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선군시대어』, 채희원, 평양: 외국문출판사, , 2013
2. 『김정일위인상』, 허 담,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 중앙상임위원회, 동경: 조선신보사, , 1996
3. 『사계절꽃상식』, 강은별, 평양: 조선출판물수출입사, , 2016
4. 『인류의 대축전』, 한진국, 인문과학사, 평양: 인문과학사, , 1982
5. “단편소설: 념원.”, 탁숙본, 『조선문학』, 제6호, 문학예술출판사, , pp. 6~15, , 2014
6. “단편소설: 려명.”, 리웅수, 『조선문학』, 제1호, 문학예술출판사 , pp. 11~20., , 2016
7. 『인민의 령도자 1』, 오성길, 장은옥, 평양: 평양출판사, , 2014
8. 『김정일화와 세계』, 김택영, 평양: 공업출판사, , 2012
9. 『조선의 관혼상제』, 조대일, 사회과학,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 2004
10. 『조선의 국가 제사』, 신대철, 김문식, 한형주, 이현진, 이민주, 심재우, 한국학중앙연구원, 성남: 한국학중앙연구원, , 2009
11. “단편소설: 무지개.”, 서청송, 『조선문학』, 제7호, 문학예술출판사, , pp. 60~70, , 2014
12. 『김정일 리더십연구』, 정영철, 선인, 서울: 선인, , 2005
13. 『조선민족해방투쟁사』, 리나영, 조선 로동당,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 1958
14. 『단편소설집 불의 약속』, 정기종, 평양: 문학예술출판사, , 2014
15. 『조선민속가정생활풍습』, 동 식, 근로단체출판사, 평양: 근로단체출판사, , 2008
16. 편집. 『선군-김정일정치』, 탁성일, 평양: 외국문출판사, , 2012
17. 『김일성화와 세계(제2판)』, 김택영, 평양: 공업출판사, , 2012
18. 『조선말대사전(증보판) 3』, 문영호,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 2007
19. 『유교의례의 전통과 상징』, 김미영, 민속원, 서울: 민속원, , 2010
20. 『민족의태양 김일성장군 1』, 백 봉, 인문과학사, 평양: 인문과학사, , 1968
21. 『북한 문학의 역사적 이해』, 김재용, 문학과지성사, 서울: ㈜문학과 지성사, , 1994
22. 『새로 쓴 현대북한의 이해』, 이종석, 서울: 역사비평사, , 2000
23. 북한 혁명전통의 상징화 연구, 조은희, 한국사회학회,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 박 사학위논문, , 2007
24. 『백두산은 어데서나 보인다』, 송 영, 평양: 민주청년사, , 1956
25. 『북한의 산업화와 경제정책』, 김연철, 역사비평사, 서울: 역사비평사, , 2001
26. 『상징과 기호의 정치행정론』, 유영옥, 학문사, 서울: 학문사, , 1997
27. 엮음. 『북한체육자료해제집』, 이학래, 서울: 단국대학교출판부, , 2002
28. “러시아 보훈정책의 상징성.”, 유영옥, 한국보훈학회, 『한국보훈논총』, 제10권 제1 호, 한국보훈학회, , pp. 73~108, , 2011
29. 『김일성-김정일주의 연구입문』, 김현환, 평양: 평양출판사, , 2016
30. 『불세출의 위인을 따라 천만리』, 리을설, 금성청년출판사, 평양: 금성청년출판사, , 2015
31. “김정은 후계구축 논리와 징후.”, 고유환, 평화문제연구소, 『통일문제연구』, 제22권 1 호, 평화문제연구소, , pp. 93~122, , 2010
32. 『사회주의조선은 화목한 대가정』, 문정숙, 평양: 외국문출판사, , 2013
33. 『숭고한 인간적풍모를 지니시고』, 김성옥, 궁영숙, 근로단체출판사, 평양: 근로단체출판사, , 2010
34. “권력지배의 정당화와 국가의례.”, 오재환, 부산대학교 사회조사연구소, 『사회조사연구』, 제17권, 부산대학교 사회조사연구소, , pp. 49~70, , 2002
35. 『우리 민족의 전통적인 가정의례』, 장성남, 평양: 평양출판사, , 2016
36. 김정은 JPG(북한 이미지 정치 엿보기), 변영욱, 한울, 파주: 도서출판 한울, , 2015
37. “중국 정치 이데올로기 변화연구.”, 남종호,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국제지역연구』, 제13권 제1호,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 pp. 191~211, , 2009
