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자성어 교재 개발 연구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hinese character idiom textbooks for Korean learn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861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자는 한자문화권의 공통문자로서 한자문화권의 나라에서 각국의 어휘를 이해하고 확장시키는데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 중요한 수단이이다. 또한 한자문화권 간의 유사한 한자 어휘는 한자문화권 나라 간에 동질감을 형성하여 각국이 발전·교류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들어 주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중요 매개체이다.
      한국어에서 한자 어휘는 높은 점유율을 보이고 있으며 고급 단계로 올라갈수 록 그 비중이 커진다. 어휘 중에서도 역사와 문화, 철학 등이 집약된 어휘 표현으로서 교육적, 문화적 가치를 지닌 것은 한자성어이다. 한자성어는 간결하지만특정한 의미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긴 내용의 의미를 전달함에 있어서 적확하게 활용한다면 상당히 효율적이며 학문적이다.
      현재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자성어 교재는 거의 없다. 고급 한국어학습자나 학문 목적으로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은 어휘 능력과 함께 한국인의 문화와 한국인의 문화의식을 심도 있게 배울 수 있는 한자성어만을 다룬 교재가 필요하다. 한국에서 생성된 한자성어는 한국의 역사, 생활풍습, 자연환경, 종교 등에서 자연스럽게 생성되었기 때문에 한국만의 독특한 문화를 엿볼 수 있어 다른 영역과 연계하여 학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것은 단지 기존의 한국어 어휘나 읽기 교재에서 한자성어를 다룬 범위를 넘은 특화된 교재를 의미한다. 이 교재의 단원구성은 5단계로 분류하여 단순히 한자성어의 유래만이 아니라 실제 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와 지식을 보충하도록 단계를 구분하였다.
      번역하기

      한자는 한자문화권의 공통문자로서 한자문화권의 나라에서 각국의 어휘를 이해하고 확장시키는데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 중요한 수단이이다. 또한 한자문화권 간의 유사한 한자 어휘는 한...

      한자는 한자문화권의 공통문자로서 한자문화권의 나라에서 각국의 어휘를 이해하고 확장시키는데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 중요한 수단이이다. 또한 한자문화권 간의 유사한 한자 어휘는 한자문화권 나라 간에 동질감을 형성하여 각국이 발전·교류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들어 주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중요 매개체이다.
      한국어에서 한자 어휘는 높은 점유율을 보이고 있으며 고급 단계로 올라갈수 록 그 비중이 커진다. 어휘 중에서도 역사와 문화, 철학 등이 집약된 어휘 표현으로서 교육적, 문화적 가치를 지닌 것은 한자성어이다. 한자성어는 간결하지만특정한 의미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긴 내용의 의미를 전달함에 있어서 적확하게 활용한다면 상당히 효율적이며 학문적이다.
      현재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자성어 교재는 거의 없다. 고급 한국어학습자나 학문 목적으로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은 어휘 능력과 함께 한국인의 문화와 한국인의 문화의식을 심도 있게 배울 수 있는 한자성어만을 다룬 교재가 필요하다. 한국에서 생성된 한자성어는 한국의 역사, 생활풍습, 자연환경, 종교 등에서 자연스럽게 생성되었기 때문에 한국만의 독특한 문화를 엿볼 수 있어 다른 영역과 연계하여 학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것은 단지 기존의 한국어 어휘나 읽기 교재에서 한자성어를 다룬 범위를 넘은 특화된 교재를 의미한다. 이 교재의 단원구성은 5단계로 분류하여 단순히 한자성어의 유래만이 아니라 실제 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와 지식을 보충하도록 단계를 구분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추이진단, "현대중국어와 한국 한자어의 대비 연구" 한신대학교 출판부 2001

      2 김선정, "한자성어 교재 개발의 구성 방향 및 단원 제시" 한국외국어교육학회 14 (14): 339-359, 2007

      3 김미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사고도구어 등급 표준화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4 김종성, "한국어 어휘와 표현2 (관용어, 한자성어, 산업어)" 서정시학 2015

      5 송향근, "한국어 사자성어 어휘 교육 방안 연구" 한국사전학회 (13) : 171-189, 2009

      6 박덕영,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위한 사자성어 교육 연구" 5 : 2016

      7 곡녕녕, "한·중 사자성어 대조연구 : 의미·형태·어법 구조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8 박나리, "학술논문의 텍스트성(textuality)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9 김선숙,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학술도구어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0 김유미, "학문목적 학습자를 위한 학술 전문어휘 선정 연구 -한국어·문학, 경영학, 컴퓨터공학 전공을 대상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9 (19): 89-112, 2008

      1 추이진단, "현대중국어와 한국 한자어의 대비 연구" 한신대학교 출판부 2001

      2 김선정, "한자성어 교재 개발의 구성 방향 및 단원 제시" 한국외국어교육학회 14 (14): 339-359, 2007

      3 김미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사고도구어 등급 표준화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4 김종성, "한국어 어휘와 표현2 (관용어, 한자성어, 산업어)" 서정시학 2015

      5 송향근, "한국어 사자성어 어휘 교육 방안 연구" 한국사전학회 (13) : 171-189, 2009

      6 박덕영,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위한 사자성어 교육 연구" 5 : 2016

      7 곡녕녕, "한·중 사자성어 대조연구 : 의미·형태·어법 구조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8 박나리, "학술논문의 텍스트성(textuality)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9 김선숙,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학술도구어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0 김유미, "학문목적 학습자를 위한 학술 전문어휘 선정 연구 -한국어·문학, 경영학, 컴퓨터공학 전공을 대상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9 (19): 89-112, 2008

      11 김소영, "학문목적 학술 전문 어휘: 언론정보학 중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2 강지현,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상경계열 학문용 기본어휘 선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3 김낭예, "학문 목적 한국어 어휘 교육 방안 연구 : 인문계열 학습자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4 黃少霞,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 특유의 사자성어 교육방안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15 김철형,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사자성어 교육 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2015

      16 LiuYing, "중국인 학습자 한국어 교육을 휘한 고사성어 연구"

      17 김수희, "중국인 초급학습자를 위한 어휘 교육 - 기본어휘에 나타난 한자어휘를 중심으로 -"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9 : 65-86, 2004

      18 이미경, "읽기 텍스트 상의 한자 병기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우연적 한자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9 이영희, "외국인을 위한 한자어 연구" 소통 2016

      20 김지형, "외국인 유학생 대상 한자어 교육의 내용과 방법 - 전공 및 전공 예비 과정 학습자를 중심으로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1 (21): 125-149, 2010

      21 정숙향, "오류 분석을 통한 연어 교수 연구 : 중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2 김선정, "살아있는 한국어(한자성어)" 한글파크 2016

      23 장기근, "사자성어대사전" 명문당 2006

      24 방성휘, "대학 수학 목적의 한국어 기본어휘 선정 연구: 인문계역 명사어휘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2007

      25 박세진, "日本 漢字敎育의 位相과 漢字敎育硏究의 動向" 한국한문교육학회 (37) : 669-708, 2011

      26 송병렬, "外國人을 위한 韓國語 敎育에서 漢字 語彙 敎育의 問題" 한국한문교육학회 (38) : 21-49,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