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사례연구이다. 연구대상은 A시에 거주하는 9세, 초등학교 남학생으로 미술 치료는 2019...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394985
2021
Korean
650.5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25(25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사례연구이다. 연구대상은 A시에 거주하는 9세, 초등학교 남학생으로 미술 치료는 2019...
본 연구는 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사례연구이다. 연구대상은 A시에 거주하는 9세, 초등학교 남학생으로 미술 치료는 2019년 9월 10일부터 2019년 11월 12일까지 주 2회, 50분씩 총 20회기를 진행하였 다. 연구도구는 자아존중감과 자기표현 척도를 사용하였고 그림검사는 K-HTP검사, KFD 검사를 사전과 사후로 실시하여 질적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대상자의 자아존중감과 자기 표현의 변화과정을 회기와 단계로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 치료가 학교부적응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에 긍정적 변화를 주었으며, 사후 K-HTP검사 에서 웃는 모습, 상호작용, 정서적 안정감이 나타났다. 둘째, 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초등 학생의 자기표현에 긍정적 변화를 주었으며, 사후 KFD검사에서 친밀성, 독립성, 자기주 도성이 나타났다. 셋째, 회기와 단계별 내용 분석에서도 자신을 가치 있고 소중하게 생각 하게 되었으며, 자신의 가치와 판단에 대한 긍정적 자아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해 볼 때, 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표현 향상에 긍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가정생활과 또래관계 적응에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is a case study to understand the effect of art therapy on school maladjus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steem and self-expression. The subject was a 9-year-old male student living in A city and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0t...
This is a case study to understand the effect of art therapy on school maladjus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steem and self-expression. The subject was a 9-year-old male student living in A city and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0th, 2019 to November 12th, 2019 with sessions taking place twice a week for 50 minutes for a total of 20 sessions. The self-esteem scale and self-expression scale were used as a measurement and K-HTP tests and KFD tests were implemented as a drawing test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for qualitative analyses. In addition, there were sessional and phased qualitative analyses of the changes on subject’s self-esteem and self-expression.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school maladjus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steem and displayed interactions, emotional stability, smiling faces in K-HTP tests. Secondly,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school maladjus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xpression and displayed intimacy, independence, self motivation in KFD tests. Thirdly, in terms of the phased and sessional contents analyses, he also thought himself as worthless and made better value judgement. To sum up those, art therapy has a positive influence on school maladjus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steem and self-expression and it is also effective in their peer relations and family lif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규민, "혼자 하는 공부가 통한다" 웅진윙스 2011
2 표한순, "협동작업 중심의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초등학생의 자기표현, 또래관계,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23 (23): 531-553, 2016
3 유미, "현장적응을 위한 미술치료의 이해" 이담북스 2010
4 손경옥, "한국화 매체를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 14 (14): 65-88, 2014
5 박재신, "학습부진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적응과 학습활동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한국미술치료학회 20 (20): 129-157, 2013
6 백경미, "학급단위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분노조절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21 (21): 111-126, 2014
7 한미희,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9 (9): 293-314, 2013
8 김종운, "학교적응향상을 위한 해결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중학생의 정서조절능력과 사회적응력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879-902, 2016