38. 북조선 사회주의체제 성립사(1945-1961), 서동만, 선인, 서울: 선인, , 2005
39. 『귀신과 제사: 유교의 종교적 세계』, 금장태, 제이앤씨, 서울: 제이앤씨, , 2009
40. 『주체101년과 경애하는 김정은 동지』, 엄향심, 김지호, 김준혁, 최금옥, 평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국문출판사, 2013, , 2012
41. 『태양의 품에서 영생하는 녀성들(2)』, 조원희, 평양: 근로단체출판사, , 2015
42. 편저. 『저항, 연대의, 기억의 정치 2』, 김진균, 서울: 문화과학사, , 2003
43. “북한의 헌법상 국가기관체계 변화.”, 김갑식, 『북한연구학회보』, 제6 권 제2호, 북한연구학회, , pp. 65~85, , 2002
44. 『추모설화집: 백두산에 지동이 일다』, 김우경, 평양: 문학예술출판사, , 2012
45. 북한의 기억의 정치와 푸에블로호 호명, 이신재(Lee, Sinjae), 북한대학원대학교, 『현대북한연구』, 17 권 1호, 북한대학원대학교 북한미시연구소, , pp. 156~196, , 2014
46. 북한의 사상과 김일성-김정일주의 연구, 진희관 ( Hee Gwan Chin ),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학회 보』, 제18권 제2호, 북한연구학회, , pp. 1~25, , 2014
47. “尤庵 宋時烈의 禮訟의 特徵과 意味.”, 손흥철, 『儒學硏究』, 第26輯, 忠南大學校 留學硏究所 論文集, , pp. 57~79, , 2012
48. “김정은 시대의 애도와 구원의 코드.”, 이지순, 민족어문학회, 『어문논집』, 69권, 민 족어문학회, , pp. 327~354, , 2013
49. “북한의 주요 축제 기초조사와 해제.”, 한승대, 『남북역사학 기 초조사 연구결과 보고서』. 과천: 국사편찬위원회, 2014, , 2014
50. 「북한 갑산파 연구: 기원, 형성, 소멸」, 조우찬, 북한대학원대학교 정치 통일전공 박사학위논문, , 2016
51. 알박스(MauriceHalbwachs)의 기억사회학 연구, 김영범, 대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 구』, 제6집 제3호, 대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pp. 557~594, , 1999
52. 「제주4 3사건 기념의례의 형성과 구조」, 현혜경, 전남대학교 대학원, 전남대학교 사회학 과 박사학위논문, , 2008
53. “김일성체제와 정치신화에 관한 연구,”, 김경호, 한국시민윤리학회, 『한국시민윤리학회 보』, 제18집 2호, 한국시민윤리학회, , pp. 27~45, , 2005
54. “죽음의 정치학: 죽음의례를 중심으로.”, 송현동, 한국종교문화연구소, 『종교문화비평』, 9 권, 한국종교문화연구소, , pp. 128~165, , 2006
55. “한국의 국가기념일 성립에 관한 연구.”, 김민환, 일지사, 『한국학보』, 26권 2 호, 일지사, , pp. 129~161, , 2000
56. 「김정은 리더십 구축 과정에 관한 연구」, 정한얼, 동국대학교 북한학 과 박사학위논문, , 2016
57. 「북한의 사회주의 도덕경제와 마을체제」, 홍 민, 동국대학교 북한학 과 박사학위논문, , 2006
58. 「김일성 시기 북한의 대외문화교류 연구」, 모순영, 이화여자대학교 북 한학과 박사학위논문, , 2014
59. 조선노동당의 집단주의 생활문화 정착 시도, 김진환,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학 회보』, 제14권 제2호, 북한연구학회, , pp. 23~48, , 2010
60. “김일성 동지의 탄생 四十주년에 제하여.”, 박헌영, 『근로자』, 제4호, 평양: 로동신문사, , pp. 29~35, , 1952
61. 『글과 사진으로 보는 북한의 사회와 문화』, 전영선, 서울: 도서출판 경진, , 2016
62. “민속자료의 진위 문제와 레닌 숭배 현상.”, 김상현, 한국노어노문학회, 『노어노문학』, 제20권 제2호, 한국노어노문학회, , pp. 351~390, , 2008
63. 「스탈린 체제와 상징: 선전-선동의 아이콘」, 이완종,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아시아문화연 구』, 제19집, 경원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 pp. 185~217, , 2010
