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외국인 학부생 대상 대학 글쓰기 과목의 교재 개발을 위한 교수요목 설계 방안 연구 = A Study on Design of Syllabuses to Develop College Writing Textbooks for Foreign Undergraduate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외국인 학부생 대상 대학 글쓰기 과목의 교재 개발을 위한 교수요목의 설계 방안을 제안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교수요목을 제시하였다. 언어 교수접근법과 교수요목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외국인 학부생 대상 글쓰기 교육을 위한 교수요목은 주제와 기능이 중심이 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습자 요구분석을 통해 외국인 학부생들의 요구를 파악하였다. 요구 분석 결과에 따르면 외국인 학부생들은 대학 글쓰기 교재를 통해 대학 수업에서 접하게 될 주제와 기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받고 싶어 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검토와 학습자의 요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재 개발을 위한 교수요목 설계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재를 `내용편`과 `기능편`으로 나누어 구성하고자 하였다. 먼저 `내용편`은 사실적 이해, 추론적 이해, 비판적 이해, 창의적 이해를 목표로 정하였다. 이들 목표 중 수준별로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을 선정하여 내용 안에서 달성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의 영역에서 각 수준에 맞는 세부주제와 목표를 설정하였다. `기능편`은 쓰기 지식의 범주를 언어 지식, 맥락지식, 과정지식, 내용 지식으로 구분하였다. 이에 각 수준별로 중점적으로 다루어야 할 쓰기 지식을 내용으로 선정하여 단원을 구성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외국인 학부생 대상 대학 글쓰기 과목의 교재 개발을 위한 교수요목의 설계 방안을 제안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교수요목을 제시하였다. 언어 교수접근법과 교수요목에 대한 이...

      본 연구는 외국인 학부생 대상 대학 글쓰기 과목의 교재 개발을 위한 교수요목의 설계 방안을 제안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교수요목을 제시하였다. 언어 교수접근법과 교수요목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외국인 학부생 대상 글쓰기 교육을 위한 교수요목은 주제와 기능이 중심이 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습자 요구분석을 통해 외국인 학부생들의 요구를 파악하였다. 요구 분석 결과에 따르면 외국인 학부생들은 대학 글쓰기 교재를 통해 대학 수업에서 접하게 될 주제와 기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받고 싶어 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검토와 학습자의 요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재 개발을 위한 교수요목 설계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재를 `내용편`과 `기능편`으로 나누어 구성하고자 하였다. 먼저 `내용편`은 사실적 이해, 추론적 이해, 비판적 이해, 창의적 이해를 목표로 정하였다. 이들 목표 중 수준별로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을 선정하여 내용 안에서 달성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의 영역에서 각 수준에 맞는 세부주제와 목표를 설정하였다. `기능편`은 쓰기 지식의 범주를 언어 지식, 맥락지식, 과정지식, 내용 지식으로 구분하였다. 이에 각 수준별로 중점적으로 다루어야 할 쓰기 지식을 내용으로 선정하여 단원을 구성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lans for design of syllabuses to develop college writing textbooks for foreign undergraduates. Syllabuses for writing education for foreign undergraduates should be concentrated on their subjects and functions through a theoretical study on teaching approaches and syllabuses. In addition, demands of foreign undergraduates have been found by analysis of leaners` demand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demands indicates foreign undergraduates` desires for college writing textbooks to help them understand topics and functions in their college lectures. Therefore, in this study, plans for design of syllabuses to develop college textbooks have been suggested based on theoretical reviews and the result of analysis of learners` demands. In this study, textbooks are divided into two parts `Content Part` and `Function Part`. First of all, the purpose of the `Content Part` is for factual understanding, inferential understanding, critical understanding and creative understanding. The contents encompass humanities, social science and natural science depending on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In the `Function Part`, categories of knowledge are divided into four parts language knowledge, context knowledge, process knowledge and content knowledge. The contents of the `Function Part` also encompass writing functions depending on level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lans for design of syllabuses to develop college writing textbooks for foreign undergraduates. Syllabuses for writing education for foreign undergraduates should be concentrated on their subjects and function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lans for design of syllabuses to develop college writing textbooks for foreign undergraduates. Syllabuses for writing education for foreign undergraduates should be concentrated on their subjects and functions through a theoretical study on teaching approaches and syllabuses. In addition, demands of foreign undergraduates have been found by analysis of leaners` demand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demands indicates foreign undergraduates` desires for college writing textbooks to help them understand topics and functions in their college lectures. Therefore, in this study, plans for design of syllabuses to develop college textbooks have been suggested based on theoretical reviews and the result of analysis of learners` demands. In this study, textbooks are divided into two parts `Content Part` and `Function Part`. First of all, the purpose of the `Content Part` is for factual understanding, inferential understanding, critical understanding and creative understanding. The contents encompass humanities, social science and natural science depending on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In the `Function Part`, categories of knowledge are divided into four parts language knowledge, context knowledge, process knowledge and content knowledge. The contents of the `Function Part` also encompass writing functions depending on level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재욱, "한국어교수법" 형설출판사 2010

