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북한의 정치적 의례에 관한 연구 : 지도자 기념일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4468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analyze how political rituals have been used to secure and enhance political legitimacy of the supreme leaders Kim Il-sung, Kim Jong-il, Kim Jong-un in the D.P.RK.(North Korea). In particular, I will focus mainly on the supreme leader’s anniversary such as April 15th, Kim Il-sung’s birth day called the day of the sun, February 16th, Kim Jong-il’s birth day called the day of Kwangmyungsung, Kim Jong-un’s birth day, July 8th called the President Kim Il-sung Memorial day, December 17th called the President Kim Jong-il Memorial day.
      I assume that political rituals are ultimate propaganda festivals. Ritual performance includes a set of techniques to affect the identity and legitimacy to be away from individuality. At a first glance, the form and meaning are seen as autonomous to show their patriot, but are elaborate. As a set of legitimacy-affecting techniques, the elements of political rituals can be integrated into religious and secular settings. Therefore, I believe that political rites have played key roles in establishing legitimacy and leadership succession.
      Political rituals are not rational and desirable responses, but a most effective set of techniques to manipulate the pubic’s identity for the sake of loyalty. In fact, all otherness and distinctiveness, individual or otherwise, internal or external is the natural enemy of the ritual mode.
      The is structure of this dissertation is described below. In the third chapter, I examine the political rites of the Kim Il-sung era from 1952 through 1994. Until the mid-1960s, North Korea paid little attention to the political rites for Kim Il-sung, however, after the appearance of his son, Kim Jong-il, he tried to strengthen the rites for his father and to refer to its own approach as “socialism with North Korean characteristics”. The political rituals encompassed confucianism and familism of traditional Korea. In the mid-1970s, unlike his father, Kim Jong-il strengthened a set of new techniques to secure his own political legitimacy. As Kim Jong-il’s political leadership became powerful, he tried to create a symbolic territory for “us”.
      In the forth chapter, I analyze the political rites of the Kim Jong-il era from 1994 to 2011. The death of Kim Il-sung meant that North Korea and its supreme leadership, Kim Jong-il were confronted with crisis. Kim Jong-il officially started the work of the Cause of perpetuating memory of Kim Il-sung by designating the formal three-year mourning period for Kim Il-sung. In addition to that, he started to emphasis on Military-first politics through the Korean People’s Army(KPA). The political rites of this period can be integrated into socialist, Confucian, North Korea’distinct characteristics. Kim Jong-un appeared and Kim Jong-il began to prepare Kim Jong-un for succession to leadership in 2009.
      In the fifth chapter, I analyze the political rituals of the Kim Jong-un era from 2011 to 2016. Current North Korean leadership Kim Jong-un used his father’s funeral to stamp his own leadership on the public’s mind as North Korea’s next leader. He started to rule with behest of Kim Jong-il. The political rites of this period can be integrated into socialist, Confucian, North Korea’distinct characteristics, but the bottom line is that Kim Jong-un has emphasized on moral influence and treating the public respectfully. It would be reasonable to be expected to continue for a while.
      Obviously, the political rituals for the birth and death of the ex-North Korean Presidents played pivotal roles in strengthening political legitimacy. However, since North Korea suffers from its frail economy, excessive spendings for idolism and leakages of information on supreme leadership, the way of political rituals is needed to be change. As we know, one of the most urgent tasks of Kim Jong-un is to maintain the North Korean regime through various and onerous political rituals. In conclusion, the political rituals in North Korea would be a double-edged swor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analyze how political rituals have been used to secure and enhance political legitimacy of the supreme leaders Kim Il-sung, Kim Jong-il, Kim Jong-un in the D.P.RK.(North Korea). In particular, I will focus mainly...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analyze how political rituals have been used to secure and enhance political legitimacy of the supreme leaders Kim Il-sung, Kim Jong-il, Kim Jong-un in the D.P.RK.(North Korea). In particular, I will focus mainly on the supreme leader’s anniversary such as April 15th, Kim Il-sung’s birth day called the day of the sun, February 16th, Kim Jong-il’s birth day called the day of Kwangmyungsung, Kim Jong-un’s birth day, July 8th called the President Kim Il-sung Memorial day, December 17th called the President Kim Jong-il Memorial day.