64. “북한 당대표자회와 김정은 후계체제 전망”, 김갑식, 제주평화연구원, 『JPI 정책포 럼』, -34, 제주평화연구원, 2010, pp. 1~19, , 2010
65. “정치적 의례의 의미와 효과: 미학적 접근.”, 김용환, 비교민속학회, 『비교민속학』, 제26집, 비교민속학회, , pp. 437~467, , 2004
66. 「김일성 통치에서 전통의 활용에 관한 연구」, 박광호, 서울대학교 외 교학과 박사학위논문, , 2003
67. 「김일성과 김정일의 우상화 정책 비교 연구」, 정민섭, 경남대학교 정 치외교학과 박사학위논문, , 2014
68. “1960년대 남북한 정부의 ‘인간개조’ 경쟁.”, 김성보, 『역사와실 학』, 제53집, 역사실학회, 2014, pp. 149~175, , 2014
69. “북한의 도시발달 연구: 평양시를 중심으로.”, 조성훈, 『국사관논총』, 제70집, 국사편찬위원회, , pp. 207~242, , 1996
70. “한국사회의 ‘근대화’와 의례문화의 변화.”, 오재환, 부산대학교 사회조사연구소, 『사회조사연 구』, 제16권, 부산대학교 사회조사연구소, , pp. 169~195, , 2001
71. 『북한 교육정책 동향 분석 및 서지 정보 구축』, 한승대, 강구섭, 김지수, 김은주, 김정원,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2014
72. 「『조선왕조실록』을 통해 본 왕의 위락 활동」, 강형민, 우석대학교 조경토목공학과 박사학위논문, , 2016
73. “대한제국기 ‘극장국가(theater state)’ 연구(1).”, 김기란, 한국문학언어학회, 『어문론 총』, 제51호, 한국문학언어학회, , pp. 399~432, , 2009
74. “북한 ‘사회주의 완전승리’의 개념사적 접근.”, 한승대, 『북한학연 구』, 제8권 제1호,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 , pp. 161~187, , 2012
75. “북한의 통치이념 ‘김일성-김정일주의’ 분석.”, 김창희,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한국정치연구』, 제22집 제3호,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 pp. 187~211, , 2013
76. “김정일 시대~2004) 북한 경제정책의 변화와 전망.”, 박순성, 『북 한연구학회보』, 제8권 제1호, 북한연구학회, 2004, pp. 57~76, , 1994
77. 엮음. 『혁명전설총서(백두광명성전설편): 북향문』, 김우경, 평양: 문학예 술출판사, , 2015
78. 『민족의 자랑 대집단체조와 예술공연 《아리랑》』, 김정남, 평양: 평양 출판사, , 2006
79. 『극장국가 북한:카리스마 권력은 어떻게 세습되는가』, 권헌익, 창비, 파주: ㈜창비, , 2013
80. 『북한의 군부: 북한을 움직이는 힘, 군부의 패권경쟁』, 이영훈, 파주: ㈜살림출판사, , 2012
81. 『조선로동당 연구: 지도사상과 구조변화를 중심으로』, 이종석, 서울: 역사비평사, , 1995
82. “우크라이나의 축일과 기념일: 국가건설의 측면에서.”, 홍석우,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동유럽연구』, 제21권,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 pp. 241~270, , 2008
83. 「기억의 정치 : 대량학살의 사회적 기억과 역사적 진실」, 권기숙, 문학과지성사, 서울: ㈜문학과 지성사, , 2006
84. 「북한의 군사국가화에 관한 연구: ∼60년대를 중심으로」, 김용현, 동국대학교 정치학과 박사학위논문, 2002, , 1950
85. “뒤르껭주의 문화사회학: 분류체계와 의례를 중심으로.”, 박선웅, 『한 국사회학』, 제32집 겨울호, 한국사회학회, , pp. 905~931, , 1998
86. 「김일성,김정일 ‘수령형상’ 과정에서 선전선동의 역할」, 이경직, 북 한대학원대학교 사회문화언론전공 박사학위논문, , 2014
87. “북한 아동문학의 기원: 초기 주도세력의 형성과 그 성격.”, 원종찬, 『아동 청소년문학연구』, 제10호,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pp. 109~142,
88. 『북한사회의 상징체계 연구: 혁명구호의 변화를 중심으로』, 이우영, 통일연구원, 서울: 통일연구원, , 2002
