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우울의 관계:자기비난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depression of university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riticism and self-compass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986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riticism and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depression. A total of 331 university students were asked to complete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hown as follows. First, covert narcissism, self-criticism, self-compassion and depression all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m. Second, covert narcissism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and self-criticism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depression. Third, self-compassion also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depression. This research will support the developing of intervention program for people who were suffering in covert narcissism.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riticism and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depression. A total of 331 university students were asked to complete questionnaires. The results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riticism and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depression. A total of 331 university students were asked to complete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hown as follows. First, covert narcissism, self-criticism, self-compassion and depression all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m. Second, covert narcissism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and self-criticism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depression. Third, self-compassion also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depression. This research will support the developing of intervention program for people who were suffering in covert narcissism.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비난과 자기자비의매개효과가 나타나는지를 검증하였다. 서울 및 수도권의 331명의 대학생(남학생134명, 여학생197명)을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와 자기비난, 자기자비, 우울은 모두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고 있었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높을수록 우울수준이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자기비난은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우울과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자비 역시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우울과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고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내현적 자기애와 우울의 관계를 확인하고 자기비난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검증함으로써, 내현적 자기애 성향 내담자들의 상담적 개입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학문적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비난과 자기자비의매개효과가 나타나는지를 검증하였다. 서울 및 수도권의 331명의 대학생(남학생134명,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비난과 자기자비의매개효과가 나타나는지를 검증하였다. 서울 및 수도권의 331명의 대학생(남학생134명, 여학생197명)을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와 자기비난, 자기자비, 우울은 모두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고 있었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높을수록 우울수준이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자기비난은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우울과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자비 역시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우울과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고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내현적 자기애와 우울의 관계를 확인하고 자기비난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검증함으로써, 내현적 자기애 성향 내담자들의 상담적 개입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학문적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곽현주, "한국 대학생의 우울 관련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청소년학회 20 (20): 75-98, 2013

      2 이선경, "한국 대학생들의 나르시시즘 증가: 시교차적 메타분석(1999-2014)" 한국심리학회 33 (33): 609-625, 2014

      3 전겸구, "통합적 한국판 CES-D 개발" 6 (6): 59-76, 2001

      4 강진옥, "청소년의 내·외현적자기애와 자기개념명료성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5 이강애, "청소년기의 내·외현적 자기애와 우울의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7

      6 권희영, "중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우울과의 관계 : 자기비난과 수치심의 매개효과"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0

      7 한수정, "자기애적 성격 성향자의 외현적·내현적 자기관련 인지특성"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9

      8 권석만, "자기애성 성격장애" 학지사 2000

      9 유연화, "자기 자비, 생활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증상들의 관계"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10 (10): 43-59, 2010

      10 조용래, "자기 자비, 생활 스트레스 및 탈중심화가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효과: 매개중재모형" 한국임상심리학회 30 (30): 767-787, 2011

      1 곽현주, "한국 대학생의 우울 관련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청소년학회 20 (20): 75-98, 2013

      2 이선경, "한국 대학생들의 나르시시즘 증가: 시교차적 메타분석(1999-2014)" 한국심리학회 33 (33): 609-625, 2014

      3 전겸구, "통합적 한국판 CES-D 개발" 6 (6): 59-76, 2001

      4 강진옥, "청소년의 내·외현적자기애와 자기개념명료성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5 이강애, "청소년기의 내·외현적 자기애와 우울의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7

      6 권희영, "중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우울과의 관계 : 자기비난과 수치심의 매개효과"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0

      7 한수정, "자기애적 성격 성향자의 외현적·내현적 자기관련 인지특성"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9

      8 권석만, "자기애성 성격장애" 학지사 2000

      9 유연화, "자기 자비, 생활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증상들의 관계"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10 (10): 43-59, 2010

      10 조용래, "자기 자비, 생활 스트레스 및 탈중심화가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효과: 매개중재모형" 한국임상심리학회 30 (30): 767-787, 2011

      11 이주연, "인지삼제와 아동의 우울, 불안 간의 관계"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9 (9): 49-63, 2009

      12 曺載任, "우울의 두 차원에 관한 연구"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7

      13 박세란, "외현적·내현적 자기애의 자기평가와 정서 특성" 한국임상심리학회 24 (24): 255-266, 2005

      14 서영석, "상담심리 연구에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검증: 개념적 구분 및 자료 분석 시 고려 사항" 한국상담심리학회 22 (22): 1147-1168, 2010

      15 안희정,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아동과 청소년의 죄책감, 수치심 및 자기비난에 미치는 영향 :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2

