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코로나19 펜데믹 이후 스포츠 활동 참여자의 여가몰입, 여가만족, 재참여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Sports Activities Participants on Leisure Flow, Leisure satisfaction and Re-participate Intention after COVID19 Pandemic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596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성인남여를 대상으로 여가몰입, 여가만족, 그리고 재참여의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규명하기 위하여 서울, 인천, 경기도에 거주하며 6개월 이상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성인남녀를 279명을 연구대상자로선정하였다. 자료처리방법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변인 분석을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변인의 타당도 검증은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신뢰도 검증은 Cronabacs’s α 계수를 사용하였다. 연구변인 간의 상관관계 분석은 이변량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변인 간의 인과관계 검증은 구조방정식모델을 이용하였다. 이상의 연구과정을 거처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 활동 참여자의 여가몰입은 여가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스포츠 활동 참여자의 여가몰입은 재참여의도에영향을 미쳤다. 셋째, 스포츠 활동 참여자의 여가만족은 재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스포츠 활동은 우리들에게 많은 이득을 주는 활동이다. 코로나19 시대를 경험하면서 건강의 중요성을 다시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스포츠 활동 참여자가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있도록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성인남여를 대상으로 여가몰입, 여가만족, 그리고 재참여의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규명하기 위하여 서울, 인천, 경기도에 거...

      본 연구는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성인남여를 대상으로 여가몰입, 여가만족, 그리고 재참여의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규명하기 위하여 서울, 인천, 경기도에 거주하며 6개월 이상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성인남녀를 279명을 연구대상자로선정하였다. 자료처리방법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변인 분석을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변인의 타당도 검증은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신뢰도 검증은 Cronabacs’s α 계수를 사용하였다. 연구변인 간의 상관관계 분석은 이변량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변인 간의 인과관계 검증은 구조방정식모델을 이용하였다. 이상의 연구과정을 거처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 활동 참여자의 여가몰입은 여가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스포츠 활동 참여자의 여가몰입은 재참여의도에영향을 미쳤다. 셋째, 스포츠 활동 참여자의 여가만족은 재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스포츠 활동은 우리들에게 많은 이득을 주는 활동이다. 코로나19 시대를 경험하면서 건강의 중요성을 다시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스포츠 활동 참여자가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있도록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flow, leisure satisfaction, and re-participation intention for adult men and women participating in sports activities. To clarify the purpose of this study, 279 adult men and women who lived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and participated in sports activities for more than 6 months were selected as study subjects. As a data processing method,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the study subject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validity of study variables, and Cronabach’s α coefficient was used to verify reliability. Bivariate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leisure flow, leisure satisfaction and re-participate intention.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flow, leisure satisfaction and re-participate intention. The research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above research process were as follows: First, leisure flow of participants in sports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leisure satisfaction. Second, leisure flow of participants in sports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re-participation intention. Third, the leisure satisfaction of sports activities participants had a positive effect on re-participation intention. Sports activities are activities that give us many benefits. It became an opportunity to re-recognize the importance of health while experiencing the era of COVID19. It is considered that we will need active support from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so that we could continue to participate in sports activities.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flow, leisure satisfaction, and re-participation intention for adult men and women participating in sports activities. To clarify the purpose of this study, 279 adult men and w...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flow, leisure satisfaction, and re-participation intention for adult men and women participating in sports activities. To clarify the purpose of this study, 279 adult men and women who lived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and participated in sports activities for more than 6 months were selected as study subjects. As a data processing method,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the study subject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validity of study variables, and Cronabach’s α coefficient was used to verify reliability. Bivariate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leisure flow, leisure satisfaction and re-participate intention.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flow, leisure satisfaction and re-participate intention. The research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above research process were as follows: First, leisure flow of participants in sports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leisure satisfaction. Second, leisure flow of participants in sports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re-participation intention. Third, the leisure satisfaction of sports activities participants had a positive effect on re-participation intention. Sports activities are activities that give us many benefits. It became an opportunity to re-recognize the importance of health while experiencing the era of COVID19. It is considered that we will need active support from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so that we could continue to participate in sports activit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병민 ; 전용수, "호텔 종사자의 여가태도, 여가몰입과 생활만족 간의 관계 연구: 특급호텔을 중심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9 (29): 313-330, 2017

      2 배성우, "해양스포츠 동호인의 운동몰입과 재참여의도의 관계 검증"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8 (28): 603-610, 2016

      3 안병욱, "한국 성인의 여가만족 측정도구 개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4 정종신 ; 이규철 ; 김재희, "프라모델 여가활동 남성 참여자의 여가몰입과 여가만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23 (23): 574-583, 2023

      5 이학준, "포스트 코로나 스포츠 : 국내 체육연구의 동향과 방향" 퍼플 2021

      6 김도균, "코로나19가 스포츠산업에 미친 영향 및 전망" 151 : 18-31, 2021

      7 이학준, "코로나19 이후 스포츠" 부크크 2020

      8 황선환 ; 김미량 ; 이연주, "진지한 여가가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여가만족의 매개효과(mediation effect) 검증" 여가문화학회 9 (9): 1-16, 2011

      9 이민정, "자기결정성 요인이 문화예술교육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 즐거움과 만족도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대학원 2016

      10 박선희, "요가 수련자의 서비스 품질 만족이 재참여 및 추천의사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8

