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문초록
- Ⅰ. 해방기 ‘장미’의 세대론 : 김춘수와 박인환의 출현
- Ⅱ. 김춘수 초기시의 ‘장미’ : ‘이질적인 것’의 수용과 ‘전통적인 것’의 결합
- Ⅲ. 박인환 초기시의 ‘장미’ : ‘순수’의 부정과 ‘참다운 시 정신’의 추구
- Ⅳ. 해방기 ‘장미’의 저항성과 현대성 : 결론을 대신하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478369
2015
Korean
해방기 ; 김춘수 ; 박인환 ; 신인 ; 구름 ; 장미 ; 현대성 ; Liberation period ; Kim Chun-su ; Park In-hwan ; budding poet ; cloud ; rose ; modernity
KCI등재
학술저널
69-97(29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한숙, "현대한국문학사" 고려대학교출판부 1982
2 김용직, "해방기 한국 시문학사" 민음사 1989
3 엄동섭, "해방기 박인환의 문학적 변모 양상" 중앙어문학회 36 : 2007
4 심선옥, "해방기 경남지역 시단과 『날개』" 근대서지학회 (4) : 2011
5 최동호, "한국현대시사의 감각" 고려대학교출판부 2004
6 김윤식, "한국현대문학사" 현대문학 1994
7 백철, "한국전후문제시집" 신구문화사 1961
8 김윤식, "한국문학사" 민음사 1996
9 이승훈, "한국모더니즘시사" 문예출판사 2000
10 박연희, "한국 현대시의 형성과 자유주의 시학 : 전통과 자유 인식의 전개 양상을 중심으로" 동국대 2012
1 정한숙, "현대한국문학사" 고려대학교출판부 1982
2 김용직, "해방기 한국 시문학사" 민음사 1989
3 엄동섭, "해방기 박인환의 문학적 변모 양상" 중앙어문학회 36 : 2007
4 심선옥, "해방기 경남지역 시단과 『날개』" 근대서지학회 (4) : 2011
5 최동호, "한국현대시사의 감각" 고려대학교출판부 2004
6 김윤식, "한국현대문학사" 현대문학 1994
7 백철, "한국전후문제시집" 신구문화사 1961
8 김윤식, "한국문학사" 민음사 1996
9 이승훈, "한국모더니즘시사" 문예출판사 2000
10 박연희, "한국 현대시의 형성과 자유주의 시학 : 전통과 자유 인식의 전개 양상을 중심으로" 동국대 2012
11 홍성식, "한국 모더니즘 시의 스티븐 스펜더 수용"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13) : 265-288, 2005
12 김경린, "한국 모더니즘 시운동 대표 동인 시선" 앞선 책 1994
13 조향, "조향 전집 2-시론·산문" 열음사 1994
14 김준현, "전후 문학 장의 형성과 문예지" 고려대학교 2009
15 이봉범, "전후 문학 장의 재편과 잡지 『문학예술』" 상허학회 20 : 169-193, 2007
16 이봉범, "잡지 [문예]의 성격과 위상" 상허학회 17 : 196-227, 2006
17 김용하, "언어의 위기 극복과 미적 윤리성의 발견김춘수와 릴케의 시어 ‘꽃’과 ‘천사’를 중심으로" 한국어문학회 82 : 101-121, 2003
18 박민규, "신시론과 후반기 동인의 모더니즘 시 이념 형성 과정과 그 성격" 한국어문학회 (124) : 307-339, 2014
19 염철, "순수시선(純粹詩選)" 근대서지학회 5 : 2012
20 박인환, "새로운 도시와 시민들의 합창" 도시문화사 1949
21 염철, "새로운 『박인환 전집』의 기획과 진행 과정 : 시 전집에 한정하여" 근대서지학회 4 : 2011
22 김현, "상상력과 인간/시인을 찾아서" 문학과지성사 1991
23 조강석, "비화해적 가상으로서의 김수영과 김춘수 시학 연구" 연세대학교 2008
24 염철, "박인환의 최초 발표작 「斷層」에 대하여" 우리문학회 (40) : 525-548, 2013
25 맹문재, "박인환의 전기 시작품에 나타난 동아시아 인식 고찰"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2 (12): 243-267, 2008
26 맹문재, "박인환 전집" 실천문학사 2008
27 정영진, "박인환 시의 탈식민주의 연구" 상허학회 15 : 263-282, 2005