89. “조선 초기 국가의례와 왕권: 『국조오례의』를 중심으로.”, 임민혁, 『역사와 실학』, 제43집, 역사실학회, , pp. 45~82, , 2010
90. 『세종정책연구 -4: 북한군 최고사령관의 위상과 역할 연 구』, 정성장, 성남: 세종연구소, 2015, , 2015
91. 북한에서 '선군'의 등장과 선군사상이 갖는 함의에 관한 연구., 진희관, 한국국제정치학회, 『국제정치논총』, 제48집 1호, 한국국제정치학회, , pp. 375~403, , 2008
92. 엮음. 『혁명전설총서(금수산태양궁전전설편): 금수산의 학』, 김우경, 평 양: 문학예술출판사, , 2015
93. 『북한의 정치와 권력: 지배관계의 기원과 개념, 구조와 동태』, 박형중, 백산자료원, 서울: 도서출판 백산자료원, , 2002
94. “김일성 김정일의 상징정치: 구호와 상징조형물을 중심으로.”, 이승현,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한국과 국제정치』, 제28권 제2호,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 구소, , pp. 77~108, , 2012
95. “조선후기 禮訟의 철학적 함의: 17세기 喪服論爭을 중심으로.”, 이봉규, 『한 국학연구』, 제9집,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pp. 173~216, , 1998
96. 『조선로동당은 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의 당이다년 10월 2일)』, 김정일,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5, , 1995
97. 『죽은 자의 정치학: 프랑스 미국 한국 국립묘지 탄생과 진 화』, 하상복, 전주: 모티브북, , 2014
98. 기해예송을 통해 본 17세기 중반 조선지식관료들의 家와 國 관념, 손애리, 『한국학연구』, 제32집,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pp. 259~285, , 2010
99. “항쟁기억의 의례적 재현: ‘5월행사’와 전야제를 중심으로.”, 정근식,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민주주의와 인권』, 제5권 1호,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 pp. 5~33, , 2005
100. “김일성장군의 략전연구소조 결성모임에서 한 연설년 2월 10일).”, 김정일, 『김정일전집 1(1952. 7-1960. 8)』. 평양: 조선로동당 출판사, 2012, pp. 10~14, , 1953
101. “죽음의 문화정치학: 한국의 ‘장례’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강준만, 『한국언론학보』, 제54권 5호, 한국언론학회, , pp. 86~107, , 2010
102. “천리마운동과 국가주의의 신화: 년대 북한소설의 두 가지 양 상.”, 유임하, 『동악어문논집』, 제36집, 동악어문학회, 2000, pp. 617~635, , 1960
103. 리경호,유정철,한광진. 『위대한 령도자 김정 일동지 혁명력사교재』, 박순철, 김창환, 김주만, 황신률, 평양: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 2004
104. 엮음. 『혁명전설총서(금수산태양궁전전설편): 하늘이 정해준 성 지』, 김우경, 평양: 문학예술출판사, , 2013
105. 지음. 『꿈의 세계와 파국: 대중 유토피아의 소 멸』. 윤일성,김주영 역, 모스, 수잔, 부산: 경성대학교 출판부, , 2008
106. 『(세종연구소 세종정책총서 -4) 북한 권력의 역사: 사상,정 체성,구조』, 백학순, 파주: 도서출판 한울, 2010, , 2010
107. 도덕의 형성 및 유지에 있어서공동체의 역할에 관한 종교사회학적 연구, 이철, 한국의회발전연구회, 『기독교사회윤리』, 제33집, 한국기독교사회 윤리학회, 2015, pp. 107~138., , 2015
108. “레닌의 사상은 조선에서 승리하고 있다: 레닌 탄생 90주년을 맞으며.”, 김창만, 『로동신문』, 년 4월 16일, , 1960
109. “소비에트 정치포스터에 나타난 스탈린 개인숭배의 ‘정치문화사’.”, 황동하, 『이화사학연구』, 32권, 이화사학연구소, , pp. 239~261, , 2005
110. 「기억의 정치와 공간적 재현: 한국에서의 민주화 운동들을 중 심으로」, 정호기, 전남대학교 사회학과 박사학위논문, , 2002
