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부적응적 완벽성향과 학업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부모지지의 매개효과 = The Effects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Academic Stress on Suicidal Ideation of the Adolescent: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al Suppor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827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evidence and information in order to prevent adolescent suicides by proving the effects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academic stress on suicidal thoughts and the mediating role of parental support. The survey included a total of 1,395 students from Seoul, Daejun, Incheon, Gyeong kido, Choongchungnamdo. By using structural equations, first result proved that the idea of suicide was higher in teenagers with higher maladaptive perfectionism an d academic stress. Secondly, the analysis also demonstrated that when teenagers have higher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academic stress, they received less parental support. Lastly, teenagers with more parental support seemed to have less suicidal thoughts. Therefore, this study showed how parental support is the partial mediating role for suicidal ideation of teenagers with high academic stress and maladaptive perfectionism. In conclusion, this research can be practically implied and utilized as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programs to reduce suicidal ideation in teenager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evidence and information in order to prevent adolescent suicides by proving the effects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academic stress on suicidal thoughts and the mediating role of parental support. The surv...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evidence and information in order to prevent adolescent suicides by proving the effects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academic stress on suicidal thoughts and the mediating role of parental support. The survey included a total of 1,395 students from Seoul, Daejun, Incheon, Gyeong kido, Choongchungnamdo. By using structural equations, first result proved that the idea of suicide was higher in teenagers with higher maladaptive perfectionism an d academic stress. Secondly, the analysis also demonstrated that when teenagers have higher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academic stress, they received less parental support. Lastly, teenagers with more parental support seemed to have less suicidal thoughts. Therefore, this study showed how parental support is the partial mediating role for suicidal ideation of teenagers with high academic stress and maladaptive perfectionism. In conclusion, this research can be practically implied and utilized as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programs to reduce suicidal ideation in teenag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의 부적응적 완벽성향과 학업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부모지지의 매개역할을 검증함으로써 청소년의 자살예방 및 개입에 필요한 근거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특별시, 대전․인천광역시, 경기도, 충청남도에 거주하고 있는 초․중․고 학생들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최종 분석대상은 1,395명이다.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분석결과 첫째, 청소년은 부적응적 완벽성향과 학업스트레스가 심할수록 자살에 대한 생각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부적응적 완벽성향이 높을수록 부모지지에 대한 인식이 낮아지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청소년은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가 많을수록 부모지지에 대한 인식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지지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자살생각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 및 부적응적인 완벽성향과 자살생각 간에 있어 부모지지는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청소년의 자살생각을 감소시키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실천적 함의와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청소년의 부적응적 완벽성향과 학업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부모지지의 매개역할을 검증함으로써 청소년의 자살예방 및 개입에 필요한 근거를 제공하...

      본 연구는 청소년의 부적응적 완벽성향과 학업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부모지지의 매개역할을 검증함으로써 청소년의 자살예방 및 개입에 필요한 근거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특별시, 대전․인천광역시, 경기도, 충청남도에 거주하고 있는 초․중․고 학생들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최종 분석대상은 1,395명이다.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분석결과 첫째, 청소년은 부적응적 완벽성향과 학업스트레스가 심할수록 자살에 대한 생각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부적응적 완벽성향이 높을수록 부모지지에 대한 인식이 낮아지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청소년은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가 많을수록 부모지지에 대한 인식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지지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자살생각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 및 부적응적인 완벽성향과 자살생각 간에 있어 부모지지는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청소년의 자살생각을 감소시키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실천적 함의와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혜영, "학업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신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0

      2 문경숙, "학업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 부모와 친구에 대한 애착의 매개효과" 한국아동학회 27 (27): 143-157, 2006

      3 이서원, "학업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가족응집성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학회 18 (18): 111-136, 2011

      4 김선아, "초등학교시기의 심리사회요인과 중학생시기의 자살생각간의 관계 -스트레스, 우울감과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14 (14): 5-27, 2009

      5 한국청소년상담원, "청소년자살예방체제 구축방안 연구" 청소년상담원 1-307, 2007

      6 조옥선,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집단따돌림 피해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보건의료산업학회 8 (8): 233-244, 2014

      7 이정윤,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 부모 및 또래와의 관계와 인지왜곡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0 (10): 1113-1126, 2009

      8 홍영수, "청소년의 자살행동에 대한 생활스트레스와 심리사회적 자원의 영향"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4

      9 김정수, "청소년의 자살충동과 심리사회적 변인과의 관계-자아탄력성, 학교만족, 가족화목, 사회적지지 및 우울과 관련하여" 21 : 153-172, 2003

      10 박재연, "청소년의 자살위기와 레질리언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1 이혜영, "학업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신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0

      2 문경숙, "학업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 부모와 친구에 대한 애착의 매개효과" 한국아동학회 27 (27): 143-157, 2006

      3 이서원, "학업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가족응집성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학회 18 (18): 111-136, 2011

      4 김선아, "초등학교시기의 심리사회요인과 중학생시기의 자살생각간의 관계 -스트레스, 우울감과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14 (14): 5-27, 2009

