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혼혈’에 대한 사회적 의미 = 1950년~2011년 신문기사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493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의 시작점인 혼혈에 대한 담론의 형성과정과 그것이 이끌어 낸 사회적 이슈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키워드 ‘혼혈’로 검색한 1950년~2011년 신문기사 1,123건...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의 시작점인 혼혈에 대한 담론의 형성과정과 그것이 이끌어 낸 사회적 이슈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키워드 ‘혼혈’로 검색한 1950년~2011년 신문기사 1,123건을 수집하여 미디어 담론을 분석할 때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인 비판적 담론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3단계로 기사를 묘사하고, 해석하며, 설명하는 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 혼혈인에 대한 한국 사회의 시각은 1950~1960년대 국내 혼혈인을 이방인으로 바라본 반면 1970년대 국외(베트남) 혼혈인에게는 한국인 2세라는 의미를 부여하였다. 2000년대 전후에는 음악, 운동 분야 등에 특별한 재능을 가진 혼혈인만이 주목받았다. 이러한 시각 속에서 혼혈인은 소수자이자, 개인과 집단 사이의 괴리에 놓여있는 위치에 처해있었다. 또한 혼혈인에 대한 사회적 이슈가 변화함에 따라 혼혈의 의미가 변화하였다. 초기에는 부정적이고 배타적인 의미로만 사용되었다면 현재는 긍정적인 의미가 더해지기 시작하였다. 혼혈에 대한 담론이 형성된 큰 이유는 우리 사회에서 뿌리 깊게 이어져온 단일민족의식, 순혈주의와 부계중심의 혈통 때문이다. 시대에 따라 혼혈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변화한 것은 담론을 유지해오던 뿌리 깊은 의식이 변화한 것이 아니라 한국 사회 내 혼혈인을 형성한 가족의 주체가 변화하였고, 한국사회가 세계화에 편승해야 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혼혈인에 대한 인식에 다양성 인정을 추구하도록 학교 현장 교육에 힘써야 하는 것 등의 의미를 함의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the discourses on mixed-blood and the consequential social issues. Searching for the topics that contains the keyword “mixed-blood” in the newspapers from 1950 to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the discourses on mixed-blood and the consequential social issues. Searching for the topics that contains the keyword “mixed-blood” in the newspapers from 1950 to 2011, 1,123 articles and discourses on them were analyzed. In the 1950s and 1960s, mixed-blood people were treated like minorities or strangers. However, this negative perception was mitigated as the national concern on them have been steadily increased since the 2000s. Patrilineal familism and racially homogeneous nation view have been influenced the change of the perception. Most of mixed-blood families after the Korea war were matriarchal mixture of a Korean mother and a foreign father, while most of mixed-blood families created after the 2000s are patrilineal mixture of a Korean father and a foreign mother. In spite of increasing number of mixed-blood person, the negative perception of mixed-blood person still exists and this perception hinders fair opportunities to make the best of mixed-blood pers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1. 서론
      • 2. 연구방법
      • 3. 연구결과
      • 4. 논의 및 결론
      • 국문요약
      • 1. 서론
      • 2. 연구방법
      • 3. 연구결과
      • 4.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설동훈, "혼혈인의 사회학: 한국인의 위계적 민족성" 인문과학연구소 (52) : 127-164, 2007

      2 정의철, "혼혈인에 대한 미디어 보도 분석: 하인스 워드의 성공 전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1 (51): 84-110, 2007

      3 오미영, "혼혈인에 대한 낙인연구: 혼혈인에 대한 낙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낙인효과" 한국사회복지학회 61 (61): 215-246, 2009

      4 강지영, "한국인의 의식과 혼혈인의 삶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 <수취인불명>, <깜근이 엄마>를 중심으로" 서강대 대학원 2007

      5 유승무, "한국인의 사회적 인정 척도와외국인에 대한 이중적 태도" 한국사회역사학회 9 (9): 275-311, 2006

      6 임형백, "한국인의 ‘민족’개념 형성에서 중화사상의 수용과 변형" 다문화평화연구소 6 (6): 111-145, 2012

      7 김동노, "한국의 국가 통치전략으로서의 민족주의" 한국인문사회과학회 34 (34): 203-224, 2010

      8 서종남, "한국사회의 다문화 관련 용어에 관한 연구 - 현황분석 및 다문화교육 관계자 FGI를 중심으로 -" 교육연구소 16 (16): 145-168, 2010

      9 이승애, "한국사회에서의 혼혈여성(Amerasian Women)의 경험을 구성하는 젠더와 인종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10 전명수, "한국 아동 해외입양의 종교사회학: 그 시작과 지속의 배경에 대한 성찰" 한국학연구소 (38) : 317-348, 2011

      1 설동훈, "혼혈인의 사회학: 한국인의 위계적 민족성" 인문과학연구소 (52) : 127-164, 2007

      2 정의철, "혼혈인에 대한 미디어 보도 분석: 하인스 워드의 성공 전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1 (51): 84-110, 2007

      3 오미영, "혼혈인에 대한 낙인연구: 혼혈인에 대한 낙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낙인효과" 한국사회복지학회 61 (61): 215-246, 2009

      4 강지영, "한국인의 의식과 혼혈인의 삶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 <수취인불명>, <깜근이 엄마>를 중심으로" 서강대 대학원 2007

      5 유승무, "한국인의 사회적 인정 척도와외국인에 대한 이중적 태도" 한국사회역사학회 9 (9): 275-311, 2006

      6 임형백, "한국인의 ‘민족’개념 형성에서 중화사상의 수용과 변형" 다문화평화연구소 6 (6): 111-145, 2012

      7 김동노, "한국의 국가 통치전략으로서의 민족주의" 한국인문사회과학회 34 (34): 203-224, 2010

      8 서종남, "한국사회의 다문화 관련 용어에 관한 연구 - 현황분석 및 다문화교육 관계자 FGI를 중심으로 -" 교육연구소 16 (16): 145-168, 2010

