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년층의 경제적 노후준비와 생활만족도의 관계 = 활동적 노화를 매개변수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860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major income sources of elderly households affect the elderly’s life satisfaction and active aging. This study examines the research model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using the data of the survey on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major income sources of elderly households affect the elderly’s life satisfaction and active aging. This study examines the research model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using the data of the survey on the elderly in 2014 at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oportion and amount of public transfer income among the elderly’s income sources was high, mainly leisure, cultural activities, social activities and group activities, and their economic status and health status satisfaction were low, while their spouse, children, Community satisfaction was relatively high. Second, the difference of each incom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vey subjects is as follows. In the cases of earned income, business income, asset income, and public transfer income, the income of each man was higher than that of women, The higher the health, the higher the income. Third, the increase of old age earning income negatively affects the life satisfaction, but life satisfaction increased as asset income and public transfer income increase. And, as the elderly earned income, asset income, and public transfer income increased, they were more involved in activities related to active aging. Fourth, the increase of earned income in old age had a positive effect on active aging but negatively on life satisfaction. Fifth, the results of analyzing after setting individual models using gender and age were different between male and female. First of all,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should be influenced not only by the economic support but also by the policy support for the aging activities since the economic factors are influenced on the life satisfaction through the aging activit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지은정, "활동적 노화의 관점에서 본 고령자 자원봉사지원 유형: 독일, 프랑스, 미국, 일본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1 (41): 269-296, 2014

      2 "한국주택금융공사"

      3 김태준, "한국의 사회적 자본 실태 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9

      4 황남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5 이윤경, "한국노인의 삶의 변화 분석 및 전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6 이준우, "한국 노인의 노후생활에 관한 인식" 한국노년학회 31 (31): 711-732, 2011

      7 허정무, "퇴직자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탐색을 통한 퇴직준비교육 프로그램모델 개발" 18 (18): 1-18, 1998

      8 문화체육관광부, "통합문화이용권 안내 및 추진경과"

      9 정무성, "통합문화이용권 사업 효과성 및 타당성 분석연구"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14

      10 허준수, "지역사회거주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24) : 127-151, 2004

      1 지은정, "활동적 노화의 관점에서 본 고령자 자원봉사지원 유형: 독일, 프랑스, 미국, 일본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1 (41): 269-296, 2014

      2 "한국주택금융공사"

      3 김태준, "한국의 사회적 자본 실태 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9

      4 황남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5 이윤경, "한국노인의 삶의 변화 분석 및 전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6 이준우, "한국 노인의 노후생활에 관한 인식" 한국노년학회 31 (31): 711-732, 2011

      7 허정무, "퇴직자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탐색을 통한 퇴직준비교육 프로그램모델 개발" 18 (18): 1-18, 1998

      8 문화체육관광부, "통합문화이용권 안내 및 추진경과"

      9 정무성, "통합문화이용권 사업 효과성 및 타당성 분석연구"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14

      10 허준수, "지역사회거주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24) : 127-151, 2004

      11 임경자, "중년층의 노후준비가 중년기 위기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2 안현선, "중년기 여성의 노후준비도와 성공적 노후에 대한 인식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3 (13): 137-155, 2009

      13 장수지, "중·노년기 배우자 사별 전후의 사회적 관계망 변화에 대한 종단연구" 한국노년학회 31 (31): 1083-1101, 2011

      14 장지연, "중·고령자 취업 결정요인의 국가 간 비교- 한국, 미국, 스웨덴, 독일. 중·고령자노동시장 국제비교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08

      15 김대환, "중·고령자 삶의 만족도 결정 요인 : 공적연금과 사적연금을 중심으로" 한국리스크관리학회 22 (22): 97-123, 2011

      16 장지연, "중·고령자 가구의 소득수준과 소득구성의 특징" 2007 (2007): 3-13, 2007

      17 박창제, "중 · 고령자의 경제적 노후준비와 결정요인" 한국사회복지학회 60 (60): 275-297, 2008

      18 보건복지부, "제2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2011-2015)" 2011

      19 한국노동연구원, "자영업 실태조사" 2014

      20 김미라, "인지훈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한양대학교 2000

      21 성명재, "인구구조 변화가 소득분배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제학회 57 (57): 5-37, 2009

      22 박창제, "은퇴결정 형태와 노후준비가 은퇴 고령자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인복지학회 (59) : 115-138, 2013

      23 조용수, "우리나라의 연령별 빈곤실태와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 연구" 한국사회보장학회 23 (23): 101-124, 2007

      24 김수완, "우리나라 노인가구의 소득구성 및 빈곤율 분석-가구유형별 근로소득과 공적연금소득의 비중 및 빈곤제거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9) : 5-37, 2006

      25 구철회, "서울시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국정관리학회 25 (25): 281-300, 2015

      26 홍현방, "생산 활동 수준과 성공적인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29) : 203-235, 2005

      27 배성우, "빈곤노인가구의 특성과 빈곤탈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인복지학회 (42) : 291-318, 2008

      28 최희경, "빈곤 여성 노인의 생애와 빈곤 형성 분석" 한국노인복지학회 (27) : 147-174, 2005

      29 조경욱, "무의탁 독거 여성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전북지역 국민기초생활자를 중심으로" 17 : 85-125, 2002

      30 김주성, "라이프스타일이 노후준비도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15 (15): 97-119, 2010

      31 허준수, "도시노인의 여가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2 (22): 227-247, 2002

