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좋은 어린이집의 의미: 보육교사와 어머니집단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기 = Listening to Voice from Teachers and Mothers: Stakeholder Perspectives of Quality in Child Care Cent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263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find the meaning of quality child care centers from the perspectives of teachers and mother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are 10 teachers from five child care centers in Daegu and 11 mothers who had their children enrolled in child care centers in Daegu. The data for the study was mainly collected from individual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The findings reveal that the participants have a variety of perspectives on the topic within and between the groups but all the participants emphasize the same aspects as good teachers and open child care curriculum in defining quality child care centers. In addition, while the teacher participants think that child care centers should be considered as public schools and individual needs should be adjusted for all the children in the center, the mother participants wanted individual needs to be considered prior to those of the whole class. This study suggests that all the groups involved in child care should be reminded that teachers and mothers have different perspectives on the meaning of quality child care centers and the parties concerned should make a consistent effort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 care through meaning-making processes by understanding and respecting each other’s values, experience, and perspectives.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to find the meaning of quality child care centers from the perspectives of teachers and mother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are 10 teachers from five child care centers in Daegu and 11 mothers who had their children enrolled in ch...

      This study aimed to find the meaning of quality child care centers from the perspectives of teachers and mother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are 10 teachers from five child care centers in Daegu and 11 mothers who had their children enrolled in child care centers in Daegu. The data for the study was mainly collected from individual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The findings reveal that the participants have a variety of perspectives on the topic within and between the groups but all the participants emphasize the same aspects as good teachers and open child care curriculum in defining quality child care centers. In addition, while the teacher participants think that child care centers should be considered as public schools and individual needs should be adjusted for all the children in the center, the mother participants wanted individual needs to be considered prior to those of the whole class. This study suggests that all the groups involved in child care should be reminded that teachers and mothers have different perspectives on the meaning of quality child care centers and the parties concerned should make a consistent effort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 care through meaning-making processes by understanding and respecting each other’s values, experience, and perspectiv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성재, "포커스그룹 연구 방법" 현문사 1999

      2 Glesne, C., "질적 연구자 되기" 아카데미프레스 2008

      3 조용환, "질적 연구: 방법과 사례" 교육과학사 1999

      4 Merriam, B. S., "질적 사례 연구법-교육학에서의" 양서원 1994

      5 Stake, R. E., "질적 사례 연구" 창지사 2000

      6 탁옥경, "자연 어린이집의 보육시설 평가인증 참여과정에 관한 문화기술적 탐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7 Bronfenbrenner, U., "인간 발달 생태학" 교육과학사 1992

      8 김명순, "이 시대의 보육: 영유아의 삶과 보육의 질 향상을 위한 학문적, 사회적 논의 과제" 경성대학교 63-86, 2009

      9 최희숙, "유치원 평가 준비과정에서 경험하는 교사의 어려움과 조력을 통한 교사 및 유치원의 변화"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213-251, 2011

      10 최은영, "유아의 초기 문해 기술과 단어읽기, 단어쓰기의 관계에 대한 구조모형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405-435, 2010

      1 김성재, "포커스그룹 연구 방법" 현문사 1999

      2 Glesne, C., "질적 연구자 되기" 아카데미프레스 2008

      3 조용환, "질적 연구: 방법과 사례" 교육과학사 1999

      4 Merriam, B. S., "질적 사례 연구법-교육학에서의" 양서원 1994

      5 Stake, R. E., "질적 사례 연구" 창지사 2000

      6 탁옥경, "자연 어린이집의 보육시설 평가인증 참여과정에 관한 문화기술적 탐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7 Bronfenbrenner, U., "인간 발달 생태학" 교육과학사 1992

      8 김명순, "이 시대의 보육: 영유아의 삶과 보육의 질 향상을 위한 학문적, 사회적 논의 과제" 경성대학교 63-86, 2009

      9 최희숙, "유치원 평가 준비과정에서 경험하는 교사의 어려움과 조력을 통한 교사 및 유치원의 변화"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213-251, 2011

      10 최은영, "유아의 초기 문해 기술과 단어읽기, 단어쓰기의 관계에 대한 구조모형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405-435, 2010

      11 장미정, "유아의 인지, 언어, 정서 및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유치원의 질과 교사 관련 변인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1 (31): 249-276, 2011

      12 성지현, "유아의 연령과 놀이 영역에 따른 유아-보육교사 상호작용과 유아 언어 발달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229-253, 2012

      13 모인선, "유아의 성격, 부모 만족도와 양육태도의 관계" 한국아동교육학회 14 (14): 131-144, 2005

      14 유애열, "유아의 상상놀이와 교사개입에 관한 관찰연구"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4

      15 양옥승, "유아교육의 다양한 목소리:다면성 고찰의 필요성" 경성대학교 17-30, 2009

      16 김민정, "유아교육기관의 질이 5세 유아의 「누리과정」 성취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17 서영희, "유아교육기관의 부모참여 인식과 요구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6 (26): 33-47, 2006

      18 배지희, "유아교육과 부모참여의 의미와 실제에 대한 문화기술적 탐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2 (22): 5-28, 2002