111. 리일룡,김대원,홍춘국. 『금수산기념궁전방문록실화집(2) 영 원한 추억』, 김우경, 한웅빈, 평양: 문학예술출판사, , 2003
112. 리일룡,김종석,홍춘국. 『금수산기념궁전방문록실화 집(1) 세기의 매혹』, 김우경, 한웅빈, 박상준, 평양: 문학예술출판사, , 2002
113. 『혁명가들: 마르크스에서 시진핑까지, 세계 공산주의자들의 삶과 죽음』, 김학준, 문학과지성사, 서울: ㈜문학과 지성사, , 2013
114. “항일 빨찌산들의 회상기 중에서: 그이는 우리를 이렇게 믿어 주시였다.”, 백학림, 『로동신문』, 년 4월 15일, , 1960
115. 「관광의례화와 구매후 태도간의 관계 연구: 문화유산관광지를 중심으로」, 김재호,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경기대학교 여가관광개발학과 박사학위논문, , 2009
116. “항일 빨찌산 참가자들의 회상기 중에서: 공산당원의 영예를 지니기까지.”, 김성국, 『로동신문』, 년 4월 15일, , 1961
117. 『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의 조국통일 유훈을 철저히 관철하자 년 8월 4일)』, 김정일,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7, , 1997
118. “조선시대 유교의례의 사회적 기능과 상징적 의미: 조상제례를 중심 으로.”, 김미영, 『국학연구』, 제14집, 한국국학진흥원, , pp. 219~247, , 2009
119. 「예송논쟁과 정치권위의 재규정: 송시열과 윤휴의 예론 및 정 치사상 연구」, 조무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석사학위논문, , 2011
120. “북한 후계자 등장 관련 한국 언론의 보도 비교 연구: 년, 2009년을 중심으로.”, 김용현, 한승대, 『인문사회과학연구』, 제16권 제3호,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5, pp. 299~326, , 1974
121. “북한의 대집단체조예술공연 ‘아리랑 ’ 의 정치사회적,문화예 술적 의미.”, 전영선,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타, 『중소연구』, 26권 2호,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 구센터, , pp. 131~158, , 2002
122. “우크라이나, 러시아, 벨라루스의 축일과 국가건설: 전승기념일을 중심으로.”, 홍석우,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러시아연구소, 『슬라브연구』, 제31권 4호, 한국외국어대학 교 러시아연구소, , pp. 133~167, , 2015
123. 『사상사업을 앞세우는것은 사회주의위업수행의 필수적요구이다 년 6월 19일)』, 김정일,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5, , 1995
124. 란코프. 『평양의 지붕 밑: 소련 레닌그란드대 란코프교수의 북한 생활체험기』, 안드레이, 서울: 주식회사 연합통신, , 1991
125. 「바넷 뉴먼(Barnett Newman)의 〈부러진 오벨리스크〉- 기념비적 성격을 중심으로」, 박은영, 미술사학연구회, 『미술사학보』, 제28집, 미술사학연구 회, , pp. 93~119, , 2007
126. 리일룡,문상봉,박정애,민경숙. 『금수산기념궁전방문록실화집(3) 만 민의 태양』, 김우경, 평양: 문학예술출판사, , 2006
127. 북한의 가족 국가 체제의 형성: 국가와 가족 유교문화의 정치적 변용을 중심으로, 강진웅, 『통일문제연구』, 제13권 2호, 평화문 제연구소, , pp. 323~346, , 2001
128. “남북한의 국가 주도 발전 전략과 대중 동원: 새마을 운동과 천리마 운동 비교.”, 오유석, 한국사회과학연구소, 『동향과 전망』, 제64호, 한국사회과학 연구소, , pp. 185~220, , 2005
129. “북한의 국가기념일을 통한 정권의 정당성 강화: 혁명전통 기 념일을 중심으로.”, 조은희,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학회보』, 제11권 제2호, 북한 연구학회, , pp. 227~254, , 2007