      2 김정숙, "한국어 읽기· 쓰기 교재 개발 방안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5 (15): 1-21, 2004

      3 강현화, "한국어 이해교육론" 형설출판사 2016

      4 이금희, "학문목적 한국어 글쓰기 교육에 필요한교수요목과 교재 개발 방향" 반교어문학회 (33) : 191-225, 2012

      5 장미정,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지식 연구" 고려대학교 2016

      6 김현진, "학문 목적 교재에서의 효율적인 읽기 전략 훈련 방법 연구"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5 (5): 101-128, 2009

      7 김정숙, "통합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수요목 설계 방안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4 (14): 5-144, 2003

      8 이유경, "외국인 학부생 대상 대학 글쓰기 과목의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7 (27): 155-188, 2016

      9 김경훤,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집중학습 과정― 성균관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8 (8): 169-196, 2014

      10 김영숙, "영어과 교육; 이론과 실제" 한국문화사 1999

      1 김재욱, "한국어교수법" 형설출판사 2010

      2 김정숙, "한국어 읽기· 쓰기 교재 개발 방안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5 (15): 1-21, 2004

      3 강현화, "한국어 이해교육론" 형설출판사 2016

      4 이금희, "학문목적 한국어 글쓰기 교육에 필요한교수요목과 교재 개발 방향" 반교어문학회 (33) : 191-225, 2012

      5 장미정,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지식 연구" 고려대학교 2016

      6 김현진, "학문 목적 교재에서의 효율적인 읽기 전략 훈련 방법 연구"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5 (5): 101-128, 2009

      7 김정숙, "통합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수요목 설계 방안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4 (14): 5-144, 2003

      8 이유경, "외국인 학부생 대상 대학 글쓰기 과목의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7 (27): 155-188, 2016

      9 김경훤,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집중학습 과정― 성균관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8 (8): 169-196, 2014

      10 김영숙, "영어과 교육; 이론과 실제" 한국문화사 1999

      11 최연희, "영어 읽기 교육론; 원리와 적용" 한국문화사 2006

      12 Council of Europe, "언어 학습 교수 평가를위한 유럽공통참조기준" 한국문화사 2010

      13 Tribble, C, "쓰기" 범문사 2003

      14 최은지, "사회적 구성주의에 기반한 학문 목적 한국어 작문 교육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15 원만희,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학술적 글쓰기의 매체론적 배경과 교육 모형고찰" 한국교양교육학회 331-347, 2014

      16 정희모, "대학글 쓰기의 교육 목표와 글쓰기 교재" 1 (1): 41-68, 2010

      17 정희모, "대학 글쓰기 교재의 분석 및 평가 준거 연구" 국어국문학회 0 (0): 243-277, 2008

      18 허재영, "대학 글쓰기 교과의 운영 방식과 교재 개발 실태" 한말연구학회 (25) : 345-376, 2009

      19 배동준, "국어능력시험의 현황과 발전 방안" 국립국어원 19 (19): 61-80, 2009

      20 최미숙, "국어 교육의 이해" 사회평론아카데미 2016

      21 박석준, "국내 대학의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 현황 분석 -입학 후 과정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9 (19): 169-200, 2008

      22 Spivey, N. N., "구성주의와 읽기·쓰기; 읽기·쓰기·의미 구성의 이론" 박이정 2004

      23 Applebee, A. N., "What Writers know: the language, process, and structure of written discourse" Academic Press 1982

      24 Snow, M. A., "Handbook of Research in Second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05

      25 Brinton, D. M., "Content-based secondlanguage instruction" Heinle& Heinl 1989

      26 Richards, J. C., "Approaches and Methods in Language Teaching" Cambridge 2001

      27 Ur, P., "A Course in Language Teach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6 1.16 0.9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82 1.779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