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부 대학생의 라이프스타일 및 외모관리행동에 관한 조사 –경상북도 농어촌 지역을 중심으로 - = A Research on the Lifestyles and Behavioral Management of Appearance in University Students - Focused on Rural Areas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170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lifestyles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of students at universities in rural communities, who pursue new ideas and value individuality and collect basic data that could help establish a definit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behavior regarding managing their appearance; for this purpose,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performed from May to June 2018 and a total of 617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and analyzed, with the exception of incomplete ones and those having insincere answers. The items in the questionnaire concerned general characteristics, lifestyles,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based on principal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 correlation matrix to validate the lifestyle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inventories; Cronbach’s α was estimated to determine reliability of the inventories.
      As for the differences in lifestyles b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fashion sensitivity, pursuit of information, and levels of frugality differed significantly by grade: seniors were more sensitive to fashion and were more likely to pursue information than freshmen, sophomores, and even juniors. Those studying humanities and in education majors were more likely to pursue information than those in science, engineering, medicine, and health courses. The respondents having more than 500,000 won and those having 310,000 to 500,000 won were more sensitive to fashion than those having ≤300,000 won; those having ≤300,000 won were more likely to pursue frugal purchases than those having more than 500,000 won and those having 310,000 to 500,000 won. The respondents investing more than 200,000 won and those investing 110,000 to 200,000 won were more sensitive to fashion than those investing 60,000 to 100,000 won and those investing ≤50,000 won; those investing 110,000 to 200,000 won, those investing more than 200,000 won, and those investing 60,000 to 100,000 won were more likely to pursue recognized brands than those investing ≤50,000 won; and those investing ≤50,000 won were more likely to pursue frugal purchases than those investing 110,000 to 200,000 won and those investing more than 200,000 won.
      As for the variation i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by general characteristics, appearance management in general, external self-esteem, following trends, and additional appearance management differed significantly by gender: women were more likely to prioritize appearance management in general, following trends, and additional appearance management than men and men tended to have higher external self-esteem than women. Seniors were more likely to manage their appearance in general more than juniors and freshmen, and sophomores were likewise more likely than freshmen; juniors, seniors, and freshmen had higher external self-esteem than sophomores; and seniors were more likely to pursue a trend than freshmen. Teaching and humanities courses were more likely to follow appearance management in general than those in science, engineering, medicine, and health courses; humanities and teaching/education courses were more likely to make additional appearance management than those enrolled in science, engineering, medicine, and health course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make a plan for providing enterprises with useful information about consumer behaviors through research on the variation i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by lifestyle in university students so that the association between lifestyle and behavior regarding appearance management can be defin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lifestyles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of students at universities in rural communities, who pursue new ideas and value individuality and collect basic data that could help estab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lifestyles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of students at universities in rural communities, who pursue new ideas and value individuality and collect basic data that could help establish a definit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behavior regarding managing their appearance; for this purpose,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performed from May to June 2018 and a total of 617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and analyzed, with the exception of incomplete ones and those having insincere answers. The items in the questionnaire concerned general characteristics, lifestyles,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based on principal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 correlation matrix to validate the lifestyle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inventories; Cronbach’s α was estimated to determine reliability of the inventories.
      As for the differences in lifestyles b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fashion sensitivity, pursuit of information, and levels of frugality differed significantly by grade: seniors were more sensitive to fashion and were more likely to pursue information than freshmen, sophomores, and even juniors. Those studying humanities and in education majors were more likely to pursue information than those in science, engineering, medicine, and health courses. The respondents having more than 500,000 won and those having 310,000 to 500,000 won were more sensitive to fashion than those having ≤300,000 won; those having ≤300,000 won were more likely to pursue frugal purchases than those having more than 500,000 won and those having 310,000 to 500,000 won. The respondents investing more than 200,000 won and those investing 110,000 to 200,000 won were more sensitive to fashion than those investing 60,000 to 100,000 won and those investing ≤50,000 won; those investing 110,000 to 200,000 won, those investing more than 200,000 won, and those investing 60,000 to 100,000 won were more likely to pursue recognized brands than those investing ≤50,000 won; and those investing ≤50,000 won were more likely to pursue frugal purchases than those investing 110,000 to 200,000 won and those investing more than 200,000 won.
      As for the variation i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by general characteristics, appearance management in general, external self-esteem, following trends, and additional appearance management differed significantly by gender: women were more likely to prioritize appearance management in general, following trends, and additional appearance management than men and men tended to have higher external self-esteem than women. Seniors were more likely to manage their appearance in general more than juniors and freshmen, and sophomores were likewise more likely than freshmen; juniors, seniors, and freshmen had higher external self-esteem than sophomores; and seniors were more likely to pursue a trend than freshmen. Teaching and humanities courses were more likely to follow appearance management in general than those in science, engineering, medicine, and health courses; humanities and teaching/education courses were more likely to make additional appearance management than those enrolled in science, engineering, medicine, and health course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make a plan for providing enterprises with useful information about consumer behaviors through research on the variation i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by lifestyle in university students so that the association between lifestyle and behavior regarding appearance management can be defin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새로운 것을 추구하고 개성과 이미지를 중요시하는 일부 농어촌 지역에 소재한 대학교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다양한 라이프스타일 유형과 외모관리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고, 확고한 관계가 정립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수집하고자 2018년 5월부터 6월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작성이 미완성되거나 응답이 불분명한 자료를 제외한 총 617부의 설문지를 회수, 분석하였다. 설문 문항은 일반적 특성, 라이프스타일, 외모관리행동으로 구성하였다. 라이프스타일과 외모관리행동 측정 도구의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행렬을 이용, 주축인자법을 이용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측정 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Cronbach’s α 방법을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라이프스타일 차이에서 학년은 패션 민감형, 정보 추구형, 알뜰구매 추구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패션 민감형과 정보 추구형은 4학년이 1학년보다 높았고, 정보 추구형은 4학년이 3학년과 1학년보다 높았다. 전공계열에서는 정보 추구형에서 인문계열과 사범계열이 이공/의학/보건계열보다 높았다. 패션 민감형에서는 50만원 이상과 31~50만원이 30만원 이하보다 높았고, 알뜰구매 추구형은 30만원 이하가 50만원 이상과 31~50만원 보다 높았다. 투자비용에서 패션 민감형은 20만원 이상과 11~20만원이 6~10만원과 5만원 이하보다 높았고, 상표 추구형은 11∼20만원, 20만원 이상, 6~10만원이 5만원 이하보다 높았고, 알뜰구매 추구형은 5만원 이하가 11~20만원과 20만원 이상보다 높았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외모관리행동 차이에서 성별은 총체적 외모관리와 외적 자존감, 유행추구, 부가적 외모관리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총체적 외모관리와 유행추구, 부가적 외모관리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높았고, 외적 자존감은 남자가 여자보다 높았다. 총체적 외모관리는 4학년이 3학년과 1학년보다 높았고, 2학년이 1학년보다 높았고, 외적 자존감은 3학년, 4학년, 1학년이 2학년보다 높았으며, 유행추구는 4학년이 1학년보다 높았다. 총체적 외모관리는 사범계열과 인문계열이 이공/의학/보건계열보다 높았고, 부가적 외모관리는 인문계열과 사범계열이 이공/의학/보건계열보다 높았다.
      이상의 결과 라이프스타일과 외모관리행동 간의 관계가 정립될 수 있도록 대학생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외모관리행동의 차이를 알아보는 연구를 통해 소비행동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모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새로운 것을 추구하고 개성과 이미지를 중요시하는 일부 농어촌 지역에 소재한 대학교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다양한 라이프스타일 유형과 외모관리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고, 확고...