      I assume that political rituals are ultimate propaganda festivals. Ritual performance includes a set of techniques to affect the identity and legitimacy to be away from individuality. At a first glance, the form and meaning are seen as autonomous to show their patriot, but are elaborate. As a set of legitimacy-affecting techniques, the elements of political rituals can be integrated into religious and secular settings. Therefore, I believe that political rites have played key roles in establishing legitimacy and leadership succession.
      Political rituals are not rational and desirable responses, but a most effective set of techniques to manipulate the pubic’s identity for the sake of loyalty. In fact, all otherness and distinctiveness, individual or otherwise, internal or external is the natural enemy of the ritual mode.
      The is structure of this dissertation is described below. In the third chapter, I examine the political rites of the Kim Il-sung era from 1952 through 1994. Until the mid-1960s, North Korea paid little attention to the political rites for Kim Il-sung, however, after the appearance of his son, Kim Jong-il, he tried to strengthen the rites for his father and to refer to its own approach as “socialism with North Korean characteristics”. The political rituals encompassed confucianism and familism of traditional Korea. In the mid-1970s, unlike his father, Kim Jong-il strengthened a set of new techniques to secure his own political legitimacy. As Kim Jong-il’s political leadership became powerful, he tried to create a symbolic territory for “us”.
      In the forth chapter, I analyze the political rites of the Kim Jong-il era from 1994 to 2011. The death of Kim Il-sung meant that North Korea and its supreme leadership, Kim Jong-il were confronted with crisis. Kim Jong-il officially started the work of the Cause of perpetuating memory of Kim Il-sung by designating the formal three-year mourning period for Kim Il-sung. In addition to that, he started to emphasis on Military-first politics through the Korean People’s Army(KPA). The political rites of this period can be integrated into socialist, Confucian, North Korea’distinct characteristics. Kim Jong-un appeared and Kim Jong-il began to prepare Kim Jong-un for succession to leadership in 2009.
      In the fifth chapter, I analyze the political rituals of the Kim Jong-un era from 2011 to 2016. Current North Korean leadership Kim Jong-un used his father’s funeral to stamp his own leadership on the public’s mind as North Korea’s next leader. He started to rule with behest of Kim Jong-il. The political rites of this period can be integrated into socialist, Confucian, North Korea’distinct characteristics, but the bottom line is that Kim Jong-un has emphasized on moral influence and treating the public respectfully. It would be reasonable to be expected to continue for a while.
      Obviously, the political rituals for the birth and death of the ex-North Korean Presidents played pivotal roles in strengthening political legitimacy. However, since North Korea suffers from its frail economy, excessive spendings for idolism and leakages of information on supreme leadership, the way of political rituals is needed to be change. As we know, one of the most urgent tasks of Kim Jong-un is to maintain the North Korean regime through various and onerous political rituals. In conclusion, the political rituals in North Korea would be a double-edged swor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 목적 1
      • 제2절 연구 범위와 방법 6
      • 1. 연구 범위 6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 목적 1
      • 제2절 연구 범위와 방법 6
      • 1. 연구 범위 6
      • 2. 선행연구 검토 11
      • 3. 연구 방법과 분석틀 17
      • 제2장 이론적 논의 23
      • 제1절 기억의 정치와 기념일 23
      • 1. 기억의 정치와 집단기억 23
      • 2. 기념일과 숫자의 정치화 26
      • 제2절 정치적 의례의 개념과 기능 33
      • 1. 정치적 의례의 개념과 범주 33
      • 2. 정치적 의례의 기능 38
      • 제3절 정치적 의례의 사례 41
      • 1. 사회주의 체제와 정치적 의례 41
      • 2. 전통적 유교문화와 정치적 의례 54
      • 제3장 김일성 시대의 정치적 의례 63
      • 제1절 4.15 상징화와 항일혁명전통 63
      • 1. 한국전쟁과 김일성의 40회 생일 63
      • 2. 항일혁명전통과 출생 기념행사의 시작 69
      • 제2절 김정일의 등장과 김일성 출생 의례의 제도화 84
      • 1. 김정일의 등장과 김일성 개인숭배 강화 84
      • 2. 김일성 출생 기념 의례의 확대와 제도화 92
      • 제3절 2.16의 상징화와 김정일 후계체제 구축 113
      • 1. ‘당중앙’과 출생 기념행사의 시작 113
      • 2. 김정일 후계체제 구축과 백두산 상징화 122
      • 제4절 소결 128
      • 제4장 김정일 시대의 정치적 의례 131
      • 제1절 김일성 정치적 의례의 계승 131
      • 1. 김일성 사망과 3년상 의례 131
      • 2. 김일성 출생 의례 계승과 전통화 141
      • 제2절 선군정치와 김정일 출생 의례의 제도화 151
      • 1. 선군정치와 백두산 관련 의례 강화 151
      • 2. 김정일 출생 기념 의례의 확대와 제도화 157
      • 제3절 축포야회와 김정은 후계체제 구축 164
      • 1. 김정일 후계 논의와 축포야회 164
      • 2. 김정은 후계체제 구축과 선군 상징화 172
      • 제4절 소결 178
      • 제5장 김정은 시대의 정치적 의례 180
      • 제1절 김일성-김정일 정치적 의례의 계승 180
      • 1. 김정일 사망과 3년상 의례 180
      • 2. 선군정치와 김일성, 김정일 출생 의례 계승 195
      • 제2절 1.8의 상징화와 인격적 리더십 강화 201
      • 1. 1.8의 상징화와 김일성-김정일주의 201
      • 2. 1월8일수산사업소와 인격적 리더십 강화 211
      • 제3절 소결 219
      • 제6장 결론 221
      • ■ 참고문헌 226
      • ■ ABSTRACT 260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선군시대어』, 채희원, 평양: 외국문출판사, , 2013