130. “당세포를 강화하자: 전국당세포비서강습회 참가자들에게 보낸 서한년 5월 10일).”, 김정일, 『김정일선집 11(1991. 1-1991. 7)』.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7, pp. 81~118, , 1991
131. 『총서 ‘불멸의 력사’ 연구 1: 북한의 문화 정전, 총 서 ‘불멸의 력사’를 읽는다』, 강진호, 서울: 소명출판, , 2009
132. 엮고 옮김. 『뒤르케임주의 문화사회학: 이론과 방법론』. 박건,박 종서,류제철,정수남 역, 최종렬, 서울: ㈜이학사, , 2007
133. “신흥세력나라들과의 친선단결을 강화하자: 대외사업부문 일군 들과 한 담화년 5월 9일).”, 김정일, 『김정일선집 1(1964-196 9)』.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b, pp. 91~100, , 1965
134. “[북의 장례식 풍경] 가족장ㆍ기관장ㆍ국가장으로 나눠 거행: 남쪽과 크게 다르지 않은 모습.”, 이정화, 민족21, 『민족21』, 통권 제94호, ㈜민족21, , pp. 42~43, , 2009
135. “감사문: 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의 서거에 심심한 애도의 뜻을 표시하여준 전체 인민들에게.”, 김정일, 『로동신문』, 년 10월 29일, , 1994
136. “김정은 시대 지배이데올로기의 특징과 전망: ‘김일성주의’에서 ‘김일성-김정일주의’로.”, 김진환,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학회보』, 제17권 제2호, 북한연구학회, , pp. 29~56, , 2013
137. 『남북정상회담 이후 북한공연예술의 변화양상 연구: ‘대 집단체조와 예술공연’을 중심으로』, 박영정, 김채현, 박인배, 한국문화정책개발원, 서울: 한국문화정책개발원, , 2002
138. “영생하는 수령과 ‘그리움의 정치’: 김일성에 대한 집단적 기억과 유훈 전개과정을 중심으로.”, 김윤애, 『국제정치논총』, 제56 집 2호, 한국국제정치학회, , pp. 207~251, , 2016
139. 『사회주의는 과학이다: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기관지 《로동신문》 에 발표한 론문년 11월 1일)』, 김정일,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4, , 1994
140. “영화창작사업에서 나서는 몇가지 문제: 영화문학작가들과 연 출가들 앞에서 한 연설년 2월 12일).”, 김정일, 『김정일선집 2(1970-1972)』.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3, pp. 135~150, , 1971
141. “탈식민체제로서의 ‘우리식 사회주의’의 식민성: 수카르노와 네위 시기의 혁명노선을 중심으로.”, 박은홍, 『민주사회와 정책연 구』, 통권 28호, 민주사회정책연구원, 2015, pp. 310~339., , 2015
142. “17세기 복제예송이 18세기 복제 예론에 미친 영향: 예론의 지 역적 분립과 학파 내의 분화를 중심으로.”, 이원택, 한국국학진흥원, 『국학연구』, 제 13집, 한국국학진흥원, , pp. 59~95, , 2008
143. “주체사상에 대하여: 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 탄생 70돐기념 전 국주체사상토론회에 보낸 론문년 3월 31일).”, 김정일, 『김정일선 집 7(1981-1983)』.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6, pp. 143~216, , 1982
144. “러시아 국가 정체성의 역학관계 모델과 정치-문화 상징의 함의: 푸 틴 시대의 국가 정체성 재고를 위한 시론.”, 김상현,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국제지역연구』, 제 12권 제4호,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 pp. 23~65, , 2009
145. “감사문: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동지의 서거에 심심한 애도의 뜻을 표시하여준 전체 인민군장병들과 인민들에게.”, 김정은, 『로동 신문』, 년 3월 27일, , 2012
146. “대한제국기 극장국가(theater state) 연구(2): 스펙터클의 문화 사회학적 분석을 통한 문화적 퍼포먼스 고찰의 한 방법.”, 김기란, 『한국연극학』, 제40호, 한국연극학회, , pp. 125~162, , 2010