      5 한국청소년상담원, "청소년자살예방체제 구축방안 연구" 청소년상담원 1-307, 2007

      6 조옥선,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집단따돌림 피해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보건의료산업학회 8 (8): 233-244, 2014

      7 이정윤,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 부모 및 또래와의 관계와 인지왜곡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0 (10): 1113-1126, 2009

      8 홍영수, "청소년의 자살행동에 대한 생활스트레스와 심리사회적 자원의 영향"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4

      9 김정수, "청소년의 자살충동과 심리사회적 변인과의 관계-자아탄력성, 학교만족, 가족화목, 사회적지지 및 우울과 관련하여" 21 : 153-172, 2003

      10 박재연, "청소년의 자살위기와 레질리언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11 조옥선,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요인" 한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3

      12 지추련,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대한 성별 연구 :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2

      13 장선희, "청소년의 자살생각 관련 요인 연구 : 사회적지지 및 자아존중감의 완충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17 (17): 27-55, 2010

      14 박병금, "청소년의 자살생각 관련 요인 :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 16 (16): 505-522, 2007

      15 박영숙, "청소년의 자살생각 경로모형 분석"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4 (24): 255-263, 2013

      16 박경, "청소년의 아동기 학대경험과 자살사고간의 관계에서 문제해결과 사회적 지지의 중재효과" 2 (2): 11-47, 2005

      17 조윤숙,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과 가족환경 및 학교생활 부적응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8 조아미,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학업성취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교육학회 43 (43): 137-155, 2005

      19 정의석,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에 대한 완벽성향의 통제 및 조절효과"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8 (8): 27-44, 2011

      20 임현숙,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완벽주의의 관계에서 비합리적 신념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8

      21 엄태완, "청소년의 스트레스, 무망감, 우울, 자살생각과 사회적 지지 : 성차를 중심으로" 22 : 5-30, 2008

      22 김성이, "청소년복지학" 집문당 2004

      23 윤성림, "청소년기 자살생각과 그 관련변인-고교생을 대상으로 한 심리적 특성의 탐색-" 6 (6): 107-120, 1993

      24 박경애, "청소년 자살행동 연구" 청소년 대화의 광장 1993

      25 김기환, "청소년 자살의 특성과 유형에 관한 연구" 9 (9): 27-128, 2000

      26 이은희, "청소년 자살의 심리적 과정 및 문제해결력과 사회적 지지의 보호효과" 한국사회조사연구소 9 (9): 105-143, 2008

      27 최원기, "청소년 자살의 사회구조적 원인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18) : 5-30, 2004

      28 박재연, "청소년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구조적 관계 검증 : 보호요인으로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16 (16): 249-272, 2009

      29 김순규, "청소년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보호요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29) : 66-93, 2008

      30 노충래,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성적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자아존중감과 우울불안에 대한 개인요인 및 사회적 지지 요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 (39) : 39-68, 2012

      31 권세원,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자살사고간 관계에서 인지왜곡이 가지는 조절효과"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3 (13): 67-92, 2011

      32 고성은, "중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16 (16): 97-124, 2009

      33 이정미,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교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34 모지환, "자살행동 영향 요인: 성별, 연령별 집단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1 (31): 121-145, 2011

      35 임숙빈, "자살을 생각한 고등학생들과 그렇지 않은 학생들의 스트레스원과 대응행위 비교" 한국간호과학회 32 (32): 254-264, 2002

      36 신민섭, "자살성향에 관한 연구 : 우울-절망-자살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분석" 9 (9): 20-32, 1990

      37 신민섭, "자살 기제에 대한 실증적 연구 : 자기 도피 척도의 타당화"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3

      38 박재연, "인문계 고등학생의 학업문제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개인수준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 (32) : 69-97, 2010

      39 장나라, "우울한 청소년의 충동성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중, 고등학생의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대학원 2013

      40 전영주, "우울증을 매개로 한 청소년의 자살 구상에 관한 가족 및 학교환경의 경로분석 모델" 대한가정학회 39 (39): 151-167, 2001

      41 홍정무, "완벽주의와 사회적 지지 요청 및 지각 스트레스와의 관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5

      42 이미화, "완벽주의 성향의 순기능과 역기능 : 성취목표, 스트레스, 심리적 안녕감, 우울과 관련하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1

      43 윤우상, "소아청소년 자살기사에 관한 내용 분석" 31 (31): 171-181, 1992

      44 홍강의, "소아ㆍ청소년의 자살, 자살의 이해와 예방" 한국자살예방협회 359-379, 2008

      45 강승호, "생활사건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 :남고생과 여고생의 비교" 한국교육심리학회 25 (25): 277-293, 2011

      46 이아영, "부모의 지지와 통제 및 학교생활적응이 남녀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학회 37 (37): 61-71, 2016

      47 최소정, "부모와의 애착과 자살생각 간의 관계 : 역기능적 신념과 우울의 매개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8

      48 이근영, "부모-자녀간 역기능적 의사소통과 학업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우울감의 매개효과와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 한국청소년학회 18 (18): 83-107, 2011