      19 이진희,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가의 다양성과 깊이에 대한 탐색" 한국유아교육학회 26 (26): 261-282, 2006

      20 손효영, "유아교사의 어려움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덕성여자대학교 345-346, 2012

      21 임우영, "유아교사-부모 협력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간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 18 (18): 323-350, 2011

      22 유연화, "영아보육 일과에 나타난 질적 보육의 장애요인 분석" 8 : 307-330, 2004

      23 최경애, "영아 보육시설 평가기준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24 강희양, "언어발달 프로그램이 다문화 가정 유아의 언어, 인지발달 및 유아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학회 12 (12): 523-537, 2011

      25 이인성,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 한국아동교육학회 18 (18): 177-189, 2009

      26 표미숙, "어머니의 관점에서 바라본 좋은 어린이집의 의미" 한국유아교육학회 29 (29): 215-240, 2009

      27 송혜린, "어린이집의 질적 수준 및 교사의 놀이참여와 아동의 놀이행동간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25 (25): 225-240, 2004

      28 임정진, "어린이집의 질이 빈곤가정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3

      29 이은해, "어린이집 프로그램에 대한 부모 관점의 평가" 23 (23): 241-259, 2003

      30 나석희, "어린이집 교사들이 보육경험과정에서 겪는 인간관계의 어려움과 해결방안"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69-94, 2012

      31 양옥승, "아동중심 교육과정의 의미 탐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5 (25): 103-117, 2005

      32 강준만, "세계 문화의 겉과 속" 인물과 사상사 2012

      33 조미영, "부모의 교육 참여에 대한 유아교사의 담론 분석" 한국아동교육학회 18 (18): 221-234, 2009

      34 신귀순, "보육의 질이 영유아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6

      35 이경선, "보육의 질에 영향을 주는 관련 변인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0

      36 김정인, "보육시설의 질적 수준에 따른 유아의 감정조망수용능력과 친사회적 행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37 지성애, "보육시설 유형에 따른 영유아 발달과시설의 질에 대한 부모의 관점 비교"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23-43, 2007

      38 조성연,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자아존중감" 한국아동학회 26 (26): 359-373, 2005

      39 양옥승, "보살핌의 텍스트로서 유아교육과정 이해"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247-262, 2004

      40 Gilligan, C., "다른 목소리로: 심리이론과 여성발달" 동녁 1994

      41 김경철, "국가수준의 유치원 평가에 대한 교사와 원장이 느끼는 혜택과 어려움"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41-67, 2008

      42 최미숙, "교사와 어머니가 평가한 유아 기질 차이 및 자기조절능력간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1-22, 2006

      43 Moss, P., "Valuing quality in early childhood services: New approaches to defining quality" Teachers College Press 1994

      44 Larner, M., "Valuing quality in early childhood services: New approaches to defining quality" Teachers College 43-60, 1994

      45 Lee, J. -H., "The quest for quality: Evaluation and early childhood programs" University of Illinois 2003

      46 Gelfer, J. I., "Teacher-parent partnerships: Enhancing communications" 67 : 164-169, 1991

      47 Katz, L. G., "Talks with teachers of young children: A collection" Ablex 1995

      48 Morgan, D. L., "Reconsidering the role of interaction in analyzing and reporting focus groups" 20 : 718-722, 2010

      49 Lee, J. -H., "Quality in early childhood programs? Underlying Values" 16 : 449-468, 2005

      50 Patton, M. Q., "Qualitative research and evaluation methods" Sage 2002

      51 Britner, P. A., "Predictors of parent and provider satisfaction with child day care dimensions: A comparison of center-based and family child day care" 74 : 1135-1168, 1995

      52 Decker, C. A., "Planning and administering early childhood programs" Pearson 2005

      53 Swadener, B. B.,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Reconceptualiz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2 : 85-94, 1991

      54 Ceglowski, D., "Four perspectives on childcare quality" 30 (30): 87-92, 2002

      55 Katz, L. G., "Five perspectives on quality in early childhood programs" ERIC/EECE 1993

      56 Lee, J. -H., "Early childhood program quality [Special issue]" 16 (16): 2005

      57 Adams, G., "Child care challenges: The midwest, the northeast, the south, and the west" Children's Defense Fund 1998

      58 Noddings, N., "Caring: A feminine approach to ethics & moral educ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4

      59 Dahlberg, G., "Beyond qual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ostmodern perspectives" Palmer Press 1999

      60 Graham, H., "A labour of love: Women, work and caring" Routledge & Kegan Paul 13-30, 1993

      61 방유선, "A case study of Parent Involvement in a Korean community preschool in the U.S." 미래유아교육학회 16 (16): 389-414, 2009

      62 최인수, "24 시간 어린이집 야간보육교사의 근무환경 및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울과 인천지역을 중심으로-" 5 : 157-175, 2002

      63 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 "2013년 보육통계"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4-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Life-span Studies: KALS -> Association of Life-span Studies: ALS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7 1.27 1.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8 1.38 2.177 0.4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