      2. 『김정일위인상』, 허 담,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 중앙상임위원회, 동경: 조선신보사, , 1996

      3. 『사계절꽃상식』, 강은별, 평양: 조선출판물수출입사, , 2016

      4. 『인류의 대축전』, 한진국, 인문과학사, 평양: 인문과학사, , 1982

      5. “단편소설: 념원.”, 탁숙본, 『조선문학』, 제6호, 문학예술출판사, , pp. 6~15, , 2014

      6. “단편소설: 려명.”, 리웅수, 『조선문학』, 제1호, 문학예술출판사 , pp. 11~20., , 2016

      7. 『인민의 령도자 1』, 오성길, 장은옥, 평양: 평양출판사, , 2014

      8. 『김정일화와 세계』, 김택영, 평양: 공업출판사, , 2012

      9. 『조선의 관혼상제』, 조대일, 사회과학,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 2004

      10. 『조선의 국가 제사』, 신대철, 김문식, 한형주, 이현진, 이민주, 심재우, 한국학중앙연구원, 성남: 한국학중앙연구원, , 2009

      1. 『선군시대어』, 채희원, 평양: 외국문출판사, , 2013

      2. 『김정일위인상』, 허 담,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 중앙상임위원회, 동경: 조선신보사, , 1996

      3. 『사계절꽃상식』, 강은별, 평양: 조선출판물수출입사, , 2016

      4. 『인류의 대축전』, 한진국, 인문과학사, 평양: 인문과학사, , 1982

      5. “단편소설: 념원.”, 탁숙본, 『조선문학』, 제6호, 문학예술출판사, , pp. 6~15, , 2014

      6. “단편소설: 려명.”, 리웅수, 『조선문학』, 제1호, 문학예술출판사 , pp. 11~20., , 2016

      7. 『인민의 령도자 1』, 오성길, 장은옥, 평양: 평양출판사, , 2014

      8. 『김정일화와 세계』, 김택영, 평양: 공업출판사, , 2012

      9. 『조선의 관혼상제』, 조대일, 사회과학,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 2004

      10. 『조선의 국가 제사』, 신대철, 김문식, 한형주, 이현진, 이민주, 심재우, 한국학중앙연구원, 성남: 한국학중앙연구원, , 2009

      11. “단편소설: 무지개.”, 서청송, 『조선문학』, 제7호, 문학예술출판사, , pp. 60~70, , 2014

      12. 『김정일 리더십연구』, 정영철, 선인, 서울: 선인, , 2005

      13. 『조선민족해방투쟁사』, 리나영, 조선 로동당,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 1958

      14. 『단편소설집 불의 약속』, 정기종, 평양: 문학예술출판사, , 2014

      15. 『조선민속가정생활풍습』, 동 식, 근로단체출판사, 평양: 근로단체출판사, , 2008

      16. 편집. 『선군-김정일정치』, 탁성일, 평양: 외국문출판사, , 2012

      17. 『김일성화와 세계(제2판)』, 김택영, 평양: 공업출판사, , 2012

      18. 『조선말대사전(증보판) 3』, 문영호,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 2007

      19. 『유교의례의 전통과 상징』, 김미영, 민속원, 서울: 민속원, , 2010

      20. 『민족의태양 김일성장군 1』, 백 봉, 인문과학사, 평양: 인문과학사, , 1968

      21. 『북한 문학의 역사적 이해』, 김재용, 문학과지성사, 서울: ㈜문학과 지성사, , 1994

      22. 『새로 쓴 현대북한의 이해』, 이종석, 서울: 역사비평사, , 2000

      23. 북한 혁명전통의 상징화 연구, 조은희, 한국사회학회,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 박 사학위논문, , 2007

      24. 『백두산은 어데서나 보인다』, 송 영, 평양: 민주청년사, , 1956

      25. 『북한의 산업화와 경제정책』, 김연철, 역사비평사, 서울: 역사비평사, , 2001

      26. 『상징과 기호의 정치행정론』, 유영옥, 학문사, 서울: 학문사, , 1997

      27. 엮음. 『북한체육자료해제집』, 이학래, 서울: 단국대학교출판부, , 2002

      28. “러시아 보훈정책의 상징성.”, 유영옥, 한국보훈학회, 『한국보훈논총』, 제10권 제1 호, 한국보훈학회, , pp. 73~108, , 2011

      29. 『김일성-김정일주의 연구입문』, 김현환, 평양: 평양출판사, , 2016

      30. 『불세출의 위인을 따라 천만리』, 리을설, 금성청년출판사, 평양: 금성청년출판사, , 2015

      31. “김정은 후계구축 논리와 징후.”, 고유환, 평화문제연구소, 『통일문제연구』, 제22권 1 호, 평화문제연구소, , pp. 93~122, , 2010