      본 연구는 새로운 것을 추구하고 개성과 이미지를 중요시하는 일부 농어촌 지역에 소재한 대학교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다양한 라이프스타일 유형과 외모관리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고, 확고한 관계가 정립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수집하고자 2018년 5월부터 6월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작성이 미완성되거나 응답이 불분명한 자료를 제외한 총 617부의 설문지를 회수, 분석하였다. 설문 문항은 일반적 특성, 라이프스타일, 외모관리행동으로 구성하였다. 라이프스타일과 외모관리행동 측정 도구의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행렬을 이용, 주축인자법을 이용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측정 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Cronbach’s α 방법을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라이프스타일 차이에서 학년은 패션 민감형, 정보 추구형, 알뜰구매 추구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패션 민감형과 정보 추구형은 4학년이 1학년보다 높았고, 정보 추구형은 4학년이 3학년과 1학년보다 높았다. 전공계열에서는 정보 추구형에서 인문계열과 사범계열이 이공/의학/보건계열보다 높았다. 패션 민감형에서는 50만원 이상과 31~50만원이 30만원 이하보다 높았고, 알뜰구매 추구형은 30만원 이하가 50만원 이상과 31~50만원 보다 높았다. 투자비용에서 패션 민감형은 20만원 이상과 11~20만원이 6~10만원과 5만원 이하보다 높았고, 상표 추구형은 11∼20만원, 20만원 이상, 6~10만원이 5만원 이하보다 높았고, 알뜰구매 추구형은 5만원 이하가 11~20만원과 20만원 이상보다 높았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외모관리행동 차이에서 성별은 총체적 외모관리와 외적 자존감, 유행추구, 부가적 외모관리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총체적 외모관리와 유행추구, 부가적 외모관리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높았고, 외적 자존감은 남자가 여자보다 높았다. 총체적 외모관리는 4학년이 3학년과 1학년보다 높았고, 2학년이 1학년보다 높았고, 외적 자존감은 3학년, 4학년, 1학년이 2학년보다 높았으며, 유행추구는 4학년이 1학년보다 높았다. 총체적 외모관리는 사범계열과 인문계열이 이공/의학/보건계열보다 높았고, 부가적 외모관리는 인문계열과 사범계열이 이공/의학/보건계열보다 높았다.
      이상의 결과 라이프스타일과 외모관리행동 간의 관계가 정립될 수 있도록 대학생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외모관리행동의 차이를 알아보는 연구를 통해 소비행동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모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명희, "청소년의 외모관련행동과 라이프스타일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 27 (27): 1101-1111, 2003