      9 이승애, "한국사회에서의 혼혈여성(Amerasian Women)의 경험을 구성하는 젠더와 인종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10 전명수, "한국 아동 해외입양의 종교사회학: 그 시작과 지속의 배경에 대한 성찰" 한국학연구소 (38) : 317-348, 2011

      11 윤인진, "한국 민족주의 담론의 전개와 대안적 민족주의의 모색" 8 (8): 2007

      12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주)두산동아 2000

      13 전경수, "특집: 다문화가정 자녀의 문화인류학에 부처" 41 (41): 2008

      14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월보, 2012년 11월호" 2012

      15 교육과학기술부, "초・중등 창의・인성교육 강화"

      16 교육과학기술부, "창의인성교육 기본방안"

      17 전경수, "차별의 사회화와 시선의 정치과정론: 다문화가정 자녀에 관한 예비적 연구" 한국문화인류학회 41 (41): 9-50, 2008

      18 조인석, "지구촌르포: 20년 미해결의 과제 베트남의 라이따이한" 138 : 1995

      19 박경태, "인종주의" 책세상 2009

      20 박정형, "인종적 '타자'로서의 혼혈인 만들기 : 1950년대∼1970년대 한국의 의학지식생산물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21 박경태, "인권과 소수자 이야기" 책세상 2007

      22 국가인권위원회, "이주인권분야 결정례집" 국가인권위원회 2011

      23 정성훈, "이슈 프레임 분석을 위한 전통적 내용분석과 언어네트워크분석 방법 비교연구 : 부안 원전수거물 관리시설에 대한 언론보도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24 신복룡, "이방인이 본 조선 다시 읽기" 도서출판 풀빛 2002

      25 김종현, "의미 연구의 방법과 과제" 논문집 2004

      26 최순찬, "영어의 어원을 찾는 괴짜 영단어" 눈과마음 스쿨타운 2005

      27 양창삼, "열린 사회와 세계 시민 의식" 24 (24): 2000

      28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인종 호칭 변천에 관한 연구" 2000

      29 박거용, "신문담론분석을 위한 예비적 연구" 4 : 1995

      30 정재철, "스포트산업과 민족주의의 결합" 33 : 2002

      31 강진구, "수기(手記)를 통해 본 한국사회의 혼혈인 인식" 우리문학회 26 (26): 155-187, 2009

      32 박경태, "소수자와 한국사회: 이주노동자, 화교, 혼혈인" 후마니타스 2008

      33 전영평, "소수자로서 외국인 노동자 : 정책갈등 분석" 한국행정연구원 15 (15): 157-184, 2006

      34 박찬승, "민족ㆍ민족주의" 소화 2010

      35 정현숙,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갈등에 관한 연구: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 노동자의 체험담을 중심으로"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12 (12): 27-45, 2004

      36 위키백과, "라이따이한"

      37 박종현, "다큐멘터리 사진 속에 나타난 한국 전쟁의 잉여와 상처 - 혼혈인을 바라보는 한국 사진의 시선" 한국기초조형학회 12 (12): 191-200, 2011

      38 홍지아, "다인종 가정 재현을 통해 본 한국사회의 다문화 담론: TV다큐멘터리 <인간극장>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4 (24): 544-583, 2010

      39 위키백과, "다문화가정"

      40 양지현, "다문화 사회에 대한 보도 프레임 연구 : 2008년과 2009년의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2010

      41 배성인, "남북한 민족주의와 통합 이념의 모색:세계화와 주체화의 변증법" 평화문제연구소 37 (37): 231-256, 2002

      42 김종배, "국제결혼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도 조사" 21 (21): 2011

      43 통계청, "국제결혼 현황" 2010

      44 김일환, "공기어를 이용한 사회 문제에 대한 관심의 추이 분석 -2000~2009년 신문기사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21) : 175-202, 2012

      45 Fairclough, N., "language and Power" Longman 1989

      46 Dworkin, A., "The Minority Report: An Introduction to Racial, Ethnic, and Gender Relations" Harcourt Brace College Publishers 1999

      47 Stonequist, E., "The Marginal Man" Charles Soribner’s Sons 1937

      48 Rockquemore, K., "Racing to Theory or Retheorizing Race? Understanding the Struggle to Build a Multiracial Identity Theory" 65 (65): 2009

      49 Hurh, W., "Marginal children of war: An exploratory study of American-Korean children" 2 (2): 1972

      50 Thompson, J., "Ideology and Modern Cultur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0

      51 Haritaworn, J., "Hybrid Border-Crossers? Towards a Radical Socialisation of ‘Mixed Race’" 35 (35): 2009

      52 Denzin, N.,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Sage 1994

      53 하은빈, "G20 관련 뉴스에 투영된 한국 민족주의 프레임 연구: 5대 중앙 일간지 보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6 (56): 75-100, 2012

      54 김혜미,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and psychological distres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2 (42): 117-149, 2011

      55 Savage-Landor, A., "Corea: or, Cho-sen, the land of the morning calm" Macmillan 1895

      56 Bell, A., "Approaches to media discourse" Blackwell Publishers 2004

      57 교육과학기술부, "2010년 다문화가정 학생 교육 지원계획" 교육과학기술부 2010

      58 김아람, "1950년대 혼혈인에 대한 인식과 해외 입양" 역사문제연구소 13 (13): 33-71, 2009

      59 김미영, "'혼혈'에 대한 편견감소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연구 : 프로젝트 접근법을 중심으로"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9-05-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문화컨텐츠기술연구원 ->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3 1.33 1.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5 1.463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