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그림책에 나타난 공감 장면 분석 = Analysis of scene of empathy appeared in children’s picture boo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801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ople who share the empathy expressed in picture books and their behavior characteristics. For this purpose, 60 children’s picture books including scenes of empathy were selected as 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ople who share the empathy expressed in picture books and their behavior characteristics. For this purpose, 60 children’s picture books including scenes of empathy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through websites related to picture books and large bookstores, and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previous research,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ople who share empathy and their behavior characteristics were performed. As a result, the relationships of the empathic characters were in the order of animal and other relationships, neighbor relationships, family relationships, friendship, teacher and young children relationship. This suggests that modern society demands children to expand scope of empathy from family or neighbors to all other life forms.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empathic characters appeared in the order of helping, expressing emotional interests, comforting, expressing personal pain, expressing similar feelings, empathic anger. It suggests that modern society is oriented toward more active empathy accompanied by ac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use of picture books for empathy education, as it examines the range of targets for whom empathic feeling is felt and the image of empathy that modern society demands fo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그림책에 나타난 공감을 나누는 인물들 간의 관계와 공감을 하는 인물의 행동특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그림책 관련 웹사이트와 대형 서점을 통해 공감 장면...

      본 연구는 그림책에 나타난 공감을 나누는 인물들 간의 관계와 공감을 하는 인물의 행동특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그림책 관련 웹사이트와 대형 서점을 통해 공감 장면이 포함된 그림책 60권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양적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공감을 나누는 인물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공감을 하는 인물의 행동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공감을 나누는 인물들의 관계는 동물 및 기타관계, 이웃관계, 가족관계, 친구관계, 교사와 유아의 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대 사회가 유아들에게 공감의 대상을 가족이나 이웃관계부터 모든 생명체까지 그 범위를 확장해가도록 요구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공감을 하는 인물의 행동특성은 도움행동, 공감적 관심 표현, 위로행동, 개인적 고통의 표현, 유사감정 표현, 공감적 분노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대 사회가 행위가 수반된 보다 적극적인 공감의 모습을 지향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현대 사회가 유아들에게 요구하는 공감 대상의 범위와 공감의 모습이 어떠한지 살펴본 것으로써 공감교육을 위해 그림책을 활용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은진, "환상동화와 사실동화에 대한 유아의 반응 비교 연구" 19 (19): 169-182, 1998

      2 이지성, "타인의 고통, 연민을 넘어 공감으로" 대동철학회 (63) : 81-102, 2013

      3 박소윤, "창작 그림책에 묘사된 아버지 인물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6 (36): 107-126, 2016

      4 최효인, "인지적 및 정서적 공감과 도움행동" 가톨릭대학교 심리상담대학원 2004

      5 조현주, "인성동화를 활용한 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공감능력과 배려행동에 미치는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6 장미선, "유아의 공감에 관련된 변인 연구" 대한가정학회 42 (42): 53-66, 2004

      7 이상금, "유아문학론" 교문사 2001

      8 이세나, "유아를 위한 친사회적 프로그램이 유아의 우정개념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21 (21): 147-156, 2000

      9 고경희, "유아교사를 위한 공감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10 정미라, "영유아기 핵심역량 표준설정을 위한 기초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7

      1 강은진, "환상동화와 사실동화에 대한 유아의 반응 비교 연구" 19 (19): 169-182, 1998

      2 이지성, "타인의 고통, 연민을 넘어 공감으로" 대동철학회 (63) : 81-102, 2013

      3 박소윤, "창작 그림책에 묘사된 아버지 인물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6 (36): 107-126, 2016

      4 최효인, "인지적 및 정서적 공감과 도움행동" 가톨릭대학교 심리상담대학원 2004

      5 조현주, "인성동화를 활용한 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공감능력과 배려행동에 미치는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6 장미선, "유아의 공감에 관련된 변인 연구" 대한가정학회 42 (42): 53-66, 2004

      7 이상금, "유아문학론" 교문사 2001

      8 이세나, "유아를 위한 친사회적 프로그램이 유아의 우정개념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21 (21): 147-156, 2000