      32. 『사회주의조선은 화목한 대가정』, 문정숙, 평양: 외국문출판사, , 2013

      33. 『숭고한 인간적풍모를 지니시고』, 김성옥, 궁영숙, 근로단체출판사, 평양: 근로단체출판사, , 2010

      34. “권력지배의 정당화와 국가의례.”, 오재환, 부산대학교 사회조사연구소, 『사회조사연구』, 제17권, 부산대학교 사회조사연구소, , pp. 49~70, , 2002

      35. 『우리 민족의 전통적인 가정의례』, 장성남, 평양: 평양출판사, , 2016

      36. 김정은 JPG(북한 이미지 정치 엿보기), 변영욱, 한울, 파주: 도서출판 한울, , 2015

      37. “중국 정치 이데올로기 변화연구.”, 남종호,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국제지역연구』, 제13권 제1호,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 pp. 191~211, , 2009

      38. 북조선 사회주의체제 성립사(1945-1961), 서동만, 선인, 서울: 선인, , 2005

      39. 『귀신과 제사: 유교의 종교적 세계』, 금장태, 제이앤씨, 서울: 제이앤씨, , 2009

      40. 『주체101년과 경애하는 김정은 동지』, 엄향심, 김지호, 김준혁, 최금옥, 평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국문출판사, 2013, , 2012

      41. 『태양의 품에서 영생하는 녀성들(2)』, 조원희, 평양: 근로단체출판사, , 2015

      42. 편저. 『저항, 연대의, 기억의 정치 2』, 김진균, 서울: 문화과학사, , 2003

      43. “북한의 헌법상 국가기관체계 변화.”, 김갑식, 『북한연구학회보』, 제6 권 제2호, 북한연구학회, , pp. 65~85, , 2002

      44. 『추모설화집: 백두산에 지동이 일다』, 김우경, 평양: 문학예술출판사, , 2012

      45. 북한의 기억의 정치와 푸에블로호 호명, 이신재(Lee, Sinjae), 북한대학원대학교, 『현대북한연구』, 17 권 1호, 북한대학원대학교 북한미시연구소, , pp. 156~196, , 2014

      46. 북한의 사상과 김일성-김정일주의 연구, 진희관 ( Hee Gwan Chin ),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학회 보』, 제18권 제2호, 북한연구학회, , pp. 1~25, , 2014

      47. “尤庵 宋時烈의 禮訟의 特徵과 意味.”, 손흥철, 『儒學硏究』, 第26輯, 忠南大學校 留學硏究所 論文集, , pp. 57~79, , 2012

      48. “김정은 시대의 애도와 구원의 코드.”, 이지순, 민족어문학회, 『어문논집』, 69권, 민 족어문학회, , pp. 327~354, , 2013

      49. “북한의 주요 축제 기초조사와 해제.”, 한승대, 『남북역사학 기 초조사 연구결과 보고서』. 과천: 국사편찬위원회, 2014, , 2014

      50. 「북한 갑산파 연구: 기원, 형성, 소멸」, 조우찬, 북한대학원대학교 정치 통일전공 박사학위논문, , 2016

      51. 알박스(MauriceHalbwachs)의 기억사회학 연구, 김영범, 대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 구』, 제6집 제3호, 대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pp. 557~594, , 1999

      52. 「제주4 3사건 기념의례의 형성과 구조」, 현혜경, 전남대학교 대학원, 전남대학교 사회학 과 박사학위논문, , 2008

      53. “김일성체제와 정치신화에 관한 연구,”, 김경호, 한국시민윤리학회, 『한국시민윤리학회 보』, 제18집 2호, 한국시민윤리학회, , pp. 27~45, , 2005

      54. “죽음의 정치학: 죽음의례를 중심으로.”, 송현동, 한국종교문화연구소, 『종교문화비평』, 9 권, 한국종교문화연구소, , pp. 128~165, , 2006

      55. “한국의 국가기념일 성립에 관한 연구.”, 김민환, 일지사, 『한국학보』, 26권 2 호, 일지사, , pp. 129~161, , 2000

      56. 「김정은 리더십 구축 과정에 관한 연구」, 정한얼, 동국대학교 북한학 과 박사학위논문, , 2016

      57. 「북한의 사회주의 도덕경제와 마을체제」, 홍 민, 동국대학교 북한학 과 박사학위논문, , 2006

      58. 「김일성 시기 북한의 대외문화교류 연구」, 모순영, 이화여자대학교 북 한학과 박사학위논문, , 2014

      59. 조선노동당의 집단주의 생활문화 정착 시도, 김진환,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학 회보』, 제14권 제2호, 북한연구학회, , pp. 23~48, , 2010

      60. “김일성 동지의 탄생 四十주년에 제하여.”, 박헌영, 『근로자』, 제4호, 평양: 로동신문사, , pp. 29~35, , 1952

      61. 『글과 사진으로 보는 북한의 사회와 문화』, 전영선, 서울: 도서출판 경진, , 2016

      62. “민속자료의 진위 문제와 레닌 숭배 현상.”, 김상현, 한국노어노문학회, 『노어노문학』, 제20권 제2호, 한국노어노문학회, , pp. 351~390, , 2008

