basic data to develop ways to expand sports participation through analysis of sports consumer behavior. To this end, 500 sports club members (soccer, baseball, badminton, and mountain climbing) who share and communicate club-related news through SNS in Yangju, Gyeonggi Province were selected for research and conducted a survey using SNS for four months from October 2020 to January 2021. The results obtained by using part 414 (82.8%) of the retrieved questionnaires for final analysis using SPSS 21.0, excluding part 86 that were deemed unavailable for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digital rush of sports consumers has been shown to vary in age. Second, the use and utilization of digital rush by sports consumers were found to have a static effect on sports participation, citizenship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sports participation, and acceptance did not affect sports participation.
참고문헌 (Reference)
1 노은희, "초・중학교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인식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2 (22): 31-60, 2019
2 송원숙, "청소년의 신문뉴스 활용교육(NIE) 효과 : 뉴스 이용, 뉴스 리터러시, 정치사회적 참여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20 (20): 49-76, 2020
3 나영조, "청도군, 전 공무원 대상 SNS 실습교육 실시"
4 김이수, "지역주민의 디지털 참여가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디지털 리터러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24 (24): 253-281, 2020
5 권성호, "중·장년층 직장인의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연구: 디지털 리터러시 향상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소 8 (8): 120-140, 2014
6 이세훈, "여행예약애플리케이션의 기술준비, 서비스품질, 기술수용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9
7 이재원, "스포츠용품소비자의 정보탐색 및 구매채널이 고객가치와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3
8 석강훈, "스포츠관광객의 편익추구와 라이프스타일을 통한 지각된 가치가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8
9 이승훈, "스포츠 소비자의 스포츠 참여도에 따른 매체이용과 광고태도 연구" 세종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4
10 강정묵, "스마트시대의 디지털 리터러시 측정을 위한 진단도구의 개발과 적용"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7 (17): 143-173, 2014
1 노은희, "초・중학교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인식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2 (22): 31-60, 2019
2 송원숙, "청소년의 신문뉴스 활용교육(NIE) 효과 : 뉴스 이용, 뉴스 리터러시, 정치사회적 참여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20 (20): 49-76, 2020
3 나영조, "청도군, 전 공무원 대상 SNS 실습교육 실시"
4 김이수, "지역주민의 디지털 참여가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디지털 리터러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24 (24): 253-281, 2020
5 권성호, "중·장년층 직장인의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연구: 디지털 리터러시 향상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소 8 (8): 120-140, 2014
6 이세훈, "여행예약애플리케이션의 기술준비, 서비스품질, 기술수용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9
7 이재원, "스포츠용품소비자의 정보탐색 및 구매채널이 고객가치와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3
8 석강훈, "스포츠관광객의 편익추구와 라이프스타일을 통한 지각된 가치가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8
9 이승훈, "스포츠 소비자의 스포츠 참여도에 따른 매체이용과 광고태도 연구" 세종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4
10 강정묵, "스마트시대의 디지털 리터러시 측정을 위한 진단도구의 개발과 적용"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7 (17): 143-173, 2014
11 권성호, "소셜 미디어 시대의 디지털 리터러시 재개념화" 1 (1): 65-82, 2011
12 권정훈, "소비자 행동분석을 통한 상업 스포츠센터 마케팅 전략" 경희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0
13 김경희, "모바일 환경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구성 요소와 세대 간 미디어 리터러시 격차" 한국방송학회 33 (33): 5-36, 2019
14 이옥란, "레저스포츠 참가자의 라이프스타일과 운동용품 구매결정"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8
15 정은화,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스포츠 소비자의 세분화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2007
16 장윤금, "디지털리터러시 교육 공간으로서의 대학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한국문헌정보학회 52 (52): 425-446, 2018
17 황용석, "디지털 시민성의 위계적 조건이 온·오프라인 시민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디지털 시민능력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5 (25): 493-520, 2014
18 안정임,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격차의 세부요인 분석- 세대와 경제수준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69-78, 2014
19 김시정,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개인정보 역설 검증 : 개인정보 침해 염려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2 (22): 1-36, 2019
20 김혜정,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경험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937-958, 2016
21 김학실,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사회활동"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30 (30): 153-180, 2020
22 이예슬, "건강관리 초관심...스포츠용품 97%, 건강식품 63%↑"
23 Bawden, D., "Origins and concepts of digital literacy. Digital literacies: Concepts" 30 : 17-32, 2008
24 Hobbs, R., "Digital and Media Literacy: A Plan of Action. A White Paper on the Digital and Media Literacy Recommendations of the Knight Commission on the Information Needs of Communities in a Democracy" Aspen Institute 2003
25 김만기, "CJ ENM 광고주 맞춤형 디지털 브랜디드 콘텐츠 인기"
26 통계청, "2019년 11월 온라인 쇼핑 동향"
27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8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 결과 발표. 보도자료"
체육계열 대졸자의 직업가치, 일-전공일치가 직업만족에 미치는 영향
간호·간병 통합서비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경험: 질적 메타 합성 연구
정신장애인 공공후견제도 개선을 위한 탐색적 고찰 : 발달장애인과 비교를 중심으로
직무환경과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의 관계: 장애인체육지도자를 대상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2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웰니스학회 -> 한국웰니스학회지외국어명 : Korean society for Wellness -> Journal of Wellness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4 | 0.84 | 0.8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4 | 0.77 | 0.793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