      9 고경희, "유아교사를 위한 공감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10 정미라, "영유아기 핵심역량 표준설정을 위한 기초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7

      11 문승미, "어머니의 정서적 공감과 유아의 문제행동 및 정서조절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6

      12 박지영, "어린이 그림책을 위한 주제명표 개발 연구: 『A to Zoo』를 바탕으로" 한국정보관리학회 29 (29): 251-271, 2012

      13 권영주, "아버지의 공감능력 증진 및 유아기 자녀의 행동문제 개선을 위한 부모놀이치료(Filial therapy)의 효과" 남서울대학교 디지털정보대학원 2006

      14 서지영, "아버지-어머니의 공감능력 증진 및 유아기 자녀의 행동문제 개선을 위한 부모놀이치료(Filial Therapy)의 효과" 남서울대학교 디지털정보대학원 2007

      15 김경숙, "아동의 공감 및 친사회적 행동 증진을 위한 동화상담 프로그램 구안"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6 황혜정, "아동과 환경" 학지사 2005

      17 김정석, "스토리텔링 기법을 통한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공감 교육 프로그램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8 김지현, "부모의 애착 안정성 및 청소년의 공감능력과 친구 간 갈등 해결 전략 간의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19 박치범, "문학교육에서의 공감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5

      20 김영미, "문학과 공감 능력: 심리학으로 들여다 본 문학의 사회적·교육적 가치"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22 (22): 5-28, 2018

      21 김진석, "동물의 권리와 복지" 건국대학교출판부 2005

      22 이동옥, "동물의 고통과 보살핌에 관한 연구: 태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연구소 11 (11): 133-165, 2011

      23 Waal, F. B. M. De, "내 안의 유인원" 김영사 2005

      24 정하나, "극화놀이를 통한 유아공감능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

      25 문지영, "극화놀이를 중심으로 한 공감교육이 유아의 마음이론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26 이미상, "그림책을 활용한 표상활동이 유아의 공감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영향" 대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27 최선경, "그림책을 활용한 인성 프로그램이 유아의 공감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6

      28 변윤희,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및 유아 창의성 루브릭 개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4

      29 권민정, "그림책을 활용한 공감활동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및 배려행동에 미치는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30 구이선, "그림책을 활용한 공감교육활동이 유아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31 조수연, "그림책을 활용한 공감교육이 유아의 공감능력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32 김정섭, "그림책을 활용한 공감 기반 인성교육 활동이 유아의 정서조절 및 배려 행동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7

      33 장문희, "그림책을 활용한 공감 교육 활동이 유아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34 최지선, "그림책을 활용한 갈등상황 토의활동이 유아의 공감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35 현은자, "그림책에서 의인화된 동물 등장인물에 대한 유아의 반응" 5 (5): 31-61, 2004

      36 서정숙, "그림책에 나타난 이웃의 특성"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5 (15): 53-77, 2014

      37 유연일, "그림책에 나타난 사회적 관계에서의 요구전략과 대응전략 : 부모-자녀 관계, 형제 관계, 또래관계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7

      38 유지안, "그림책에 나타난 로봇 등장인물 특성 연구"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9 (19): 23-47, 2018

      39 현은자, "그림책에 나타난 독서 행위와 그 의미 -인물 분석을 중심으로-" 동화와번역연구소 (16) : 365-386, 2008

      40 김현경, "그림책에 나타난 곰의 이미지 연구" 7 (7): 1-39, 2006

      41 김선영, "그림책에 나타난 가족형태 및 가족관계 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4

      42 김정아, "그림책에 기초한 감정코칭중심의 공감교육활동이 유아의 공감능력, 정서지능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2018

      43 장혜미, "그림책에 그려진 성인 등장인물에 대한 연구" 한국아동학회 29 (29): 15-26, 2008

      44 학교도서관 저널 「그림책 365」 선정위원회, "그림책 365. 2 : 주제별로 매일 한 권씩2010년대 좋은 그림책" 학교도서관 저널 2016