      63. 「스탈린 체제와 상징: 선전-선동의 아이콘」, 이완종,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아시아문화연 구』, 제19집, 경원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 pp. 185~217, , 2010

      64. “북한 당대표자회와 김정은 후계체제 전망”, 김갑식, 제주평화연구원, 『JPI 정책포 럼』, -34, 제주평화연구원, 2010, pp. 1~19, , 2010

      65. “정치적 의례의 의미와 효과: 미학적 접근.”, 김용환, 비교민속학회, 『비교민속학』, 제26집, 비교민속학회, , pp. 437~467, , 2004

      66. 「김일성 통치에서 전통의 활용에 관한 연구」, 박광호, 서울대학교 외 교학과 박사학위논문, , 2003

      67. 「김일성과 김정일의 우상화 정책 비교 연구」, 정민섭, 경남대학교 정 치외교학과 박사학위논문, , 2014

      68. “1960년대 남북한 정부의 ‘인간개조’ 경쟁.”, 김성보, 『역사와실 학』, 제53집, 역사실학회, 2014, pp. 149~175, , 2014

      69. “북한의 도시발달 연구: 평양시를 중심으로.”, 조성훈, 『국사관논총』, 제70집, 국사편찬위원회, , pp. 207~242, , 1996

      70. “한국사회의 ‘근대화’와 의례문화의 변화.”, 오재환, 부산대학교 사회조사연구소, 『사회조사연 구』, 제16권, 부산대학교 사회조사연구소, , pp. 169~195, , 2001

      71. 『북한 교육정책 동향 분석 및 서지 정보 구축』, 한승대, 강구섭, 김지수, 김은주, 김정원,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2014

      72. 「『조선왕조실록』을 통해 본 왕의 위락 활동」, 강형민, 우석대학교 조경토목공학과 박사학위논문, , 2016

      73. “대한제국기 ‘극장국가(theater state)’ 연구(1).”, 김기란, 한국문학언어학회, 『어문론 총』, 제51호, 한국문학언어학회, , pp. 399~432, , 2009

      74. “북한 ‘사회주의 완전승리’의 개념사적 접근.”, 한승대, 『북한학연 구』, 제8권 제1호,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 , pp. 161~187, , 2012

      75. “북한의 통치이념 ‘김일성-김정일주의’ 분석.”, 김창희,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한국정치연구』, 제22집 제3호,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 pp. 187~211, , 2013

      76. “김정일 시대~2004) 북한 경제정책의 변화와 전망.”, 박순성, 『북 한연구학회보』, 제8권 제1호, 북한연구학회, 2004, pp. 57~76, , 1994

      77. 엮음. 『혁명전설총서(백두광명성전설편): 북향문』, 김우경, 평양: 문학예 술출판사, , 2015

      78. 『민족의 자랑 대집단체조와 예술공연 《아리랑》』, 김정남, 평양: 평양 출판사, , 2006

      79. 『극장국가 북한:카리스마 권력은 어떻게 세습되는가』, 권헌익, 창비, 파주: ㈜창비, , 2013

      80. 『북한의 군부: 북한을 움직이는 힘, 군부의 패권경쟁』, 이영훈, 파주: ㈜살림출판사, , 2012

      81. 『조선로동당 연구: 지도사상과 구조변화를 중심으로』, 이종석, 서울: 역사비평사, , 1995

      82. “우크라이나의 축일과 기념일: 국가건설의 측면에서.”, 홍석우,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동유럽연구』, 제21권,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 pp. 241~270, , 2008

      83. 「기억의 정치 : 대량학살의 사회적 기억과 역사적 진실」, 권기숙, 문학과지성사, 서울: ㈜문학과 지성사, , 2006

      84. 「북한의 군사국가화에 관한 연구: ∼60년대를 중심으로」, 김용현, 동국대학교 정치학과 박사학위논문, 2002, , 1950

      85. “뒤르껭주의 문화사회학: 분류체계와 의례를 중심으로.”, 박선웅, 『한 국사회학』, 제32집 겨울호, 한국사회학회, , pp. 905~931, , 1998

      86. 「김일성,김정일 ‘수령형상’ 과정에서 선전선동의 역할」, 이경직, 북 한대학원대학교 사회문화언론전공 박사학위논문, , 2014

      87. “북한 아동문학의 기원: 초기 주도세력의 형성과 그 성격.”, 원종찬, 『아동 청소년문학연구』, 제10호,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pp. 109~142,

      88. 『북한사회의 상징체계 연구: 혁명구호의 변화를 중심으로』, 이우영, 통일연구원, 서울: 통일연구원, , 2002

      89. “조선 초기 국가의례와 왕권: 『국조오례의』를 중심으로.”, 임민혁, 『역사와 실학』, 제43집, 역사실학회, , pp. 45~82, , 2010

      90. 『세종정책연구 -4: 북한군 최고사령관의 위상과 역할 연 구』, 정성장, 성남: 세종연구소, 2015, , 2015

      91. 북한에서 '선군'의 등장과 선군사상이 갖는 함의에 관한 연구., 진희관, 한국국제정치학회, 『국제정치논총』, 제48집 1호, 한국국제정치학회, , pp. 375~403, , 2008

