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래의 시간성을 고려한 서사 교육의 방향 탐색 = Exploring the direction of narrative education considering the time of the fu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895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we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narrative education based on the future self. First, we compare the linear temporal and cyclical time histories centering on the metaphor of 'arrow of time' and 'circulation of time', and discussed the point where both can be applied productively. Next,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ture in terms of time consciousness are summarized as potential plurality, interdependence, and consciousness orientation. Then, we divide the temporal layer of the future into potential future, narrative future, and real future. Next, the significance of narrative education considering the future self was discussed, and finally the educational direction was suggested. Specific educational directions include active pursuit of repetition that leads to creative change, potential pluralism of time for the future, and ethical search for future self.
      번역하기

      In this paper, we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narrative education based on the future self. First, we compare the linear temporal and cyclical time histories centering on the metaphor of 'arrow of time' and 'circulation of time', and discussed the po...

      In this paper, we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narrative education based on the future self. First, we compare the linear temporal and cyclical time histories centering on the metaphor of 'arrow of time' and 'circulation of time', and discussed the point where both can be applied productively. Next,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ture in terms of time consciousness are summarized as potential plurality, interdependence, and consciousness orientation. Then, we divide the temporal layer of the future into potential future, narrative future, and real future. Next, the significance of narrative education considering the future self was discussed, and finally the educational direction was suggested. Specific educational directions include active pursuit of repetition that leads to creative change, potential pluralism of time for the future, and ethical search for future self.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 사회에서는 미래 의식의 위기를 알리는 사회병리적 현상이 만연해있다. 이로 인해 현대인은 미래의 ‘나’에 대한 존재 감각을 점차 상실해가고 있다. 따라서 미래에 대한 상상력을 풍성하게 복원시킬 수 있는 교육적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본고에서는 미래의 시간성에 기반한 서사 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미래의 시간성을 교육적으로 포섭하기 위한 방편으로 반복에 주목하고, 미래와 반복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먼저 ‘시간의 화살’과 ‘시간의 순환’이라는 은유를 중심으로 직선적 시간관과 순환적 시간관을 비교하고, 양자가 생산적으로 접목될 수 있는 지점을 논의하였다. 다음으로 시간 의식 차원에서 미래의 특성을 잠재적 복수성, 상호 의존성, 의식 지향성으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이에 따른 미래의 시잔적 층위를 잠재적 미래, 서사적 미래, 현실적 미래로 구분하였다. 다음에 미래적 자아를 고려한 서사 교육의 의의에 대해서 논의하고, 마지막으로 교육 방향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인 교육 방향으로는 창조적 변화를 견인하는 능동적 반복 추구, 미래를 향한 시간의 잠재적 복수성 인식, 미래적 자아에 대한 윤리적 탐색 등이 있다.
      번역하기

      현대 사회에서는 미래 의식의 위기를 알리는 사회병리적 현상이 만연해있다. 이로 인해 현대인은 미래의 ‘나’에 대한 존재 감각을 점차 상실해가고 있다. 따라서 미래에 대한 상상력을 풍...

      현대 사회에서는 미래 의식의 위기를 알리는 사회병리적 현상이 만연해있다. 이로 인해 현대인은 미래의 ‘나’에 대한 존재 감각을 점차 상실해가고 있다. 따라서 미래에 대한 상상력을 풍성하게 복원시킬 수 있는 교육적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본고에서는 미래의 시간성에 기반한 서사 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미래의 시간성을 교육적으로 포섭하기 위한 방편으로 반복에 주목하고, 미래와 반복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먼저 ‘시간의 화살’과 ‘시간의 순환’이라는 은유를 중심으로 직선적 시간관과 순환적 시간관을 비교하고, 양자가 생산적으로 접목될 수 있는 지점을 논의하였다. 다음으로 시간 의식 차원에서 미래의 특성을 잠재적 복수성, 상호 의존성, 의식 지향성으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이에 따른 미래의 시잔적 층위를 잠재적 미래, 서사적 미래, 현실적 미래로 구분하였다. 다음에 미래적 자아를 고려한 서사 교육의 의의에 대해서 논의하고, 마지막으로 교육 방향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인 교육 방향으로는 창조적 변화를 견인하는 능동적 반복 추구, 미래를 향한 시간의 잠재적 복수성 인식, 미래적 자아에 대한 윤리적 탐색 등이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근호, "허구 서사 창작 교육의 내용 체계화 -세계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문학교육학회 (30) : 313-355, 2009

      2 김근호, "허구 서사 창작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3 나병철, "특이성의 문학과 제3의 시간" 문예출판사 2018

      4 Berogson, "창조적 진화" 아카넷 2005

      5 Delueze, G., "차이와 반복" 민음사 2004

      6 황임경, "질병 체험과 서사" 한국의철학회 10 : 3-28, 2010

      7 Broomfield, J., "지식의 다른 길" ㈜양문 2002

      8 이정우, "주체란 무엇인가" 그린비 2009

      9 Bruner, J., "이야기 만들기" 교육과학사 2002

      10 Stephen, J.D., "시간의 화살, 시간의 순환 : 지질학적 시간의 발견에서 신화와 은유" 아카넷 2012

      1 김근호, "허구 서사 창작 교육의 내용 체계화 -세계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문학교육학회 (30) : 313-355, 2009

      2 김근호, "허구 서사 창작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3 나병철, "특이성의 문학과 제3의 시간" 문예출판사 2018

      4 Berogson, "창조적 진화" 아카넷 2005

      5 Delueze, G., "차이와 반복" 민음사 2004

      6 황임경, "질병 체험과 서사" 한국의철학회 10 : 3-28, 2010

      7 Broomfield, J., "지식의 다른 길" ㈜양문 2002

      8 이정우, "주체란 무엇인가" 그린비 2009

      9 Bruner, J., "이야기 만들기" 교육과학사 2002

      10 Stephen, J.D., "시간의 화살, 시간의 순환 : 지질학적 시간의 발견에서 신화와 은유" 아카넷 2012

      11 한병철, "시간의 향기" 문학과 지성사 2009

      12 우한용, "서사교육론" 동아시아 2001

      13 이정우, "사건의 철학" 그린비 2011

      14 나병철, "미래 이후의 미학" 문예출판사 2016

      15 황수영, "물질과 기억, 시간의 지층을 탐험하는 이미지와 기억의 미학" 그린비 2006

      16 Damasio, A., "데카르트의 오류" 중앙문화사 1994

      17 Monyer, H., "기억은 미래를 향한다" 문예출판사 2017

      18 김태호, "경험의 플롯 구성을 통한 서사 창작 교육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15

      19 방은수, "경험의 은유적 혼성을 통한 서사 창작 교육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17

      20 임경순, "경험의 서사화 방법과 그 문학교육적 의의 연구 : 유소년기소설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21 전한성, "경험 서사 창작 교육 연구 : 자서전 서사 쓰기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10-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ln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KCI등재
      2017-05-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Association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7 1.07 1.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4 1.04 1.728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