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학교 밖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자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Self-Resilience and Social Capital of Out-of-School Adolescents on Suicide Ide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9584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out-of-school adolescent self-resilience and social capital on suicide ideation. To date, out-of school adolescent have been increased every year and this phenomenon has a lot of potential to develop into personal and social problems. In response, many policies have been made, targeting the increasing out-of-school adolescent and about 200 out-of-school support centers have been installed in the country and provided services for out-of-school adolescent. We investigated "if there is any difference between the corresponding out-of-school adolescent self-resilience and social capital and adolescent suicide ideation" and "if they affect the adolescent suicide ideation".
      As a result, first, according to the survey contents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it was shown that female adolescent think about suicide more than male adolescent in terms of the difference about suicide ideation. Second, in terms of the correlation between self-resilience and social capital, and out-of-school adolescent suicide ideation, gender, vitality, optimism, and social capital showed the significant correlation. Third, in terms of the control variables and suicide ideation, the gender factor had a negative effect. In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vitality and optimism showed negative effects, while curiosity showed a positive effect. According to the results above,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and effects of out-of-school adolescent self-resilience and social capital on suicide ideation. Therefore, when developing suicide prevention programs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s of the differences between female and male adolescent, the development of gender perspective program is required.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various activity programs such as sports activities and field works, both of which can increase the sense of accomplishment, is required to increase the vitality and optimism. Moreover, taking into account the result that curiosity affects suicide ideation, it is considered that supervising to control the curiosity in accordance with impulsive behavior and a proper guidance are necessary. Accordingly, proper control of the safety rules and dangerous behaviors is needed. Furthermore, the activities of the participation committee that encourage the participation of adolescent should be supported and helped to maintain in order to increase the social capital. Therefore, the political support for all the activities stated above and substantial support for operation with internal stability of the currently established out-of-school support centers should be carried out.
      This study will provide not only an opportunity to change the perspective on out-of-school adolescent as having some trouble but also perspective on both individual and social problems. Accordingly, we hope that political support,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programs, and potential for support for out-of-school adolescent who lack interests and are in trouble are available through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번역하기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out-of-school adolescent self-resilience and social capital on suicide ideation. To date, out-of school adolescent have been increased every year and this phenomenon has a lot of potential to develop into persona...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out-of-school adolescent self-resilience and social capital on suicide ideation. To date, out-of school adolescent have been increased every year and this phenomenon has a lot of potential to develop into personal and social problems. In response, many policies have been made, targeting the increasing out-of-school adolescent and about 200 out-of-school support centers have been installed in the country and provided services for out-of-school adolescent. We investigated "if there is any difference between the corresponding out-of-school adolescent self-resilience and social capital and adolescent suicide ideation" and "if they affect the adolescent suicide ideation".
      As a result, first, according to the survey contents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it was shown that female adolescent think about suicide more than male adolescent in terms of the difference about suicide ideation. Second, in terms of the correlation between self-resilience and social capital, and out-of-school adolescent suicide ideation, gender, vitality, optimism, and social capital showed the significant correlation. Third, in terms of the control variables and suicide ideation, the gender factor had a negative effect. In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vitality and optimism showed negative effects, while curiosity showed a positive effect. According to the results above,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and effects of out-of-school adolescent self-resilience and social capital on suicide ideation. Therefore, when developing suicide prevention programs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s of the differences between female and male adolescent, the development of gender perspective program is required.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various activity programs such as sports activities and field works, both of which can increase the sense of accomplishment, is required to increase the vitality and optimism. Moreover, taking into account the result that curiosity affects suicide ideation, it is considered that supervising to control the curiosity in accordance with impulsive behavior and a proper guidance are necessary. Accordingly, proper control of the safety rules and dangerous behaviors is needed. Furthermore, the activities of the participation committee that encourage the participation of adolescent should be supported and helped to maintain in order to increase the social capital. Therefore, the political support for all the activities stated above and substantial support for operation with internal stability of the currently established out-of-school support centers should be carried out.