      92. 엮음. 『혁명전설총서(금수산태양궁전전설편): 금수산의 학』, 김우경, 평 양: 문학예술출판사, , 2015

      93. 『북한의 정치와 권력: 지배관계의 기원과 개념, 구조와 동태』, 박형중, 백산자료원, 서울: 도서출판 백산자료원, , 2002

      94. “김일성 김정일의 상징정치: 구호와 상징조형물을 중심으로.”, 이승현,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한국과 국제정치』, 제28권 제2호,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 구소, , pp. 77~108, , 2012

      95. “조선후기 禮訟의 철학적 함의: 17세기 喪服論爭을 중심으로.”, 이봉규, 『한 국학연구』, 제9집,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pp. 173~216, , 1998

      96. 『조선로동당은 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의 당이다년 10월 2일)』, 김정일,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5, , 1995

      97. 『죽은 자의 정치학: 프랑스 미국 한국 국립묘지 탄생과 진 화』, 하상복, 전주: 모티브북, , 2014

      98. 기해예송을 통해 본 17세기 중반 조선지식관료들의 家와 國 관념, 손애리, 『한국학연구』, 제32집,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pp. 259~285, , 2010

      99. “항쟁기억의 의례적 재현: ‘5월행사’와 전야제를 중심으로.”, 정근식,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민주주의와 인권』, 제5권 1호,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 pp. 5~33, , 2005

      100. “김일성장군의 략전연구소조 결성모임에서 한 연설년 2월 10일).”, 김정일, 『김정일전집 1(1952. 7-1960. 8)』. 평양: 조선로동당 출판사, 2012, pp. 10~14, , 1953

      101. “죽음의 문화정치학: 한국의 ‘장례’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강준만, 『한국언론학보』, 제54권 5호, 한국언론학회, , pp. 86~107, , 2010

      102. “천리마운동과 국가주의의 신화: 년대 북한소설의 두 가지 양 상.”, 유임하, 『동악어문논집』, 제36집, 동악어문학회, 2000, pp. 617~635, , 1960

      103. 리경호,유정철,한광진. 『위대한 령도자 김정 일동지 혁명력사교재』, 박순철, 김창환, 김주만, 황신률, 평양: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 2004

      104. 엮음. 『혁명전설총서(금수산태양궁전전설편): 하늘이 정해준 성 지』, 김우경, 평양: 문학예술출판사, , 2013

      105. 지음. 『꿈의 세계와 파국: 대중 유토피아의 소 멸』. 윤일성,김주영 역, 모스, 수잔, 부산: 경성대학교 출판부, , 2008

      106. 『(세종연구소 세종정책총서 -4) 북한 권력의 역사: 사상,정 체성,구조』, 백학순, 파주: 도서출판 한울, 2010, , 2010

      107. 도덕의 형성 및 유지에 있어서공동체의 역할에 관한 종교사회학적 연구, 이철, 한국의회발전연구회, 『기독교사회윤리』, 제33집, 한국기독교사회 윤리학회, 2015, pp. 107~138., , 2015

      108. “레닌의 사상은 조선에서 승리하고 있다: 레닌 탄생 90주년을 맞으며.”, 김창만, 『로동신문』, 년 4월 16일, , 1960

      109. “소비에트 정치포스터에 나타난 스탈린 개인숭배의 ‘정치문화사’.”, 황동하, 『이화사학연구』, 32권, 이화사학연구소, , pp. 239~261, , 2005

      110. 「기억의 정치와 공간적 재현: 한국에서의 민주화 운동들을 중 심으로」, 정호기, 전남대학교 사회학과 박사학위논문, , 2002

      111. 리일룡,김대원,홍춘국. 『금수산기념궁전방문록실화집(2) 영 원한 추억』, 김우경, 한웅빈, 평양: 문학예술출판사, , 2003

      112. 리일룡,김종석,홍춘국. 『금수산기념궁전방문록실화 집(1) 세기의 매혹』, 김우경, 한웅빈, 박상준, 평양: 문학예술출판사, , 2002

      113. 『혁명가들: 마르크스에서 시진핑까지, 세계 공산주의자들의 삶과 죽음』, 김학준, 문학과지성사, 서울: ㈜문학과 지성사, , 2013

      114. “항일 빨찌산들의 회상기 중에서: 그이는 우리를 이렇게 믿어 주시였다.”, 백학림, 『로동신문』, 년 4월 15일, , 1960

      115. 「관광의례화와 구매후 태도간의 관계 연구: 문화유산관광지를 중심으로」, 김재호,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경기대학교 여가관광개발학과 박사학위논문, , 2009

      116. “항일 빨찌산 참가자들의 회상기 중에서: 공산당원의 영예를 지니기까지.”, 김성국, 『로동신문』, 년 4월 15일, , 1961

      117. 『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의 조국통일 유훈을 철저히 관철하자 년 8월 4일)』, 김정일,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7, , 1997