      16 조이정, "대학생의 부모화 및 과보호 경험, 내현적자기애, 진로미결정 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17 김효정,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우울 간의 관계 : 분노억제와 자기비난의 매개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1

      18 손은경,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료성의 매개 효과"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2 (12): 153-162, 2014

      19 홍서윤,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1 (21): 73-95, 2014

      20 노명선, "대학생들의 우울장애에 관현 연구 : 유병율, 위험요인, 자살행동 및 기능장애"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5 (45): 432-437, 2006

      21 이준득, "내현적/외현적 자기애 성향자의 자기개념 명료성과 부정적 정서특성" 한국임상심리학회 26 (26): 463-477, 2007

      22 이문선, "내현적 자기애와 완벽주의의 관계에서 수치심과 자기비난의 매개효과"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23 고종숙, "내현적 자기애와 대인관계문제 : 자기자비와 내면화된 수치심의 이중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상담심리대학원 2016

      24 권은미, "내현적 자기애가 사회공포증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28 (28): 627-642, 2009

      25 강선희, "내현적 자기애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14 (14): 705-723, 2002

      26 Wink, P., "Two faces of narcissism" 61 (61): 590-597, 1991

      27 김경의, "The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elf-Compassion Scale" Korean Health Psychological Association 13 (13): 1023-1044, 2008

      28 Kohut, H., "The restoration of the self Madison"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Inc 1977

      29 김영윤, "The relation among narcissistic personality, depression, and psychopathy: Focus on gender differences" The Korean Society for Woman Psychology 16 (16): 97-113, 2011

      30 Dimitris, A., "The narcissism of depression or the depression of narcissism and adolescence" 33 (33): 345-362, 2007

      31 Rose, P., "The happy and unhappy faces of narcissism" 33 (33): 379-391, 2002

      32 cho-hyun-ju, "The effects of perceived stress and self 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criticism and depression" Korean Health Psychological Association 16 (16): 49-62, 2011

      33 Bandalos, D. L., "The effects of item parceling on goodness-of-fit and parameter estimate bia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9 (9): 78-102, 2002

      34 Fresco, D. M., "The effect of a negative mood priming challenge on dysfunctional attitudes, explanatory style, and explanatory flexibility" 45 (45): 167-183, 2006

      35 Lasch, C., "The culture of narcissism" 44 (44): 426-466, 1980

      36 Kim, Hee-Ju, "The Effects of Narcissism on Passive Stress Coping: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Korean Counseling Association (NRFK) 19 (19): 337-353, 2018

      37 Radloff, L. S., "The CES-D scale :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1 (1): 385-401, 1977

      38 Kohut, H., "The Analysis of the Self" International 1971

      39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 science" Lawrance Eribaum Association 1988

      40 Dunkley, D. M., "Self-critical and personal standards factors of perfectionism located within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40 (40): 409-420, 2006

      41 Leary, M. R., "Self-compassion and reactions to unpleasant self-relevant events : the implications of treating oneself kindly" 92 (92): 887-904, 2007

      42 Neff, K. D., "Self-compassion : An alternative conceptualization of a healthy attitude toward oneself" 2 (2): 85-101, 2003

      43 김유미, "Self-Criticism and Depression in University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nal Entrapment and Rumination." Korean Health Psychological Association 22 (22): 1055-1074, 2017

      44 Aalsm a, M, C., "Personal fables, narcissism, and adolescent adjustment" 43 (43): 481-491, 2006

      45 Akhtar, S., "Overview,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139 (139): 12-20, 1982

      46 Kohut, H., "Forms and transformations of narcissism" 14 (14): 243-272, 1966

      47 MacBeth, A., "Exploring compassion : A meta-analysis of the association between self-compassion and psychopathology" 32 (32): 545-552, 2012

      48 Ronningstam, E. F., "Evidence and experience in psychiatry: Volume & personality disorders" Wiley 277-327, 2005

      49 Kernberg, O. F., "Disorders of narcissism:Diagnostic, clinical, and empirical implications"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9-51, 1998

      50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80

      51 Powers, T. A., "Covert and overt expressions of self-criticism and perfectionism and their relation to depression" 18 (18): 61-72, 2004

      52 Lakdawalla, Z., "Cognitive theories of depre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A conceptual and quantitative review" 10 (10): 1-24, 2007

      53 Hendin, H. M., "Assessing hypersensitive narcissism : A reexamination of Murray's narcissism scale" 31 (31): 588-599, 1997

      54 Russell, D. W., "Analyzing data from experimental studies : A latent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45 (45): 18-29, 1998

      55 Pine, D. S., "Adolescent depressive symptoms as predictors of adult depression: Moodiness or mood disorder?" 156 (156): 133-138,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