      45 학교도서관 저널 「그림책 365」 선정위원회, "그림책 365 : 주제별로 매일 한 권씩2000년대 좋은 그림책" 학교도서관 저널 2010

      46 박성희, "공감학-어제와 오늘" 학지사 2004

      47 Howe, D., "공감의 힘" sprtjtm 2013

      48 신경일, "공감의 인지적, 정서적 요소 및 표현적 요소간의 관계" 29 : 1-37, 1994

      49 김태호, "공감의 인지적 요소로서 서사적 사고와 공감 교육의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415-1429, 2019

      50 Rifkin, J., "공감의 시대" 민음사 2010

      51 Gordon, M., "공감의 뿌리" 샨티 2010

      52 박성희, "공감의 구성요소와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 연구" 34 (34): 143-166, 1996

      53 우지연, "공감교육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배려적 사고 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54 Hoffman, M. L., "공감과 도덕발달 :배려와 정의를 위한 함의들" 철학과 현실사 2011

      55 박성희, "공감 교육에 대한 개관 연구 :1970년 이후 영어로 출판된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41 (41): 499-518, 2003

      56 박성희, "공감" 학지사 2009

      57 Borba, M., "건강한 사회인, 존경받는 리더로 키우는 도덕지능" 한언 2004

      58 이윤희, "가족 건강성이 유아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성의교정 221-, 2009

      59 이인경, "‘호모 엠파티쿠스(Homo empathicus)’를 찾다-공감 담론에 기초한 인성교육 시론" 한국교양교육학회 8 (8): 311-342, 2014

      60 김은주,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의 유치원 적용을 위한 기초연구" 과학교육연구소 50 (50): 119-135, 2011

      61 Eisenberg, S., "Using video simulation of counseling for training counselors" 17 (17): 15-19, 1970

      62 Foster, S., "Using historical empathy to excite student about the study of history: Can you emphasize with Neville Chamberlain?" 90 (90): 18-24, 1999

      63 Selman, R. L., "The growth of interpersonal understanding: Developmental and clinical analyses" New York Academic Press 1980

      64 Eisenberg, N., "The caring child" Harvard University Press 1992

      65 Decety, T., "The Functional Architecture of Human Empathy" 3 (3): 71-100, 2004

      66 Gorrell, N., "Teaching empathy through ecphrastic poetry: Entering of curriculum of peace" 89 (89): 32-41, 2000

      67 Miller, H., "Teaching and learning about cultural diversity : A dose of empathy" 54 (54): 380-381, 2000

      68 Feshbach, N., "Studies of empathic behavior in children" 8 : 1-47, 1978

      69 Rogers, C. R., "Psychology: A study of a science Vol Ⅲ : Formulations lf the person and the social context" Mcgraw Hill 184-256, 1959

      70 Bell, I., "Parental validation as a mediator in adolescent development" 1982

      71 Hoffman, M. L., "Measuring emotions in infants and childre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2

      72 Egan, G., "Interpersonal living" Brooks-Cole 1976

      73 Bar-Tal, D., "Further evidence regarding the sequential development of helping behavior" 180-592, 1979

      74 Sichkedanz, J., "Fostering empathy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이화여자대학교 201-222, 2013

      75 Aspy, D. N., "Empathy: Let’s get the hell on with it" 5 (5): 10-14, 1975

      76 Erera, P., "Empathy training for helping professionals : Model and evaluation" 33 (33): 245-260, 1997

      77 Toranzo, N. C., "Empathy Development : A critical classroom tool" 98 (98): 107-126, 1996

      78 Davis, M. H., "Empathy : A social psychological approach" WestviewPress 1994

      79 Donovan, J., "Ecofeminism: Women, Animals. Nature" Temple University 1993

      80 Cress, S. W., "Developing empathy throw children’s literature" 120 (120): 593-579, 2000

      81 Sutherland, Z., "Children and books" Donnelley & Sons 199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72 2.72 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74 2.67 3.087 0.5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