      2 이진영, "중학생의 자아개념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3 임혜원, "일부 여대생의 피부건강관리에 대한 지식,태도 및 행위에 관한 조사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9

      4 이미숙, "외모의 사회적 유용성이 여자 청소년의 신체만족도와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상디자인학회 14 (14): 163-177, 2012

      5 황윤정,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자아존중감, 신체매력 지각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7

      6 김은혜, "외모관리동기가 몸매관리행동과 자기만족도에 미치는영향" 한국예술교육학회 15 (15): 89-108, 2017

      7 박옥련, "여성의 라이프스타일 집단에 따른 외모관심도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 18 (18): 1257-1266, 2009

      8 박주현, "여성의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외모관리행동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0

      9 권우영, "여성 고객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외모관리 동기와 퍼머넌트 메이크업 행동 연구" 대한미용학회 8 (8): 201-210, 2012

      10 이혜진, "여대생의 유행 선도력에 따른 헤어 태도에 관한 연구"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1

      1 이명희, "청소년의 외모관련행동과 라이프스타일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 27 (27): 1101-1111, 2003

      2 이진영, "중학생의 자아개념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3 임혜원, "일부 여대생의 피부건강관리에 대한 지식,태도 및 행위에 관한 조사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9

      4 이미숙, "외모의 사회적 유용성이 여자 청소년의 신체만족도와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상디자인학회 14 (14): 163-177, 2012

      5 황윤정,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자아존중감, 신체매력 지각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7

      6 김은혜, "외모관리동기가 몸매관리행동과 자기만족도에 미치는영향" 한국예술교육학회 15 (15): 89-108, 2017

      7 박옥련, "여성의 라이프스타일 집단에 따른 외모관심도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 18 (18): 1257-1266, 2009