      This study will provide not only an opportunity to change the perspective on out-of-school adolescent as having some trouble but also perspective on both individual and social problems. Accordingly, we hope that political support,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programs, and potential for support for out-of-school adolescent who lack interests and are in trouble are available through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학교 밖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자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현재까지 학교 밖 청소년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이는 개인적, 사회적 문제로 발전할 수 있는 많은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증대되는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많은 정책들이 만들어지고 있으며 학교 밖 지원센터도 200여개소가 전국에 설치되어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해당하는 학교 밖 청소년들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자본이 청소년들의 자살생각과 ‘차이가 있는지’,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해보았다. 그 결과로는 첫째, 일반적 특성에서 조사된 내용에 따르면 자살생각에 대한 차이는 남자와 여자 중 여자청소년이 더 많은 자살생각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대한 자아탄력성과 사회적자본의 상관관계에서는 성별, 활력성, 낙관성, 사회적자본이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통제변수들과 자살생각에 대해서는 성별요인이 부적이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계적 회귀분석에서는 활력성과 낙관성이 부적인 영향을 나타냈으며 호기심은 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위 결과에 따르면 학교 밖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자본에서 자살생각에 미치는 차이와 영향이 있다. 이에 여자청소년과 남자청소년의 차이가 나타난 결과에 따라 자살예방프로그램의 개발 시 성인지적프로그램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활력성과 낙관성을 증가할 수 있도록 성취감을 높일 수 있는 스포츠활동이나 체험활동등 다양한 활동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호기심이 자살생각과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충동행동에 따른 호기심을 통제하기 위한 감독이 필요하며 올바른 지도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안전수칙이나 위험한 행동에 대한 올바른 통제가 필요하다. 또한, 사회적자본을 증가시키기 위해 청소년들의 참여를 권장하는 참여위원회등의 활동들을 지지해주며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이에 위 모든 활동들을 잘 진행하기 위한 정책적지원과 현재 구축된 학교 밖 지원센터의 내실있는 운영을 하기 위해 실질적인 지원을 해야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재까지 문제가 있는 청소년으로 바라보는 학교 밖 청소년들에 대한 시각을 변화시킬 계기가 될 수 있으며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적문제에 대해서도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로 학교에 비해 관심이 부족하고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교 밖 청소년들에게 특성에 맞는 정책적 지원과 실효성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의 가능성이 열릴 수 있기를 바란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학교 밖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자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현재까지 학교 밖 청소년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이는 개인적, 사회적 ...

      본 연구에서는 학교 밖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자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현재까지 학교 밖 청소년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이는 개인적, 사회적 문제로 발전할 수 있는 많은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증대되는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많은 정책들이 만들어지고 있으며 학교 밖 지원센터도 200여개소가 전국에 설치되어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해당하는 학교 밖 청소년들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자본이 청소년들의 자살생각과 ‘차이가 있는지’,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해보았다. 그 결과로는 첫째, 일반적 특성에서 조사된 내용에 따르면 자살생각에 대한 차이는 남자와 여자 중 여자청소년이 더 많은 자살생각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대한 자아탄력성과 사회적자본의 상관관계에서는 성별, 활력성, 낙관성, 사회적자본이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통제변수들과 자살생각에 대해서는 성별요인이 부적이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계적 회귀분석에서는 활력성과 낙관성이 부적인 영향을 나타냈으며 호기심은 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위 결과에 따르면 학교 밖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자본에서 자살생각에 미치는 차이와 영향이 있다. 이에 여자청소년과 남자청소년의 차이가 나타난 결과에 따라 자살예방프로그램의 개발 시 성인지적프로그램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활력성과 낙관성을 증가할 수 있도록 성취감을 높일 수 있는 스포츠활동이나 체험활동등 다양한 활동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호기심이 자살생각과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충동행동에 따른 호기심을 통제하기 위한 감독이 필요하며 올바른 지도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안전수칙이나 위험한 행동에 대한 올바른 통제가 필요하다. 또한, 사회적자본을 증가시키기 위해 청소년들의 참여를 권장하는 참여위원회등의 활동들을 지지해주며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이에 위 모든 활동들을 잘 진행하기 위한 정책적지원과 현재 구축된 학교 밖 지원센터의 내실있는 운영을 하기 위해 실질적인 지원을 해야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재까지 문제가 있는 청소년으로 바라보는 학교 밖 청소년들에 대한 시각을 변화시킬 계기가 될 수 있으며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적문제에 대해서도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로 학교에 비해 관심이 부족하고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교 밖 청소년들에게 특성에 맞는 정책적 지원과 실효성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의 가능성이 열릴 수 있기를 바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문제 6
      • Ⅱ. 이론적 배경 7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문제 6
      • Ⅱ. 이론적 배경 7
      • 1. 학교 밖 청소년 7
      • 1) 학교 밖 청소년의 개념 7
      • 2) 학교 밖 청소년의 실태 9
      • 2. 자아탄력성 13
      • 1) 자아탄력성의 개념 13
      • 3. 사회적 자본 20
      • 1) 사회적 자본의 개념 20
      • 2) 청소년의 지역사회자본 24
      • 4. 자살생각 26
      • 1) 자살 26
      • 2) 청소년자살실태 29
      • 5. 선행연구동향 31
      • 1) 자아탄력성과 자살생각간의 관계 31
      • 2) 사회적자본과 자살생각간의 관계 35
      • Ⅲ. 연구방법 39
      • 1. 연구모형 39
      • 2.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39
      • 3. 조사도구 40
      • 1) 종속변수 : 자살생각 40
      • 2) 독립변수 : 자아탄력성 40
      • 3) 독립변수 : 사회적 자본 41
      • 4) 통제변수 : 성별 42
      • 5) 자료의 처리 및 분석 43
      • Ⅳ. 연구 결과 44
      • 1. 학교 밖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 44
      • 2, 주요변인의 기술통계 45
      • 3, 성별에 따른 자아탄력성, 사회적자본과 자살생각의 차이 46
      • 4, 학교 밖 청소년의 자살생각, 자아탄력성과 사회적자본의 상관관계 47
      • 5, 자아탄력성, 사회적자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49
      • Ⅴ. 논의 및 결론 51
      • 1. 논의 51
      • 2. 결론 및 제언 56
      • ※ 참고문헌 61
      • ※ ABSTRACT 75
      • ※ 부록-설문지 7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