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학교 특수교육실무원의 수업지원 실태 및 통합교사의 인식 = Condition of Instruction Supports for Inclusive Classes by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in Middle School and Inclusive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542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학교 특수교육실무원의 수업지원 실태와 이에 대한 통합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부산광역시 내의 5개 지역교육지원청 중 특수교사와 특수교육실무원이 배치된 일반 중학교의 국어, 수학, 미술, 체육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결과 장애학생의 원활한 통합교육을 위하여 통합교사들은 특수교육실무원제도를 인식하고 지속적인 협의를 진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중학교 특수교육실무원의 수업지원은 실기교과나 공개수업과 같은 특정시간에 한하여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통합교사들은 수업지원을 원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교사들의 인식은 장애학생들의 학교생활과 통합학급 수업에서 특수교육실무원의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지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통합교사들은 장애학생의 문제행동을 관리하기 위함이고, 특수교육실무원과의 갈등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통합학급에서 특수교육실무원의 수업지원을 받은 경험이 있는 통합교사들에게 만족도를 질문한 결과 비장애학생과 장애학생의 학습능력, 장애학생의 교우관계, 일상생활기술 능력, 문
      제행동 관리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중학교 특수교육실무원의 수업지원 실태와 이에 대한 통합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부산광역시 내의 5개 지역교육지원청 중 특수교사와 특수교육실무원이 배치된 일...

      본 연구는 중학교 특수교육실무원의 수업지원 실태와 이에 대한 통합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부산광역시 내의 5개 지역교육지원청 중 특수교사와 특수교육실무원이 배치된 일반 중학교의 국어, 수학, 미술, 체육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결과 장애학생의 원활한 통합교육을 위하여 통합교사들은 특수교육실무원제도를 인식하고 지속적인 협의를 진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중학교 특수교육실무원의 수업지원은 실기교과나 공개수업과 같은 특정시간에 한하여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통합교사들은 수업지원을 원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교사들의 인식은 장애학생들의 학교생활과 통합학급 수업에서 특수교육실무원의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지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통합교사들은 장애학생의 문제행동을 관리하기 위함이고, 특수교육실무원과의 갈등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통합학급에서 특수교육실무원의 수업지원을 받은 경험이 있는 통합교사들에게 만족도를 질문한 결과 비장애학생과 장애학생의 학습능력, 장애학생의 교우관계, 일상생활기술 능력, 문
      제행동 관리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dition of lesson supports for inclusive classes by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in Middle School and inclusive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it. For data treatment, the investigator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with the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113 inclusive education
      teachers in charge of Korean, math, art, and physical education in middle schools providing inclusive education.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limited its lesson supports to certain lessons such as practice and open lessons in inclusive classes in middle school. Second, the examination
      results of inclusive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lesson supports for inclusive classes by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in middle school reveal that they felt a
      need for lesson supports to manage the problematic behavior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Finally, the study also examined the satisfaction level with lesson supports among the inclusive education teachers who had an experience of receiving lesson supports
      for inclusive classes by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in middle school. As a result, its lesson supports generated effects in a range of areas including the learning abilities of common students 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mation of positive peer relationships, improvement of everyday life skills, and management of problematic behavior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dition of lesson supports for inclusive classes by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in Middle School and inclusive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it. For data treatment, the investigator conduc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dition of lesson supports for inclusive classes by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in Middle School and inclusive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it. For data treatment, the investigator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with the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113 inclusive education
      teachers in charge of Korean, math, art, and physical education in middle schools providing inclusive education.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limited its lesson supports to certain lessons such as practice and open lessons in inclusive classes in middle school. Second, the examination
      results of inclusive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lesson supports for inclusive classes by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in middle school reveal that they felt a
      need for lesson supports to manage the problematic behavior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Finally, the study also examined the satisfaction level with lesson supports among the inclusive education teachers who had an experience of receiving lesson supports
      for inclusive classes by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in middle school. As a result, its lesson supports generated effects in a range of areas including the learning abilities of common students 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mation of positive peer relationships, improvement of everyday life skills, and management of problematic behavior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2
      • Ⅱ. 연구 방법 3
      • 1. 연구 대상 3
      • 2. 연구 도구 5
      • 3. 자료 처리 5
      • Ⅰ. 서 론 2
      • Ⅱ. 연구 방법 3
      • 1. 연구 대상 3
      • 2. 연구 도구 5
      • 3. 자료 처리 5
      • Ⅲ. 연구 결과 5
      • 1. 중학교 특수교육실무원의 수업지원 실태 5
      • 1) 특수교육실무원과의 협의 6
      • 2) 특수교육실무원 수업지원 여부 및 지원정도 7
      • 3) 특수교육실무원의 수업지원에 따른 협의실시 여부 및 방법 7
      • 4) 특수교육실무원의 수업지원 신청여부 8
      • 2. 중학교 특수교육실무원의 수업지원에 대한 통합교사의 인식 9
      • 1) 통합교육 중 특수교육실무원 지원의 필요성 9
      • ① 특수교육실무원의 지원이 필요한 이유 9
      • ② 특수교육실무원의 지원이 필요하지 않은 이유 10
      • 2) 특수교육실무원의 수업지원 필요성 10
      • 3) 특수교육실무원의 수업지원을 받지 않는 이유 11
      • 4) 특수교육실무원의 수업지원이 필요하지 않은 이유 11
      • 5) 특수교육실무원의 수업지원 시 필요한 통합교사의 자질 12
      • 6) 특수교육실무원의 역할 중요도 13
      • 7) 특수교육실무원의 수업지원에 따른 장애학생 교수활동 형태 13
      • 8) 특수교육실무원의 수업지원 요구 영역 14
      • 9) 특수교육실무원의 수업지원을 신청한 이유 14
      • 10) 특수교육실무원 수업지원 신청 없이 지원을 받는 이유 15
      • 11) 통학학급 수업지원을 위한 특수교육실무원의 교육 내용 15
      • 12) 특수교육실무원의 수업지원 범위와 방법 16
      • 13) 특수교육실무원을 위한 교내 연수 운영방법 16
      • 14) 수업지원을 위한 특수교육실무원의 직무연수 운영방법 17
      • 15) 특수교육실무원의 수업지원에 대한 비장애학생들의 관심도 17
      • 16) 특수교육실무원의 수업지원에 대한 성과 18
      • 17) 특수교육실무원 수업지원의 성과 만족도 18
      • 18) 수업지원 중 특수교육실무원과의 갈등 여부와 이유 19
      • 19) 특수교육실무원의 수업지원에 따른 도움 받은 사람 20
      • 20) 특수교육실무원의 수업지원에 따른 영역별 만족도 21
      • Ⅳ. 논 의 22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미경, "팀 기반 특수교육보조원의 통합지원이 중학교 장애학생의 수업참여행동 및 팀원 간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2 국립특수교육원, "특수학급 운영환경 개선방안" 국립특수교육원 2001