      32 김은경, "농촌 여성노인의 문제 및 복지정책을 위한 제언" 16 : 175-191, 2002

      33 한정란, "농촌 남녀 노인의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자아존중감이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26) : 91-118, 2004

      34 오현숙, "노인의 특성적 요인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3

      35 조추용, "노인의 여가활용과 사회참여에 관한 연구" 91-95, 2003

      36 김규엽, "노인의 여가활동이 생활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여가활동 활성화 실시 경로당과 미실시 경로당의 비교연구"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06

      37 최인근, "노인의 여가 활동 유형에 따른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2008

      38 김수봉, "노인의 생활만족도 개선을 위한 사회정책의 방향" 한국노인복지학회 (47) : 95-112, 2010

      39 김동배, "노인의 과거 노후 준비정도와 준비유형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 한국노인복지학회 (58) : 325-352, 2012

      40 이규은, "노인의 건강상태, 여가 만족 및 외로움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 19 (19): 483-492, 2012

      41 안경숙, "노인부부가구·노인독신가구의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5 (25): 1-20, 2005

      42 김기태, "노인복지실천론" 양서원 2002

      43 권중돈, "노인복지론" 학지사 2009

      44 배숙경, "노인복지관과 경로당의 이용이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비교연구" 성공회대학교 시민사회복지대학원 2002

      45 박혜성, "노인가계의 경제적 스트레스, 대처행동 및 심리적 복지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46 박영숙, "노인 교육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21 : 99-121, 2003

      47 정명숙, "노년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한국노인복지학회 (37) : 249-274, 2007

      48 김태현, "노년기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Ⅱ)" 19 (19): 61-81, 1998

      49 박기남, "노년기 삶의 만족도의 성별 차이" 한국노년학회 24 (24): 13-29, 2004

      50 "국제협력개발기구"

      51 "국민연금공단"

      52 권혁창, "국민연금 수급이 고령자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3 (43): 61-85, 2012

      53 이용우, "국가 간 비교분석을 통한 한국 노인빈곤 심각성의 원인에 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48) : 291-318, 2014

      54 홍세희,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쓰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55 이정화, "광주․전남 중년층의 노년기 인식과 신체적, 경제적, 사회적 노후준비: 성차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 (20): 275-289, 2009

      56 하춘광, "공적연금수급노인과 일반노인의 삶의 만족도 관련요인 비교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3 (23): 1-21, 2007

      57 통계청, "고령자통계자료"

      58 이승신, "고령자의 노후준비에 따른 삶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 한국소비문화학회 15 (15): 43-61, 2012

      59 방하남, "강요된 선택 : 생애 주된 일자리에서의 퇴직과 재취업의 동학분석" 한국사회학회 45 (45): 73-108, 2011

      60 牧野 篤, "高齢者教育の課題と老人大学のあり方に関する一考察-福祉と教育のはざまで-" 3 : 19-38, 2007

      61 김교성, "‘활동적 노화’에 관한 다차원적 측정과 국가간 비교"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1 (41): 1-32, 2014

      62 Clark, R. L., "the economics of individual and population ag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0

      63 Tinsley, H., "the Relationship of Age, Gender, Health and Economic Status to the Psychological Benefits Older Report from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9 : 53-65, 1987

      64 Burkhauser, R., "Social Security Reform: A Budget Neutral Approach to Reducing Older Women’s Disproportionate Risk of Poverty" Syracuse University Center for Policy Research (2) : 1994

      65 Gu, Q., "Self-Employment Among Older Workers: Assistance Programs, Liquidity Constraints and Employment Patterns" Pardee Rand Graduate School 2009

      66 Adams, G. A., "Putting Off Tomorrow to do What You Want to Today: Planning for Retirement" 66 (66): 180-192, 2011

      67 Leonard, R., "Policy and Practices Relating to the Active Engagement of Older People in the Community- a Comparison of Sweden and Australia" 17 (17): 37-45, 2008

      68 Gauthier, A. H., "Patterns of Time Use of People Age 55 to 64 Years Old: Some Cross-National Comparisons" 1-31, 2000

      69 Gauthier, A. H., "Historical Trends in the Patterns of Time Use of Older Adults" Springer Press 2001

      70 Searle, M. S., "Examining the Long Term Effects of Leisure Education on a Sense of Independ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the elderly" 30 (30): 331-340, 1998

      71 Rank, M. R., "Estimating the Proportion of Americans ever Experiencing Poverty during their Elderly Years" 54 (54): 184-193, 1999

      72 Noone, J., "Do Men and Women Differ in Their Retirement Planning? Testing a Theoretical Model of Gendered Pathways to Retirement Preparation" 32 (32): 715-738, 2010

      73 Riddick, C., "An Examination of the Life Satisfaction and Importance of Leisure in the Lives of Older Female Retirees- a Comparison of Blacks to Whites" 26 (26): 75-80, 1994

      74 Quadagno, J., "Aging and the Life Course: An Introduction to Social Gerontology" McGraw-Hill Companies 2005

      75 McGuire, F., "A Factor Analytic Study of Leisure Constraints in Advanced Adulthood" 3 : 313-326, 1984

      76 보건복지부, "2014년 노인실태조사" 2015

      77 우종필, "(우종필 교수의)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Amos 4.0-20.0 공용" 한나래 아카데미출판사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5-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경기개발연구원 -> 경기연구원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유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3 0.83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82 1.233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