      1 전병민 ; 전용수, "호텔 종사자의 여가태도, 여가몰입과 생활만족 간의 관계 연구: 특급호텔을 중심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9 (29): 313-330, 2017

      2 배성우, "해양스포츠 동호인의 운동몰입과 재참여의도의 관계 검증"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8 (28): 603-610, 2016

      3 안병욱, "한국 성인의 여가만족 측정도구 개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4 정종신 ; 이규철 ; 김재희, "프라모델 여가활동 남성 참여자의 여가몰입과 여가만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23 (23): 574-583, 2023

      5 이학준, "포스트 코로나 스포츠 : 국내 체육연구의 동향과 방향" 퍼플 2021

      6 김도균, "코로나19가 스포츠산업에 미친 영향 및 전망" 151 : 18-31, 2021

      7 이학준, "코로나19 이후 스포츠" 부크크 2020

      8 황선환 ; 김미량 ; 이연주, "진지한 여가가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여가만족의 매개효과(mediation effect) 검증" 여가문화학회 9 (9): 1-16, 2011

      9 이민정, "자기결정성 요인이 문화예술교육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 즐거움과 만족도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대학원 2016

      10 박선희, "요가 수련자의 서비스 품질 만족이 재참여 및 추천의사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8

      11 김영미 ; 한혜원, "여성 댄스스포츠 동호인의 운동환경 요인과 여가 몰입 및 즐거움 기대의 관계" 한국여성체육학회 23 (23): 89-102, 2009

      12 허정훈 ; 장호연, "스포츠지도사의 일과 삶의 균형이 직무스트레스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3 (23): 143-155, 2021

      13 정은성 ; 권순재, "스포츠 여가프로그램 참여 남성의 라이프스타일, 여가몰입, 생활만족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43 (43): 33-44, 2019

      14 조석연 ; 김대훈, "스노보드 참여자의 성취목표성향이 여가만족 및 재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46 (46): 1-12, 2022

      15 박명국 ; 김경렬 ; 오근희, "배드민턴 동호인들의 참여정도에 따른 운동 몰입과 여가만족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4 (34): 83-94, 2010

      16 이유진 ; 황선환, "문화자원봉사 참여 대학생의 여가만족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진지한 여가의 조절효과" 여가문화학회 19 (19): 109-123, 2021

      17 이광수, "모험스포츠 참가자의 참여동기, 스포츠몰입, 참여 후 행동과의 관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3

      18 김승수, "대학생의 여가활동 동기와 관여도가 심리적 안녕감, 여가몰입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우송대학교 대학원 2012

      19 한성유, "대학생들의 여가경험이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여가문화학회 8 (8): 1-18, 2011

      20 오채윤 ; 장덕진 ; 오경록 ; 허승은, "대학생 수상스포츠 참가자의 운동 몰입이 여가만족 및 재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44 (44): 131-141, 2020

      21 오갑진 ; 김주호, "대학동아리 축구대회의 경험적가치와 만족이 감정반응과 재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 17 (17): 315-325, 2019

      22 이장희, "당구 참여자들의 여가몰입과 여가이득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23 김재등 ; 원유미 ; 유정인, "노인 운동참여자들의 운동정서와 여가만족의 관련성 규명"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3 (23): 59-69, 2021

      24 한진오 ; 정득 ; 이종석, "공공여가시설만족이 여가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여가정책만족의 매개효과" 여가문화학회 17 (17): 61-85, 2019

      25 이정우, "골프 갤러리의 대회 체험이 관람 즐거움, 만족도, 재관람의도에에 미치는 영향 : 체험경제이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대학원 2015

      26 An. S., "Virtual travel experience and destination marketing : Effects of sense and information quality on flow and visit intention" 19 : 100492-, 2021

      27 Chen, S. T., "The influence of leisure engagement on daily emotional well-being" 44 (44): 995-1012, 2022

      28 Hong, S. H., "The criteria for selecting appropriate fit indic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their rationales" 19 (19): 161-177, 2000

      29 Steiger, J. H., "Statistically- based tests for the number of common factors" 1980

      30 Bentler, P. M., "Significance tests and goodness of fit in the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88 (88): 588-606, 1980

      31 Bagozzi, R. P.,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16 : 74-94, 1988

      32 Tokay Argan, M., "Life satisfaction, life quality, and leisure satisfaction in health professionals" 57 (57): 660-666, 2021

      33 Kuykendall, L., "Leisure engage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 A meta-analysis" 141 (141): 364-403, 2015

      34 Newman, D. B., "Leisure and subjective wellbeing : A model of psychological mechanisms as mediating factors" 15 (15): 555-578, 2014

      35 Wang, M., "Happiness and leisure across countries : Evidence from international survey data" 15 (15): 85-118, 2014

      36 Qian, X., "Does leisure time as a stress coping resource increase affective complexity? Applying the Dynamic Model of Affect(DMA)" 45 (45): 393-414, 2013

      37 Jackson, S. A.,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optimal experience : The Flow State Scale" 18 (18): 17-35, 1996

      38 Kenyon, G. S., "Contemporary Psychology of Sport" 781-798, 1970

      39 Murphy, J. F, "Concepts of Leisure" Prentice-Hall 1981

      40 Bentler, P. M., "Comparative fit indices in structural models" 107 : 238-246, 1990

      41 Csikszentmihalyi, M, "Beyond boredom and anxiety:Experiencing flow in work and play" 1975

      42 이용환, "3장 코로나19의 충격: 패러다임 전환의 촉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