28 R. M. 릴케, "문학을 지망하는 청년에게-附릴케詩抄" 범조사 1956
29 이동순, "목마와 숙녀와 별과 사랑" 문학세계사 1986
30 김춘수, "꽃과 여우" 민음사 1997
31 배상식, "김춘수의 초기 詩에 내재된 ‘실존주의’에 관한 연구 ― M. 하이데거와 R. M. 릴케의 영향관계를 중심으로" 새한철학회 61 (61): 393-415, 2010
32 권온, "김춘수의 시와 산문에 출현하는 ‘천사’의 양상 - 릴케의 영향론 재고(再考)의 관점에서" 한국시학회 (26) : 117-150, 2009
33 조강석, "김춘수의 릴케 수용과 문학적 모색" 한국문학연구소 (46) : 213-240, 2014
34 이성희, "김춘수 초기시 연구 -해방직후 동인지 『낭만파』를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회 (32) : 515-540, 2010
35 신규호, "김춘수 시의 비애미 연구" 한국어문학회 (68) : 1999
36 김지녀, "김춘수 시에 나타난 주체와 타자의 관계 양상 연구" 고려대 2012
37 김춘수, "김춘수 시론전집 Ⅰ" 현대문학 2004
38 박민규, "解放期 詩論 硏究" 고려대학교 2013
39 맹문재, "『신시론』의 작품들에 나타난 모더니즘 성격 연구" 우리문학회 (35) : 207-236, 2012
40 정끝별, "‘신시론’ 동인의 모더니티와 은유" 한국어문교육연구회 1997
41 엄동섭, "‘新詩論’을 전후한 모더니즘 시운동의 흐름과 맥" 중앙어문학회 28 : 2000
42 한계전, "50년대 모더니즘 시의 가능성" 한국언어문화학회 13 : 1995
43 최예열, "1950년대 전후문학비평 자료" 월인 2005
44 이혜원, "1950년대 시인들" 나남출판 1994
45 송하춘, "1950년대 시인들" 나남출판 1994
46 송기한, "1950년대 문학연구" 예하 1991
47 곽명숙, "1950년대 모더니즘의 묵시록적 우울 - 박인환의 시를 중심으로 -" 한국학중앙연구원 32 (32): 59-79, 2009
48 한명희, "1950년대 모더니즘시의 서정성" 한국시학회 (16) : 25-47, 2006
49 曺永福, "1950년대 모더니즘 시에 있어서 `내적 체험'의 기호화 연구" 서울대학교 1992
50 조영복, "1950년대 모더니즘 문학 논의를 위한 비판적 검토" (37) : 1993
51 이봉범, "1950년대 등단제도 연구 - 신춘문예와 추천제를 중심으로 -" 한국문학연구소 (36) : 365-435, 2009
김광균 시에 나타나는 제작 의식과 창작 방법으로서의 공감각적 이미지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5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21-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5-26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시학연구외국어명 : The Korean Poetics Studies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7 | 0.67 | 0.7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4 | 0.71 | 1.366 | 0.11 |
스마트폰이 낳은 신인류 포노사피엔스
K-MOOC 성균관대학교 최재붕주관주의, 아이러니 그리고 현대성의 위기
COURSERA Jon Stewart, PhD, Dr theol & phil스마트폰이 낳은 신인류 포노사피엔스
K-MOOC 성균관대학교 최재붕Smart work in the Cloud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김소정Tradition and Modernity and Korean Political Philosophy
K-MOOC 성균관대학교 K학술확산연구센터 Bi hwan Kim, Yutang Jin, Ji young Moon, Sang bok Ha, Baldwin Wong, Kyung rok Kwon, Zhuoyao(Peter) Li, Sung moon Kim, Jun tae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