147. “수령님의 위대성을 남조선인민들에게 널리 선전할데 대하여: 조선 로동당 중앙위원회 일군들과 한 담화년 4월 27일).”, 김정일, 『김정 일선집 1(1964-1969)』.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a, pp. 81~90, , 1965
148. 『수산부문을 추켜세우고 수산업발전에서 새로운 전환을 일으키 자: 당, 국가경제기관 책임일군들과 한 담화년 2월 24 일)』, 김정은,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2015, , 2015
149. “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는 영원히 우리 인민과 함께 계신다: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책임일군들과 한 담화년 2월 11 일).”, 김정일, 『김정일선집 14(1995-1999)』. 평양: 조선로동당출판 사, 2000, pp. 145~148, , 1996
150. “수령님의 탄생 60돐을 민족최대의 명절로 맞이하기 위하여: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선전선동부 일군들과 한 담화년 10월 29일).”, 김정일, 『김정일선집 2(1970-1972)』. 평양: 조선로동당 출판사, 1993, pp. 364~375, , 1971
151. “전당이 동원되여 70일전투를 힘있게 벌리자: 당중앙위원회 및 정무원 책임일군들과 도당위원회 책임비서들의 협의회에서 한 연설.”, 김정일, 『김 정일선집 4』.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4, pp. 456~483, , 1974
152. 『위대한 수령님의 뜻을 받들어 내 나라, 내 조국을 더욱 부강 하게 하자: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책임일군들과 한 담화 년 12월 31일)』, 김정일,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9, , 1994
153. “위대한 수령님을 영원히 높이 모시고 수령님의 위업을 끝까지 완성하자: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책임일군들과 한 담화년 10월 16일).”, 김정일, 『김정일선집 13(1999.2-1994.12)』. 평양: 조 선로동당출판사, 1998, pp. 420~441, , 1994
154. “김일성화는 자주시대 인류의 마음속에 피여난 불멸의 꽃이다: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선전선동부 책임일군들과 한 담화 년 4월 6일).”, 김정일, 『김정일선집 22(2003.8-2006.11)』.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2013, pp. 295~296, , 2005
155. “문학예술작품창작에서 혁명적인 전환을 일으킬데 대하여: 조 선문학예술총동맹산하 창작가들의 사상투쟁회의에서 한 결론 년 9월 6일).”, 김정일, 『김정일선집 2(1970-1972)』. 평양: 조선 로동당출판사, 1993, pp. 432~460, , 1972
156. “혁명의 수도 평양을 더욱 웅장화려한 인민의 도시로 건설하 자: 조선로동당 평양시위원회, 건설부문 책임일군들과 한 담 화년 3월 18일).”, 김정일, 『김정일선집 5(1975-1977)』.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5, pp. 59~69, , 1975
157. 『위대한 김정일장군님을 영원히 높이 우러러모시고 장군님의 유 훈을 철저히 관철하자: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책임일군들과 한 담화년 12월 31일)』, 김정은, 제2판,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2013, , 2011
158. “위대한 김정일동지를 우리 당의 영원한 총비서로 높이 모시고 주체 혁명위업을 빛나게 완성해나가자: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책임일군 들과 한 담화년 4월 6일).”, 김정은, 『로동신문』, 2012년 4월 19일, ,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