      3 이실배, "특수학급 및 통합학급 교사가 지각하는 특수교육보조원의 규범적 임무와 현상적 임무"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4 서태준, "특수교육보조원제에 대한 실태와 특수학급교사 및 통합학급교사의 인식과 요구 분석 : 부산광역시 초등학교교사를 중심으로"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5 배주영, "특수교육보조원제 운영에 대한 통합학급 교사, 특수교사, 특수교육보조원의 인식과 요구분석 :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6 장명수, "특수교육보조원제 운영 실태와 성과에 대한 통합학급교사, 특수학급교사, 특수교육보조원의 인식 비교 조사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7 박미경, "특수교육보조원의 활용 및 관리 방안" 한국특수교육학회 39 (39): 73-94, 2004

      8 허미희, "특수교육보조원의 자질 및 역할수행에 대한 교사들의 기대와 지각의 차이 분석"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9 강경숙, "특수교육보조원의 실태 및 자질과 역할에 대한 인식 수준" 국립특수교육원 2004

      10 최유미, "특수교육보조원 활용 실태와 그 효과에 대한 통합학급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 박미경, "팀 기반 특수교육보조원의 통합지원이 중학교 장애학생의 수업참여행동 및 팀원 간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2 국립특수교육원, "특수학급 운영환경 개선방안" 국립특수교육원 2001

      3 이실배, "특수학급 및 통합학급 교사가 지각하는 특수교육보조원의 규범적 임무와 현상적 임무"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4 서태준, "특수교육보조원제에 대한 실태와 특수학급교사 및 통합학급교사의 인식과 요구 분석 : 부산광역시 초등학교교사를 중심으로"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5 배주영, "특수교육보조원제 운영에 대한 통합학급 교사, 특수교사, 특수교육보조원의 인식과 요구분석 :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6 장명수, "특수교육보조원제 운영 실태와 성과에 대한 통합학급교사, 특수학급교사, 특수교육보조원의 인식 비교 조사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7 박미경, "특수교육보조원의 활용 및 관리 방안" 한국특수교육학회 39 (39): 73-94, 2004

      8 허미희, "특수교육보조원의 자질 및 역할수행에 대한 교사들의 기대와 지각의 차이 분석"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9 강경숙, "특수교육보조원의 실태 및 자질과 역할에 대한 인식 수준" 국립특수교육원 2004

      10 최유미, "특수교육보조원 활용 실태와 그 효과에 대한 통합학급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1 고미옥, "특수교육보조원 배치에 대한 통합학급 교사와 비장애아동의 인식에 대한 사례 연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0

      12 박승희, "특수교육발전 5개년(2003-2007)종합대책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1

      13 국립특수교육원, "특수교육 지원 대상자를 위한 특수학급 운영편람"

      14 정수진, "특수교육 보조원제의 운영 및 지원에 대한 통합학급교사와 특수교육교사의 요구 분석"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5 강경숙, "특수교육 보조원제 운영방안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02

      16 국립특수교육원, "특수교육 보조원제 운영 방안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02

      17 권애경, "특수교육 보조원 활용에 관한 특수학급 학부모의 인식 및 요구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5 (45): 179-196, 2006

      18 이윤숙,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교육보조원의 협력적 문제해결 과정을 통한 교수적 지원의 효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9 김성애, "통합교육을 위한 특수교육 보조인력의 역할 및 훈련" 2002

      20 박종천, "중등학교 특수교육보조원제 운영에 관한 실태 조사 : 특수교사 및 관리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21 박미진, "장애유아 통합교육 현장에서의 보조원 활용실태 및 활용방안에 대한 요구조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2 박양현, "유아통합학급에서의 특수교육보조원 실태 및 유아특수교사와 통합담당유아교사의 인식"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7

      23 정영숙, "보조교사를 활용하는 통합학급의 교사와 아동의 인식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3

      24 양문봉, "발달장애아 통합교육에 있어 모니터의 필요성"

      25 박현숙, "미국 의뢰전 중재 지원체계의 효과와 논쟁점에 관한 일 고찰" 한국특수교육학회 39 (39): 239-268, 2004

      26 Bulgren J., "Strategies instruction in the content areas, In Teaching adolesc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Strategies and methds" Love 409-473, 1996

      27 French, N. K., "Parent perspectives on the roles of assistants" 24 (24): 259-272, 1999

      28 Schloss, P. J., "Instructional methods for secondary students with learning and behavior problems" Allyn & Bacon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 1.2 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6 1.464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