      49 마여연, "대학생의 완벽주의 성향과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2015

      50 유상미, "대학생의 스트레스, 부적응적 완벽주의, 자살사고의 관계: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애착유형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5 (5): 119-136, 2008

      51 안세영, "대학생 자살생각 관련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2 (12): 385-405, 2015

      52 전명임,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우울,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유대감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53 김정미, "남녀 청소년의 학교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 완벽주의와 자기존중감의 매개효과 및 성별차이 검증" 한국상담학회 11 (11): 809-829, 2010

      54 이은희, "남녀 청소년들의 우울에 미치는 학교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부모의 내재적 지원의 효과" 12 (12): 69-84, 2000

      55 이신애, "남녀 중학생의 충동성과 우울의 관계 : 사회적 기술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56 통계청, "광주, 전남 청소년 통계. 2013"

      57 하정례, "과외학습과 학습습관이 학업성취와 학교적응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58 박광배, "고등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자살생각" 10 (10): 298-314, 1991

      59 차미영, "고등학생의 자살생각에 대한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및 우울의 효과" 한국교육학회 48 (48): 93-122, 2010

      60 정의석, "고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에 대한 완벽성향의 통제 및 조절효과"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1

      61 보건복지부, "경제협력개발기구 건강 지표"

      62 여환홍, "경계선적 성격특성, 부적응적 완벽주의 및 우울이 자살관련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상심리학회 29 (29): 1047-1066, 2010

      63 Frost, R. O., "The dimensions of perfectionism" 14 (14): 449-468, 1990

      64 Harwood, D., "The International Handbook of Suicide and Attempted Suicide" John Wiley & Sons. Ltd 2000

      65 Dean, P. J., "Testing the escape theory of suicide in a outpatient clinical population" 23 (23): 561-572, 1999

      66 Kandel, D. B.,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ce, depression, substance use, and other risk factors" 20 (20): 289-308, 1991

      67 Rubenstein, J. L., "Suicidal behavior in adolesecnts : stress and protection in different family contexts" 68 : 274-284, 1989

      68 Wright, L. S., "Suicidal Thoughts and Their Relationship to Family Stress and Personal Problem among High School Seniors and College Undergraduates" 20 : 37-56, 1985

      69 Sherry, S. B., "Social support as a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 A preliminary test of the social disconnection model" 45 (45): 215-225, 2008

      70 Simons, R. L., "Sex differences in the causes of adolescent suicide ideation" 14 (14): 423-434, 1985

      71 Dunkley, D. M., "Self-critical perfectionism, coping, hassles, and current distress :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24 : 712-730, 2000

      72 Reynolds, W. M., "SIQ, 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 : Professional Manua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1988

      73 Ang, R. P.,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 Testing for Depression as a Mediator Using Multiple Regression" 37 : 133-143, 2006

      74 King, R. A., "Psychological and risk behavior correlates of youth suicide attempts and suicidal ideation" 40 (40): 837-846, 2001

      75 Hamacheck, D. E., "Psychodynamics of normal and neurotic perfectionism" 15 (15): 27-33, 1978

      76 Dunkley, D. M., "Personal standards and evaluative concerns dimensions of clinical perfectionism : A reply to Shafran et al. (2002, 2003)and Hewitt et al. (2003)" 44 (44): 63-84, 2006

      77 Hewitt, P. L., "Perfectionisms in the self and social context : Conceptualization, assessment, and association with psychopathology" 60 : 456-470, 1991

      78 Flett, G. L., "Perfectionism. Theory, Research and Treatment"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2

      79 O'Connor, D. B., "Perfectionism and psychological distress : evidence of the mediating effects of rumination" 21 : 429-452, 2007

      80 Flett, G. L., "Perfectionism and learned resourceful in depression and self-esteem" 12 (12): 61-68, 1991

      81 De Man, A. F.,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Suicidal Ideation in French-Canadian Adolescents" 154 (154): 72-89, 1992

      82 Bostik, K. E., "Healing from suicide : adolescent perceptions of attachment relationships" 35 (35): 79-96, 2007

      83 Hewitt, P. L., "Dimensions of perfectionism, daily stress, and depression" 102 : 58-65, 1997

      84 Nock, M. K., "Cross-national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suicidal ideation, plans, and attempts in the WHO World Mental Surveys" 192 : 98-125, 2008

      85 Shafran, R., "Clinical perfectionism : A cognitive-behavioral analysis" 40 (40): 773-791, 2002

      86 Toero, K., "Characteristics of suicide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 in Budapest" 43 : 368-371, 2001

      87 Lyon, M. E., "Assessing african american adolescent’s risk for suicide attempts : Attachment theory" 35 (35): 121-134, 2000

      88 Rudd, M. D., "An integrative model of suicidal ideation" 20 : 16-30, 1990

      89 Blau, G. M., "Adoloscent dysfungtional behavior" Sage 1996

      90 Field, T., "Adolescent suicidal ideation" 36 : 1-6, 2001

      91 Reifman. A., "Adolescent suicidal behaviors as a function of depression, hopelessness, alcohol use, and social support :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23 (23): 329-354,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10-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cademy Welfare Counselling -> Korea Academy of Welfare Counselling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