9 김은지, "학교부적응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콜라주미술치료 사례연구"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2 (12): 49-74, 2016
10 신종은, "학교부적응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불안에 대한 인지행동 미술치료 사례연구" 특수교육연구소 34 (34): 35-62, 2018
1 이규민, "혼자 하는 공부가 통한다" 웅진윙스 2011
2 표한순, "협동작업 중심의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초등학생의 자기표현, 또래관계,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23 (23): 531-553, 2016
3 유미, "현장적응을 위한 미술치료의 이해" 이담북스 2010
4 손경옥, "한국화 매체를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 14 (14): 65-88, 2014
5 박재신, "학습부진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적응과 학습활동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한국미술치료학회 20 (20): 129-157, 2013
6 백경미, "학급단위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분노조절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21 (21): 111-126, 2014
7 한미희,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9 (9): 293-314, 2013
8 김종운, "학교적응향상을 위한 해결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중학생의 정서조절능력과 사회적응력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879-902, 2016
9 김은지, "학교부적응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콜라주미술치료 사례연구"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2 (12): 49-74, 2016
10 신종은, "학교부적응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불안에 대한 인지행동 미술치료 사례연구" 특수교육연구소 34 (34): 35-62, 2018
11 김은옥, "학교부적응 중학생을 위한 학교적응력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6 (16): 55-73, 2008
12 한준상, "학교 스트레스" 연세대학교출판부 1995
13 최외선, "초등고생의 동적 가족화에 나타난 행위 비교 연구" 3 (3): 71-81, 1996
14 이혜선,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을 겪는 초등학생의 사회성기술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27 (27): 559-581, 2020
15 김은주,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1 (11): 179-204, 2015
16 박지선,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자기표현력 및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10 (10): 127-147, 2010
17 임희원,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자기표현능력 및 문제행동에미치는 영향" 14 (14): 161-184, 2014
18 오가영,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친사회성 행동에 미치는 효과 -미국하와이 초등학교 아동을 대상으로-" 한국미술치료학회 19 (19): 267-289, 2012
19 한유진, "집단미술치료가 시설청소년의 자아정체감 및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권리학회 13 (13): 131-157, 2009
20 이진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청각장애인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19 (19): 601-618, 2012
21 최선남,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인터넷 과다사용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부모-자녀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16 (16): 189-210, 2009
22 김미희, "집단게임놀이치료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고등학생의 정서지능과 학교생활적응력 변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0 (10): 111-130, 2014
23 변창진, "주장훈련 프로그램" 13 (13): 81-85, 1980
24 임호찬, "재활심리개론" 서울:서현사 2008
25 전병재, "자아개념 측정가능성에 관한 연구" 11 : 107-130, 1974
26 윤옥한, "자신있게 만나라" 새로운사람들 2003
27 문은주, "자기표현 향상을 위한 통합적 예술치료 적용연구 : 저소득층 아동소집단 중심으로" 6 : 55-69, 2007
28 이소현, "자기표현 기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고립아동의 자기표현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6 (6): 17-34, 2017
29 임선희, "인지행동통합예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 극동대학교 글로벌대학원 2011
30 김선아, "음악치료를 적용한 학교 부적응 예방 프로그램 효과 : 여중생을 대상으로" 13 (13): 411-419, 2004
31 정현희, "위축아동의 자기표현과 사회적 유능감을 위한 미술치료" 13 (13): 21-37, 2013
32 심우일, "우울감 높은 성인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우울 및 스트레스에 대한미술치료 사례연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9
33 최한나, "영상매체를 이용한 음악치료가 정서부적응 초등학생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8 (28): 195-213, 2012
34 김은영, "에니어그램 중심 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단일사례연구" 11 (11): 71-102, 2014
35 전도근, "엄마표 자기주도 학습법" 북포스 2010
36 송아람,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과 양육태도의 관계가 유아의 심리적 상태에 미치는 영향 : 동적 가족화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06