      8 박주현, "여성의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외모관리행동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0

      9 권우영, "여성 고객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외모관리 동기와 퍼머넌트 메이크업 행동 연구" 대한미용학회 8 (8): 201-210, 2012

      10 이혜진, "여대생의 유행 선도력에 따른 헤어 태도에 관한 연구"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1

      11 김은주, "여대생의 외모관리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12 윤소영, "여대생의 외모관리에 대한 의식 및 태도 연구 : 헤어, 피부, 화장, 미용성형을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사회문화대학원 2007

      13 강백니, "여대생들의 라이프스타일 유형 및 의복관여도에 따른 구매행동 연구 : 한·중 여대생들의 비교를 중심으로" 동명대학교 대학원 2012

      14 장지선, "여고생의 패션 라이프스타일 유형과 스타마케팅의 속성이 의복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5 홍수남, "미혼남성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이 뷰티행동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초조형학회 14 (14): 439-447, 2013

      16 소지혜, "무용전공대학생의 신체적자기지각이 무용자신감과 무용능력성취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7 박광희, "라이프스타일 집단별 외모관리행동과 삶의 만족도의 차이분석" 한국의류산업학회 15 (15): 554-564, 2013

      18 김미정,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TV 뷰티프로그램 시청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5

      19 이래광,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소비자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 중ㆍ고생의 가방제품 구매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0

      20 황은희,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브랜드 충성도와 신용카드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11

      21 김주하, "대학생의 행동유형과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가 피부미용 관심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미용학회 14 (14): 351-358, 2018

      22 김영란, "대학생의 외모향상에 관한 태도연구" 한국미용학회 13 (13): 397-403, 2007

      23 김주연, "대학생의 외모관심도가 이미지메이킹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용학회 18 (18): 892-900, 2012

      24 임성은, "대학생의 외모 인식도와 외모관리행동에 관한 연구"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7

      25 김혜영, "대학생의 신체의식, 신체존중감, 외모관리행동, 대인관계유능성, 주관적행복감의 관련성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7

      26 강남순, "대학생의 신체만족도가 외모관리행동 및 미용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피부과학연구원 9 (9): 1-18, 2011

      27 이호배, "대학생의 신용카드 사용이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경영연구소 28 : 193-213, 2003

      28 한동조, "대학생들의 메이크업과 미용성형에 대한 외모관리 행동 연구" 한국미용학회 14 (14): 622-632, 2008

      29 김홍성, "대학생들의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인터넷 광고 이용 행태에 관한 연구 : 인터넷 광고의 메시지 소구 행태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01

      30 안채리, "남자대학교의 신체이미지와 자아존중감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11

      31 김창현, "남성의 패션라이프스타일 유형별 외모관심도와 외모관리행동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1

      32 이제성, "남녀대학생의 외모관리행동에 관한 소비감정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 19 (19): 712-722, 2017

      33 박진영, "남녀 대학생의 헤어관리 인식과 행동 및 지출비용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7 (27): 63-76, 2009

      34 박현주, "과시소비성향에 따른 패션과 뷰티관여도" 한국의류학회 35 (35): 77-88, 2011

      35 박슬기, "Z세대 여성의 쇼핑성향, 의복소비가치와 구매의사결정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36 이연정, "N세대의 인터넷 패션상품 정보탐색과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37 신정희, "N세대의 라이프스타일과 의복구매행동"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1

      38 박수현, "A-Land 패션 편집매장 유통채널에 따른 소비자 라이프스타일과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39 서현수, "30-40대 여성의 라이프스타일과 의복구매행동"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40 이순화, "30-40대 남성들의 패션 라이프스타일 요인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자기감시성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2

      41 송민혜, "20대 미혼여성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착용 패션스타일의 선호도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42 권승빈, "20대 대학생의 신체만족도·신체관리태도와 피부미용태도와의 관련성 연구" 경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3 0.573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