      118. “조선시대 유교의례의 사회적 기능과 상징적 의미: 조상제례를 중심 으로.”, 김미영, 『국학연구』, 제14집, 한국국학진흥원, , pp. 219~247, , 2009

      119. 「예송논쟁과 정치권위의 재규정: 송시열과 윤휴의 예론 및 정 치사상 연구」, 조무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석사학위논문, , 2011

      120. “북한 후계자 등장 관련 한국 언론의 보도 비교 연구: 년, 2009년을 중심으로.”, 김용현, 한승대, 『인문사회과학연구』, 제16권 제3호,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5, pp. 299~326, , 1974

      121. “북한의 대집단체조예술공연 ‘아리랑 ’ 의 정치사회적,문화예 술적 의미.”, 전영선,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타, 『중소연구』, 26권 2호,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 구센터, , pp. 131~158, , 2002

      122. “우크라이나, 러시아, 벨라루스의 축일과 국가건설: 전승기념일을 중심으로.”, 홍석우,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러시아연구소, 『슬라브연구』, 제31권 4호, 한국외국어대학 교 러시아연구소, , pp. 133~167, , 2015

      123. 『사상사업을 앞세우는것은 사회주의위업수행의 필수적요구이다 년 6월 19일)』, 김정일,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5, , 1995

      124. 란코프. 『평양의 지붕 밑: 소련 레닌그란드대 란코프교수의 북한 생활체험기』, 안드레이, 서울: 주식회사 연합통신, , 1991

      125. 「바넷 뉴먼(Barnett Newman)의 〈부러진 오벨리스크〉- 기념비적 성격을 중심으로」, 박은영, 미술사학연구회, 『미술사학보』, 제28집, 미술사학연구 회, , pp. 93~119, , 2007

      126. 리일룡,문상봉,박정애,민경숙. 『금수산기념궁전방문록실화집(3) 만 민의 태양』, 김우경, 평양: 문학예술출판사, , 2006

      127. 북한의 가족 국가 체제의 형성: 국가와 가족 유교문화의 정치적 변용을 중심으로, 강진웅, 『통일문제연구』, 제13권 2호, 평화문 제연구소, , pp. 323~346, , 2001

      128. “남북한의 국가 주도 발전 전략과 대중 동원: 새마을 운동과 천리마 운동 비교.”, 오유석, 한국사회과학연구소, 『동향과 전망』, 제64호, 한국사회과학 연구소, , pp. 185~220, , 2005

      129. “북한의 국가기념일을 통한 정권의 정당성 강화: 혁명전통 기 념일을 중심으로.”, 조은희,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학회보』, 제11권 제2호, 북한 연구학회, , pp. 227~254, , 2007

      130. “당세포를 강화하자: 전국당세포비서강습회 참가자들에게 보낸 서한년 5월 10일).”, 김정일, 『김정일선집 11(1991. 1-1991. 7)』.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7, pp. 81~118, , 1991

      131. 『총서 ‘불멸의 력사’ 연구 1: 북한의 문화 정전, 총 서 ‘불멸의 력사’를 읽는다』, 강진호, 서울: 소명출판, , 2009

      132. 엮고 옮김. 『뒤르케임주의 문화사회학: 이론과 방법론』. 박건,박 종서,류제철,정수남 역, 최종렬, 서울: ㈜이학사, , 2007

      133. “신흥세력나라들과의 친선단결을 강화하자: 대외사업부문 일군 들과 한 담화년 5월 9일).”, 김정일, 『김정일선집 1(1964-196 9)』.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b, pp. 91~100, , 1965

      134. “[북의 장례식 풍경] 가족장ㆍ기관장ㆍ국가장으로 나눠 거행: 남쪽과 크게 다르지 않은 모습.”, 이정화, 민족21, 『민족21』, 통권 제94호, ㈜민족21, , pp. 42~43, , 2009

      135. “감사문: 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의 서거에 심심한 애도의 뜻을 표시하여준 전체 인민들에게.”, 김정일, 『로동신문』, 년 10월 29일, , 1994

      136. “김정은 시대 지배이데올로기의 특징과 전망: ‘김일성주의’에서 ‘김일성-김정일주의’로.”, 김진환,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학회보』, 제17권 제2호, 북한연구학회, , pp. 29~56, , 2013

      137. 『남북정상회담 이후 북한공연예술의 변화양상 연구: ‘대 집단체조와 예술공연’을 중심으로』, 박영정, 김채현, 박인배, 한국문화정책개발원, 서울: 한국문화정책개발원, , 2002

      138. “영생하는 수령과 ‘그리움의 정치’: 김일성에 대한 집단적 기억과 유훈 전개과정을 중심으로.”, 김윤애, 『국제정치논총』, 제56 집 2호, 한국국제정치학회, , pp. 207~251, , 2016

      139. 『사회주의는 과학이다: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기관지 《로동신문》 에 발표한 론문년 11월 1일)』, 김정일,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4, , 1994