37 정재원, "양육스트레스와 학습된 무기력감을 경험하는 기혼여성의 대상관계 미술치료 사례연구" 사)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9 (9): 101-130, 2019
38 김기홍, "아동의 성 고정관념 및 자기애와 자아존중감에 관한 3년 종단연구 : 잠재성장모형의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39 안이환, "사회성측정 이론과 실제" 서현사 2007
40 한국미술치료학회, "미술치료의 이론과 실제" 동화문화사 2000
41 한미경, "미술치료가 위축성향을 보이는 유아의 자기표현과 자아존중감에미치는 영향" 4 (4): 151-173, 2015
42 김경애,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생활 시설 거주 정신지체아의 가족개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달장애학회 13 (13): 31-48, 2009
43 공마리아, "미술심리치료" 학지사 2008
44 강경선, "무드조절 전략을 기반으로 한 음악치료가 학교 부적응 청소년의 학교 적응과 부정적 무드조절에 미치는 영향"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0 (10): 97-119, 2014
45 송영혜, "모래상자를 이용한 자기분석 과정에서 상담자와 내담자의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 놀이치료사 훈련생을 대상으로"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11 (11): 129-140, 2007
46 김선현, "마음을 읽는 미술치료" 넥서스 Books 2006
47 고연진, "동적가족화의 평가기준 개발" 한국미술치료학회 17 (17): 649-665, 2010
48 서석진, "독서치료가 품행장애 청소년의 부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8 (28): 193-229, 2012
49 김현주, "뇌졸중 노인의 자기표현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한국미술치료학회 15 (15): 741-760, 2008
50 오은정, "긍정심리 집단상담 프로그램과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의효과 :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회복탄력성, 학교적응유연성을 중심으로" 창원대학교 대학원 2016
51 임지향, "긍정심리 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사례연구" 3 (3): 63-85, 2018
52 김은승, "그림책을 활용한 독서치료프로그램이 고등학교 부적응 학생의 학교적응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 28 (28): 157-183, 2017
53 신민섭, "그림을 통한 아동의 진단과 이해 : HTP와 KFD를 중심으로" 학지사 2007
54 백경미, "교류분석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3
55 신성숙, "관계외상 경험 우울 청소년의 자발적 그림그리기 중심 미술심리치료 단일사례연구" 사)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10 (10): 31-55, 2020
56 김송은, "공부에 제대로 미치게 만드는 책" 웅진윙스 2007
57 양옥경, "가족과 사회복지"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5
58 정지혜,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Self-Esteem and the Stress Coping Styles of Married Immigrant Women" 한국미술치료학회 20 (20): 1159-1177, 2013
59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60 Rakos, R. F., "Self-directed assertiveness training" Bio Monitoring Applications 1980
61 윤흥식, "REBT 집단상담을 도입한 원예치료가 학교생활 부적응 중학생의 충동성 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농축대학원 2010
62 Burns, R. C., "Kinetic-House-Tree-Person Drawing" Bruner-Routledge 1987
63 김동연, "HTP와 KHTP의 심리진단법" 동아문화사 2002
64 Burns, R. C., "Action, Style, and Symbols in Kinetic Family Drawing(KFD) : An Interpretive Manual" Brunner/Mazel 1972
65 김정미, "ADHD 초등학생 대상 미술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미술치료학회 25 (25): 421-438, 2018
66 Go-Un Yu, "A Narrative Exploration of School Maladjusted Elementary Students’ Art Therapy Experience" The Korean Arts Psychotherapy Association 16 (16): 245-272, 2020
67 Kyung mi Kim, "A Case Study on Art Therapy for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 Improvement of a Child of Multicultural Family" The Institute of Korean Arts Therapy 18 (18): 161-181, 2018
68 Yeojin LEE, "A Case Study on Art Therapy for Assertiveness for a Child Who Experienced in Parental Divorce" Society for Art Education of Korea 69 : 35-63, 2019
69 한자영, "A Case Study of Art Therapy focused on Animation Techniques for Improving Self-esteem of a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 The Child Developmental Supporting Center 9 (9): 107-133, 2019
70 통계청, "2019 청소년 통계"
71 교육부, "2019 교육통계 분석자료집 : 유·초·중등교육통계편"
다문화 청소년의 내재화 문제행동 감소를 위한 콜라주 미술치료 사례연구
자살유가족의 가족기능성 회복을 위한 가족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조손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기술에 관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초등학교 고학년의 자기보고형 부모양육태도 검사(PAT-Y)와 집 그림검사(House test)의 반응특성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5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2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 | 0 | 0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