      140. “영화창작사업에서 나서는 몇가지 문제: 영화문학작가들과 연 출가들 앞에서 한 연설년 2월 12일).”, 김정일, 『김정일선집 2(1970-1972)』.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3, pp. 135~150, , 1971

      141. “탈식민체제로서의 ‘우리식 사회주의’의 식민성: 수카르노와 네위 시기의 혁명노선을 중심으로.”, 박은홍, 『민주사회와 정책연 구』, 통권 28호, 민주사회정책연구원, 2015, pp. 310~339., , 2015

      142. “17세기 복제예송이 18세기 복제 예론에 미친 영향: 예론의 지 역적 분립과 학파 내의 분화를 중심으로.”, 이원택, 한국국학진흥원, 『국학연구』, 제 13집, 한국국학진흥원, , pp. 59~95, , 2008

      143. “주체사상에 대하여: 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 탄생 70돐기념 전 국주체사상토론회에 보낸 론문년 3월 31일).”, 김정일, 『김정일선 집 7(1981-1983)』.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6, pp. 143~216, , 1982

      144. “러시아 국가 정체성의 역학관계 모델과 정치-문화 상징의 함의: 푸 틴 시대의 국가 정체성 재고를 위한 시론.”, 김상현,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국제지역연구』, 제 12권 제4호,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 pp. 23~65, , 2009

      145. “감사문: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동지의 서거에 심심한 애도의 뜻을 표시하여준 전체 인민군장병들과 인민들에게.”, 김정은, 『로동 신문』, 년 3월 27일, , 2012

      146. “대한제국기 극장국가(theater state) 연구(2): 스펙터클의 문화 사회학적 분석을 통한 문화적 퍼포먼스 고찰의 한 방법.”, 김기란, 『한국연극학』, 제40호, 한국연극학회, , pp. 125~162, , 2010

      147. “수령님의 위대성을 남조선인민들에게 널리 선전할데 대하여: 조선 로동당 중앙위원회 일군들과 한 담화년 4월 27일).”, 김정일, 『김정 일선집 1(1964-1969)』.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a, pp. 81~90, , 1965

      148. 『수산부문을 추켜세우고 수산업발전에서 새로운 전환을 일으키 자: 당, 국가경제기관 책임일군들과 한 담화년 2월 24 일)』, 김정은,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2015, , 2015

      149. “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는 영원히 우리 인민과 함께 계신다: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책임일군들과 한 담화년 2월 11 일).”, 김정일, 『김정일선집 14(1995-1999)』. 평양: 조선로동당출판 사, 2000, pp. 145~148, , 1996

      150. “수령님의 탄생 60돐을 민족최대의 명절로 맞이하기 위하여: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선전선동부 일군들과 한 담화년 10월 29일).”, 김정일, 『김정일선집 2(1970-1972)』. 평양: 조선로동당 출판사, 1993, pp. 364~375, , 1971

      151. “전당이 동원되여 70일전투를 힘있게 벌리자: 당중앙위원회 및 정무원 책임일군들과 도당위원회 책임비서들의 협의회에서 한 연설.”, 김정일, 『김 정일선집 4』.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4, pp. 456~483, , 1974

      152. 『위대한 수령님의 뜻을 받들어 내 나라, 내 조국을 더욱 부강 하게 하자: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책임일군들과 한 담화 년 12월 31일)』, 김정일,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9, , 1994

      153. “위대한 수령님을 영원히 높이 모시고 수령님의 위업을 끝까지 완성하자: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책임일군들과 한 담화년 10월 16일).”, 김정일, 『김정일선집 13(1999.2-1994.12)』. 평양: 조 선로동당출판사, 1998, pp. 420~441, , 1994

      154. “김일성화는 자주시대 인류의 마음속에 피여난 불멸의 꽃이다: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선전선동부 책임일군들과 한 담화 년 4월 6일).”, 김정일, 『김정일선집 22(2003.8-2006.11)』.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2013, pp. 295~296, , 2005

      155. “문학예술작품창작에서 혁명적인 전환을 일으킬데 대하여: 조 선문학예술총동맹산하 창작가들의 사상투쟁회의에서 한 결론 년 9월 6일).”, 김정일, 『김정일선집 2(1970-1972)』. 평양: 조선 로동당출판사, 1993, pp. 432~460, , 1972

      156. “혁명의 수도 평양을 더욱 웅장화려한 인민의 도시로 건설하 자: 조선로동당 평양시위원회, 건설부문 책임일군들과 한 담 화년 3월 18일).”, 김정일, 『김정일선집 5(1975-1977)』.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5, pp. 59~69, , 1975

      157. 『위대한 김정일장군님을 영원히 높이 우러러모시고 장군님의 유 훈을 철저히 관철하자: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책임일군들과 한 담화년 12월 31일)』, 김정은, 제2판,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2013, , 2011

      158. “위대한 김정일동지를 우리 당의 영원한 총비서로 높이 모시고 주체 혁명위업을 빛나게 완성해나가자: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책임일군 들과 한 담화년 4월 6일).”, 김정은, 『로동신문』, 2012년 4월 19일, ,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